-
-
이방인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1
알베르 까뮈 지음, 이휘영 옮김 / 문예출판사 / 1999년 12월
평점 :
누구나 이방인이다
문득 내가 사는 세상이 낯설게 느껴질 때가 있다. 딱히 특별한 이유도 없는 것 같은데 날마다 보는 거리도 사람들도 낯설어 어색함으로 무안함을 느낄 땐 당황스럽기까지 한다. 내가 살아가는 시간과 공간에서 오는 그 낯설음은 왜일까? 생활의 무기력이나 인간관계에서의 소외, 사회 환경의 영향 등 하나 둘 따지다 보면 궁색할지라도 이유야 붙일 수 있을지는 모르나 그때 느꼈던 당황스러움을 오랫동안 떨치기 어려운 경험으로 남을 것이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은 내게 그런 낯설음으로 기억된다. 알베르 카뮈(Albert Camus)는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몽드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불우한 가정생활과 고학으로 학업을 했으며 결핵으로 교수직을 포기하고 신문기자 생활을 하게 된다. 대학시절 연극에도 흥미를 가졌고 공산당에 입당하기도 했다. 다분히 활동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의 기사와 논설로 정치적인 추방을 당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도 당시 프랑스 사상계와 문학계를 대표하는 말로, 지드, 사르트르, 샤르 등과 교류하며 작품 활동에 전념한다. 알베르 카뮈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표리, 결혼, 이방인, 행복한 죽음, 최초의 인간, 여행일기 전락 등이 있다.
[이방인]은 뫼르소라는 한 청년의 삶을 통해 그가 겪게 되는 일상과 살인 그리고 재판과정에서 사형구형에 이르는 과정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는 일상의 무미건조함과 어머니의 사망, 이웃과 연인과의 관계 등에서 보여 지는 모습을 통해 그의 일상은 단조롭고 어쩌면 허무하고 무의미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 소설의 중심 사건으로 아랍인에 대한 우발적 살인이 주목되고 있다. 검사의 논고로 주장되는 뫼르소의 어머니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은 모습, 해수욕, 영화감상 그리고 연인과의 애정행각 등이 비인간적인 측면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하지 못할 패륜아로 지목되고 결국 사형이라는 극형이 구형된다.
이 소설은 뫼르소의 일상적 생활을 보여주는 전반부와는 달리 후반부에 들어 알베르 카뮈는 조금 다르게 주인공의 사형이 구형된 이후 감옥생활 모습을 중심으로 그리고 있다. 창문으로 보이는 하늘이 전부인 감옥의 철장에서 세상을 향한 주인공의 자신의 본질적인 모습을 조금씩 드러내 보이고 있다. 결정적으로 몇 차례 면담을 거부한 신부와의 만남에서 신부와 세상 그리고 자신을 행한 절규를 한다.
사회적 통념상 이해되지 못하는 주인공 뫼르소의 행동, 즉 어머니 사망 후 연인과의 정사, 해수욕, 희극 영화감상이나 눈부신 햇살을 탓하며 아랍인을 살인한 행위 등은 인간관계와 사회적 소통의 단절로부터 한 개인이 겪게 되는 정신적 부조화의 표현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당시 세계대전을 치르며 인간의 죽음 앞에 무기력했던 사회적 환경의 반영이기도 하다.
[모든 것이 완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가 외롭지 않다는 것을 느끼기 위해서 이제 내게 남은 소원은 다만, 내가 사형 집행을 받는 날 많은 구경꾼들이 증오의 함성으로 나를 맞아주었으면 하는 것뿐이다](본문 159페이지)
뫼르소의 마지막 이 말은 세상과 담을 쌓고 자신을 스스로 가둔 벽에서 탈출하는 세계의 [정다운 무관심]에 대해 최초로 반응하고 있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와의 소통에서 소외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지도 못하는 지극히 단순한 일상에서 이방인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자인실현의 문제제기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적, 정신적 혼란기에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시킨 점에서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 받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