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 - 100년 전 그들은 세계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이승원 지음 / 휴머니스트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낯선 세상에 대한 사람들에 상상은 어떨까?
자신이 나고 자란 그래서 너무도 익숙한 곳에서의 삶을 떠나 낯선 땅 낯선 사람들을 만난다는 것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더불어 두려움이 있을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여 지구촌이라는 한 공동체로 인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그만큼 경계가 허물어지고 낯선 어떤 것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본다는 말일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것은 호기심에서 비롯한 설렘 그리고 그에 못지않은 두려움은 늘 함께 한다.
우리역사에서 조선과 현대를 이어주는 다리가 잘렸다는 느낌이 강하다. 조선시대의 역사는 나름대로 관심가지고 연구하며 그 성과를 여러 사람과 나누기도 한다. 내가 살아가는 현대 역시 기억의 저편에 존재하는 흐름이기에 낯설지 않다. 하지만 조선시대와 현대를 연결하는 근대 우리나라의 시간이 통째로 들어내어 어딘가 숨겨진 느낌이 있다. 고려에 이은 조선시대보다 더 먼 옛날로 느껴지는 이유가 그 시대가 일제 식민지시대라는 민족의 아픔이 있고 청산하지 못한 역사가 있기에 애써 모르쇠로 넘어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은 100년 전 그러니까 애써 외면하는 그 시대 근대 우리나라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것도 역사서가 아니라 당시를 살았던 지식인들의 눈을 마음으로 세상을 본 이야기다. 그들이 본 세상은 일본, 만주, 상하이, 러시아, 동남아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이며 이 나라들을 여행하거나 유학 또는 공무를 수행하기위해 낯선 여행을 했던 사람들은 김관, 김기수, 김득련, 나혜석, 민영환, 유길준, 윤치호, 이광수, 최남선, 허정숙, 허헌, 홍종인 등 20여 명의 사람들로 익히 이름을 들었던 사람도 있지만 낯선 사람들도 있다. 이들이 변화의 시기 조선과 대한제국을 벗어나 열강의 제국들을 방문하고 남긴 기행문을 기초로 하여 저자가 새롭게 쓴 책이다.
이 책의 중심이 상황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해당되는 시기는 봉건사회를 벗어나 산업화의 발전으로 자본주의가 싹트고 활개를 펼치던 시기이며, 자본을 기초로 한 제국주의들의 식민지 쟁탈전이 한창 진행되던 시기였다. 이런 상황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이 여러 가지로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영국이나 프랑스를 비롯하여 러시아, 미국 일본 등의 실상이 드러나는 글을 통해 당시 시대상황과 각 나라 사람들의 사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당시 제국주의 나라들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식민지 사람들을 바라보는 눈으로 미개하거나 야만스러운 민족과 사람들로 파악하고 있다. 추하고 더러운 사람들로 표현되는 시각적이며 후각적인 이러한 판단은 한 민족을 제대로 이해하려는 마음보다는 자기나라 자기민족의 우월성을 기초로 타 민족을 지배하려는 제국주의적 시각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는 그들의 시각만이 아니라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도 동남아시아나 만주의 사람들을 바라볼 때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새로운 땅을 개척한다는 식민주의적 욕망의 표현이라고 보고 있다. 새로운 시각이다.
우리의 근대는 성리학의 조선을 벗고 세계와 소통하는 시대, 격동의 제국주의, 파시즘, 나치의 이념이 암울한 시대, 격동의 시대다. 변화하는 세계사 속에서 아시아의 변방에 속한 조그마한 나라의 사람들이 이제 막 열리기 시작한 세상을 보고 느낀 감정과 더불어 우리 역사의 한 단면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잃어버렸거나 혹 애써 외면하고 있는 시대를 새로운 시각으로 만나게 해주는 책을 만나 새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