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미안-헤르만 헤세

 

 

책을 읽으면서 내면에 쌓인 것들은 저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음속에 어떤 개념틀을 쌓아올립니다. 여러 가지 개념틀이 저의 의도와 상관없이 생겨났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총체성'이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되기' 혹은 '~기계'라는 개념입니다. 총체성은 흔히 헤겔이나 니체 같은 독일철학자들의 개념에서 받아들여진 개념이고, '~되기''~기계'는 들뢰즈의 노마디즘(정확히는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해석한 일군의 한국과 일본 철학자들의 개념틀)에서 받아들여진 개념입니다. 이 개념들을 제가 어떻게 받아들이고 쌓아올렸느냐 혹은 어떻게 그 해석틀을 이용하고 있느냐는 길고도 지난한 이야기이기에 자세하게 말하지는 않겠습니다. 확실한 건, 제가 요새 이 두 가지 개념을 때로는 따로, 때로는 섞으면서 책에 나오는 주장이나 서평의 의견들을 바라보고 있다는 겁니다.

 

 

저에게 이 두 개념이 문제가 되는 건, 저의 북플 친구가 쓴 몇 가지 서평 때문입니다. 저는 그 친구가 쓴 서평을 보고 즉각적으로 반박을 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반박으로 댓글을 달려고 보니 말이 너무 길어지고, 말이 길어지면 댓글로서의 예의가 아닌 것 같아 그만두었습니다. 하지만 반박의 여운이 짙게 남아 반박을 포기하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해서 저는 반박 댓글이 아니라 반박 서평을 쓰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저의 가장 큰 문제인 귀차니즘이 발동해서 생각만 하고 글은 쓰지 않았습니다. 오늘 조증의 기운이 찾아 오기 전까지는. 조증이 찾아오자 저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이제 반박 서평을 쓰자'고 달려들려고 했으나... 했으나... 반박 서평을 쓰기 전에 이 반박 서평을 위한 일종의 밑그림을 그리고 싶어졌습니다. '제가 왜 반박 서평을 쓰게 됐느냐'는 그 과정을 하나의 서사로서 이어보고 싶어졌다는 말입니다. 다양한 서평들을 쓰면서.

 

 

반박 서평을 위한 대장정의 첫 단계로서 저는 <데미안>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제가 가장 사랑하는 책 중 하나, 저에게 빼놓을 수 없는 인생책 중 하나, 그리고 제가 총체성이라는 개념을 마음 속에 쌓게 되는 가장 시발점이 되는 책. 저는 <데미안>을 통해 22살의 가을에, 총체성이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처음 맞딱뜨리게 됩니다. 총체성이라는 개념을 그 전에 희미하게나마 알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총체성'이라는 개념의 틀을 <데미안>에서 명확하게 처음 보게 된 거죠. 그 전에는 악이면 악이고, 선이면 선이었습니다. 선과 악의 명확한 구분 속에서 살아온 제게 <데미안>은 선과 악이 뒤섞이는 인간과 세상을 보여줬습니다. 선과 악이 하나의 인간 속에서 하나가 되는 총체성, 총체적인 인간으로서의 막스 데미안과 막스 데미안을 따라가는 싱클레어의 모습에 저는 매혹이 되었고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습니다. 아직 저 자신의 알을 깨지 못했던 그 당시의 제게, 자신의 알을 깨고 새가 되어 날아가는 그들의 모습은 마법과도 같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데미안>을 사랑했고, <데미안>을 평생 잊지 못하게 됐습니다. 지금도 <데미안>을 읽으면 그 때의 '저 자신의 틀'이라는 알을 깨지 못한 채 있던 저 자신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너는 얼마나 너 자신의 알을 깼느냐고 묻는. 어떻게 보면 제 독서의 경력은 저 자신의 알을 깨기 위한 무수한 몸부림에 다름 아닐지도 모릅니다. 그 무수한 저 자신의 알을 깨기 위한 몸부림 와중에 얻게 된 것이 총체성에 대한 개념이니, 제가 이 총체성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반박 댓글이나 반박 서평을 쓸 수밖에 없는 것도 어쩔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말을 하고 싶네요. 북플 친구여, 그대의 서평에는 총체성이 부족하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제 정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습니다. 20대에는 우울함도 심했고, 조증과 울증을 자주 왔다갔다했죠. 그때만 해도 저는 제가 이렇게 오래 살 줄 몰랐습니다.^^;; 젊은 날에 자살하거나 심각한 질병에 걸려서 빨리 삶을 마감하리라고 예감했습니다. 하지만 예감은 예감일 뿐. 저는 제 예감을 벗어나서 생각보다 오래 살고 있습니다. 너무 오래 살아서 당혹스러울 정도로. 근데 뭐 저보다 더 일찍 죽을 것 같던 우울증이 심한 제 친구가 100세 사는 걸 자신하는 걸 보니 제가 오래 사는 게 딱히 이상한 일은 아니네요. 아마도 스무 살의 청춘에게는, 강렬한 정서적 충동이 삶을 지배하는 걸 벗어나기가 쉽지 않은가 봅니다. 스무 살 청춘에게는 스무 살 청춘의 삶의 방식이 있고, 20대를 벗어난 30,40대에게는 30대와 40대의 삶이 있는 것처럼.

