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뇌에는 1000억 개의 (신경세포인) 뉴런과 뉴런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가 100조 개 있다. 인간의 지능이 높은 이유는 시냅스의 총량이 크기 때문이다. - P162
이 원리는 컴퓨터에서도 찾을 수 있다. 개인컴퓨터(PC) 한 대의 연산 능력은 그렇게 크지 않다. 이 PC를 직렬로 연결하면 같은 성능을 가진다. 그런데 PC를 병렬로 연결하면 슈퍼컴퓨터의 연산 능력을 갖게 된다. 이것이 병렬 네트워크의 힘이다. - P162
인간의 뇌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은 케이블이 아닌 언어다. 그리고 문자는 다른 시간대 다른 공간에 있는 사람과도 연결시켜 준다. 21세기의 우리가 플라톤의 책을 읽는다면 우리의 뇌는 2400년 전 그리스의 한 철학자의 뇌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서 뇌끼리의 시너지 효과가 생겨난다. - P162
공간적으로 인간의 뇌끼리의 연결 시냅스를 늘리는 방법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 P162
밀도가 높은 도시 공간에서는 주변에 사람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상거래가 이루어지고 대화를 통해서 창의적인 생각들도 만들어지게 된다. 우리는 그것을 도시 생활이라고 한다. 인류의 많은 창의적 생각과 물건들은 모두 도시에서 생활하던 사람들에 의해서 발명되고 만들어졌다. - P163
제프리 웨스트의 저서 「스케일」에 따르면 인구가 2배 늘어나면 특허 출원 건수가 2.15배로 뛴다고 한다. 인구의 규모가 커질수록 도시가 더욱 창의적으로 되어 간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평균 임금, 전문 직업인 수도 인구가 2배가 늘어날 때 2.15배가 늘어난다. 반면 에너지 절약적인 면에서는 절감이 된다. 미국, 일본, 독일 도시의 경우 인구가 2배 늘어날 때 주유소는 1.85배만 늘어났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도시의 규모가 늘어나면 도시 인프라 초기 투자 비용은 7.5퍼센트 줄어들고 창의성은 7.5퍼센트 증가한다. 더 큰 도시가 될수록 경쟁력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다. - P163
그런데 문제가 있다. 도시의 규모가 2배 커지면 범죄율과 전염병의 전파도 2.15배 증가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 P164
과거에는 전염병에 걸리면 도시 외곽으로 격리시키는 방법밖에 없었지만, 병의 원인을 파악한 다음에는 병원이라는 건축 시설을 도시 안에 적극 배치하고 도시의 인구를 유지하는 방식을 개발해 냈다. 각종 도시 위생 시스템과 바이오테크놀러지는 도시의 규모를 1000만명으로 키울 수 있게 해 주었다. - P164
뉴욕은 다른 유럽의 도시와는 달리 엘리베이터가 발명된 이후에 성장한 도시다. 뉴욕은 엘리베이터,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라는 신기술을 이용해서 고층 건물을 지었다. 유럽의 다른 도시들이 7층 정도 높이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을 때 뉴욕은 30층짜리 건물로 4배 이상 고밀화된 도시 공간을 만들었다. 밀도가 4배가 되면 같은 시간에 한 사람이 만날 수 있는 사람의 숫자도 4배로 늘어난다. 이는 도시 경쟁력으로 이어졌다. 미국이 세계를 리드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세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뉴욕이라는 도시가 있었기 때문이다. - P165
뉴욕은 고밀화된 도시 공간뿐 아니라 전화기라는 통신망을 깔아서 사람 간 소통할 수 있는 관계의 시냅스를 획기적으로 늘렸다. - P165
1990년대 들어서 도시의 시냅스를 늘릴 수 있는 획기적 기술이 개발됐다. 바로 인터넷이다. 과거 인류의 기술은 수천 년간 물리적인 좁은 공간 안에 더 많은 사람이 살게 하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그 한계에 봉착하자 인류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가상의 공간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인터넷 공간 속에서 사람 간의 관계를 연결하는 방법을 찾았다. 인터넷 빅뱅을 통해 만들어 낸 시냅스의 팽창이다. - P166
현대의 도시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만나는 시냅스의 총량과 온라인 공간에서 만나는 시냅스의 총량을 합쳐서 이해해야 한다. - P166
인류는 꾸준하게 도시의 규모를 키우고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사람들 간 관계의 시냅스를 늘려 나갔는데, 나는 이를 ‘시냅스 총량 증가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 P166
문명이 발달할수록 시냅스 총량이 증가된다. - P167
인간은 온라인 기회와 오프라인 기회가 있다면 둘 중 하나를 택하는 대신 두 가지 기회를 모두 가지려고 할 것이다. - P168
일자리 구성 때문에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될 가능성도 있다. - P169
우리나라 일자리의 55퍼센트는 사무직이다. 이들 중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들은 자신의 업무를 디지털화할 수 있는 일자리다. 이런 업무의 디지털화가 가능한 일자리는 향후 인공지능이 발달할수록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재택근무 가능한 일자리는 줄어들고 대신 인간이 인간에게 서비스하는 일자리가 살아남거나 늘어날 것이다. - P169