20대를 벗어나서, 30대 초반마저 벗어나니, 감당할 수 없는 우울함이나 조증과 울증의 심각한 변화가 자주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좋은 거죠. 쉽게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정서가 안정되어 있다는 말이니까요. 그래도 가끔은, 아주 가끔은, 과거의 친구들인 조증과 울증이 찾아옵니다.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그 친구들이 반갑습니다. 울증이 와서 정신적인 나락을 경험하는 것도, 조증이 와서 하늘을 꿰뚫은 상승의 기분을 느끼는 것도, 어차피 순간이 지나가면 다시 저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을 잘 아니까요. 오늘은 드물게도 조증이라는 옛 친구가 찾아왔습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오랜만에 찾아오면서, 마음 속에 품고 있었던 계획을 실행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증이 불러낸 달려드는 자신감은 바로 글로 이어집니다. 지금 제가 쓰고 있는 글로.

우선 제가 마음속에 품고 있는 계획부터 말해야겠네요. 계획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이 글에서 시작되어 하려는 건, 가장 쉽게 할 수 있고 어려움도 없는 것입니다. 그건 거창하고 거대한 계획이 아닙니다. 어떻게 보면 소소하달 수도 있는 계획인데요, 자세하게 말하면 너무 이야기가 길어지고 복잡해져서 이 글에는 쓸 예정이 없습니다. 줄여서 말해보겠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써온 서평들은 일관성 없이 그때그때마다 떠오른 것들을 마구 쓴 것입니다. 저는 이것의 반대로 어떤 특정한 시점을 바탕으로 일관된 관점에서 서평을 쓰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일관된 관점과 생각의 틀 속에서 움직이지만 서평 자체는 저마다 특색이 있는, 일종의 연작 서평을 써보는 것이죠. 물론 한 번도 실행한 적은 없었습니다. 실행을 못한 이유는, 제가 게을렀고 자신감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조증이 찾아온 김에, 조증이 불러 일으킨 자신감이 글을 쓰라고 하네요. 그래서 시작해보겠습니다. <데미안> 부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시간이 많이 남네요.

시간이 많이 남는 김에 무언가 저 자신에게

또 다른 과제를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루에 한번씩 글을 쓰는 걸 넘어서서,

다른 무언가를 더 시도해봐야 겠어요.

아직 명확한 건 아니지만 도전은 해보겠습니다.

믿져야 본전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는 서평을 또 쓰려고 했지만,

쓰다가 일이 있어서 그만두었습니다.

한 번 흐름이 끊기니

다시 써지지는 않더군요.

그래서 일단 포기.

오늘도 기회 되면 다시 써 볼 생각입니다.

중요한 건 끊기지 않고 계속 써야한다는 것.

쓰다가 중간에 끊기면 또 쓰지 못 할 것 같아서요.

오늘도 이 글과 더불어

저의 서평쓰기 도전은 계속될 예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주일에 한 번은 반드시 서평을 써야 해서

어제는 서평을 썼습니다.

신기한 건,

쓸려고 마음 먹고 앉아서 쓰니까

무언가 뚝딱뚝딱 나온다는 점.

허참, 그냥 글을 쓰려고 할 때는 뭔가 안 나오더니

반드시 써야 하는 서평은,

마음 먹으니까 술술 나오네요.

부족한 부분은 있지만,

그래도 일단은 무언가 썼다는 점에서

만족은 합니다.

그래서 오늘도 반드시 써야할 이유는 없지만

다른 책 서평을 써볼 예정입니다.

그럼 저는 또다른 서평을 쓰러 가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