그렇다면 다른 사람에게 서비스하는 일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사람이 많은 곳에 있다. 도시에 더 많은 일자리의 기회가 있다는 말이다. - P169
사람이 모여 살면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 다른 하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이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각종 세금 정책과 행정 정책들이고,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공간 구조를 바꾸는 것이다. - P175
공통의 추억을 가지면 서로를 이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시에는 공통의 추억을 만들어 주는 ‘공짜로 머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 P176
공산주의는 인간을 너무 착하게 봐서 실패했다. 인간은 결코 부와 권력을 공평하게 나누고 싶어 하지 않는다. 역사를 보면 공평한 분배를 주장하던 자들이 나중에 오히려 독재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 P178
인간이 이렇게 이기적이기 때문에 소셜 믹스는 상대방의 배경이 어떤지 모르는 ‘익명성‘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 공간 속에서 익명성의 소셜 믹스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소가 공원, 벤치, 도서관이다. 이런 공짜로 머물 수 있는 공간에서 공통의 추억을 만들면 소셜 믹스가 된다. - P178
투쟁을 위한 모임이 아니라 즐기기 위한 모임의 공간이 필요하다. - P178
도시 재생과 재건축은 바둑과 같다. 바둑은 몇 수 앞을 내다보고 어디에 돌을 두느냐가 승부를 결정한다. 지금의 재건축 정책은 상대편인 개발업자에게 아예 바둑돌을 안 두게 만들고 있다. 누군가를 판단하고 가르치려고만 하면 대화나 게임 자체가 시작이 안 된다. 검은돌을 쥔 개발업자가 돌을 두는 것을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내가 쥔 흰 돌을 어디에 먼저 두느냐가 중요하다. 바둑의 고수는 중요한 적재적소에 정확한 순서대로 돌을 둔다. 그게 바둑에서 승리하는 법칙이다. - P180
가장 좋은 시스템은 인간의 이기심을 이용해 좋은 세상을 만드는 시스템이다. 20세기 후반에 문제가 많았던 자본주의가 사회주의와의 경쟁에서 이겼던 이유는 자본주의는 인간의 이기심을 이용하는 시스템이라서 사람들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냈기 때문이다. - P181
똑똑하게 줄 건 주고 얻을 것은 얻는다 - P181
가로로 긴 공원의 또 다른 장점은 지역 간의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 P185
사람들이 걸을 때 경계가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도시 안의 사람들이 하나가 되려면 떨어져 있는 동네들 간에 걸어서 오갈 수 있어야 하는데, 선형의 공원은 이를 촉진시킨다. - P185
기술은 발전할수록 눈에 보이지 않는 곳으로 사라진다. - P188
건축은 발전할수록 서비스 기능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숨겨진다. - P188
물고기를 주는 것보다는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낫다. 국민에게 단순하게 현금을 나누어 주는 것보다 인프라에 투자하는 것이 미래를 위해서 더 나은 선택일 것이다. - P190
인간은 천천히 걸을수록 좋고, 물류는 빠르게 이동할수록 좋다. 이 둘은 근본적으로 상충된다.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것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보내는 것이 지상을 ‘인간을 위한 느린 공간‘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 P190
‘개발 제한 구역‘이라는 의미의 그린벨트는 영국에서 최초로 고안한 개념이다. - P199
우리가 아는 도시 확장 억제 개념의 그린벨트는 1898년 에버니저 하워드 Ebenezer Howard의 저서 「미래의 정원 도시(Garden Citiesof Tomorrow)』에서 처음 소개됐다. 그의 개념은 런던의 무질서한 확장을 막기 위해서 런던 시내 주변으로 폭 2킬로미터의 녹지를 보존하고 그 공간을 런던 시민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자는 취지였다. - P199
결국 중요한 것은 패턴이다. 도로망의 패턴, 빌딩과 녹지 구성의 패턴, 학교, 주거, 오피스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섞인 패턴 등이 도시의 효율성과 사회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이다. - P204
우리나라의 경우 21세기에 맞는 고밀도 패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마치 좁은 반도체 안에 효율적인 반도체회로를 설계하는 것과도 같다. 어떻게 더 안전하고 창의적이고 자연친화적이며 인간을 위한 공간을 도시 안에 밀도 있게 만들 수 있는가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 - P205
대한민국의 도시화 비율은 91퍼센트다. 전체 인구중 도시에 사는 사람이 91퍼센트란 이야기다. 보통 경제학자들은 도시화 비율이 80퍼센트 중반이 넘어가면 도시화가 완성되었다고 말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도시화가 90퍼센트 이상인 나라는 싱가포르, 홍콩, 한국뿐이다. 앞의 두 나라는 도시국가 수준이니 그렇다 치고 한국은 도시화가 완성되고도 남은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 말은 즉 우리는 택지가 부족하지 않다는 이야기다. - P208
LH의 주요 업무는 농지로 된 땅을 택지로 개발하는 일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이제 도시로의 인구 이동은 완성된 상태다. 그렇다면 이제 LH가 해야 하는 일은 새롭게 택지를 개발하는 대신 기존 택지의 효율을 높이는 일이다. - P208
도시화가 91퍼센트인 우리나라는 더 이상 새로운 택지를 만들 필요가 없다. 대신 그린벨트는 진정한 그린(녹지)으로 회복해야 하고 부족한 주택 공급을 위해서 기존의 도시를 재개발 재건축을 통해서 재정비해야 한다. - P209
10만 평의 땅이 있다고 해서 모두 같은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땅은 주변부에 어떠한 시설을 접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가치가 결정된다. 기찻길 옆 시끄러운 지역의 아파트보다 한강이 보이는 강변 아파트의 가치가 더 높다. 따라서 그린벨트 중에서도 가치가 높은 곳은 도시의 편의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도시와 접한 경계부의 땅이다. 그 경계부의 땅을 좁고 길게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나머지 그린벨트는 공원으로 바꾼다면, 새로 지어진 주거는 도시의 편리함과 공원 경치를 함께 갖는 가치 높은 부동산이 될 것이다. 이렇게 좋은 조건의 주거를 개발해서 분양 단가를 높인다면 적은 연면적을 개발해도 개발업자 입장에서는 같은 사업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많은 녹지를 훼손하지 않고도 사업성을 찾을 수 있고, 시민은 좋은 공원을 얻게 된다. - P211
경계부를 개발할 때 건물을 연속되게 지어서 만리장성처럼 보이게 만들면 안 된다. 실선처럼 이어진 건물군이 아니라 점선처럼 중간 중간 끊어지게 개발해서 도시 측에서 바라볼 때 건물과 건물 사이로 그린벨트 공원으로의 접근성과 경관을 확보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주거 단지를 ‘엣지시티‘라고 부르자. - P211
애초에 도시가 처음 만들어질 때 필지를 좁고 길게 만든 이유는 도심 속에서 장사를 하기 위해서다. 장사를 하려면 길가에 면해서 가게 입구가 나야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도시에 모여서 장사하며 사는 도시들은 필지 모양이 도로에 접한 부분은 좁고 뒤쪽으로 길다. 런던, 암스테르담, 로마, 뉴욕 할 것 없이 상업 중심 도시는 다 그렇다. 심지어 일본의 오래된 도시인 교토도 필지가 좁고 길다. - P218
그런데 우리는 강남 개발을 할 때도 필지 모양이 정사각형이다. 농사꾼의 마인드로 필지 구획을 해서 그렇다. 우리는 땅은 반듯한 정사각형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땅을 볼 때 햇빛 드는 농지와 면적만을 생각해서 그렇다. 농사꾼과 장사꾼의 다른 마인드는 필지 모양의 비율을 다르게 했고, 도시의 효율성에 차이를 주었다. - P218
우리가 장사꾼의 마인드를 가지지 못한 이유는 난방 시스템인 온돌 때문에 2층짜리 집을 지어 본 적이 없어서다. 그래서 고밀한 도시가 없었고 따라서 상업도 발달하지 못해서 그렇다. 우리의 도시를 바꾸려면 필지 디자인부터 바꿔야 한다. - P218
필지의 모양이 외부 공간의 효율성을 좌우한다. - P219
우리나라 도시 경관의 첫 번째 문제는 과거의 흔적을 보존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재개발을 할 때 대형으로 진행하다 보니 기존 도시의 골목길들도 다 사라지고 과거의 흔적이 완전히 지워진 재개발밖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 P220
두 번째 문제는 필로티 주차장이다. 우리나라 도시의 풍경을 망치는 것 중 하나는 1층에 만들어진 필로티 주차장인데, 이러한 개발이 되는 이유는 주차장법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건물의 주차를 자신의 땅 안에서 해결해야 한다. 그런데 필지는 작게 100평 이하로 구획되어 있다. 100평이 안 되는 땅에는 지하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경사로를 만들수 없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필요한 주차 공간만큼 건물 1층을 필로티로 올려서 해결하게 된다. - P220
주차장법 중에 200미터 이내에 주차장 땅을 확보하면 내 땅에 주차를 안 해도 되지만, 근처의 비싼 땅을 사서 지상 주차장으로만 사용하는 바보가 있을까? 결국에는 필로티 주차장밖에는 답이 없다. 이를 피하는 방법은 대규모 재개발밖에 없는데 여러 가지 절차상의 이유로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중규모로 재개발하는 것이다. - P220
서울의 지도를 보면 필지가 6개에서 20개 정도씩 묶인 블록들이 모여서 블록과 블록 사이에 골목길을 형성하고 있다. 만약에 우리가 골목길과 골목길 사이의 6개에서 20개 정도의 필지를 묶은 규모의 재개발을 촉진하는 인센티브 법안을 만들면 어떨까? 이때 새롭게 건축되는 건물의 주차장은 지하에 통합으로 넣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지하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최소화되고 골목길과 접한 1층은 필로티 주차장 없이 보행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 P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