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유머

 

 

 

 

 

 

 

누리 : 유머를 잘해야 하잖아요? 그런데 내향적인 성향이 유머를 잘할 수 있을까요?

스승 : 내향적인 사람은 유머를 못하라는 법이 있나?

누리 : 아니, 꼭 그런 것보다는 왠지 유머하면 외향적인 사람의 전유물 같아서요.

스승 : 그렇지, 유머는 많은 사람에게 웃음을 주는 것이라서 외향적인 에너지라고 볼 수도 있지.

누리 : 그러게요, 저는 많은 사람 앞에서 유머를 할 자신이 없어요. 부끄러워서요.

 

 

스승 : 왜 많은 사람 앞에서 유머를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니? 지인과 아는 친구 한두 명에게서 해도 되는데.

누리 : 유머를 잘하면 인기가 좋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저하고는 거리가 멀어서요.

스승 : 너는 대중의 인기를 원하느냐?

누리 :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으면 좋기는 한데 많은 사람들을 웃기는 사람을 보면 부러워요. 그런데 그런 인기는 부담스럽고 감당이 안 돼요. 저는 몇 명하고 재미있는 유머를 나누고 싶어요.

 

 

스승 : 외향적인 성향이 사용하는 유머는 대중의 인기를 바라고 인맥을 넓히기 위해서 유머를 사용하기도 하고, 내향적인 사람은 작은 모임에서 자신을 알고 있는 친구에게 유머를 사용하기는 하지. 둘의 차이는 외향적인 유머는 대외용 인맥 넓히기용으로 유머를 사용하지만 내향적인 성향의 유머는 지인과 친구와 깊은 대화용으로 분위기를 띄우고 어색함을 풀어주는 친해지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지.

누리 : 그런 차이가 있을 수도 있겠네요.

스승 :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유머를 못 쓴다고 선입견을 갖지 마라! 둘 다 유머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중이냐? 나와 친분 있는 지인에게 쓰느냐? 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니까.

 

 

누리 : 저는 목소리도 크지 않아서 유머를 큰소리로 하지도 못해요.

스승 : 하긴 목소리도 성향의 영향을 받지.

누리 : 내향적인 사람은 목소리가 별로 안 큰가요?

스승 : 목소리를 크게 내는 것은 자신의 의지지만 목소리가 분위기를 차분하고, 경건하게 만들기는 하거든.

누리 : 차분하다는 말은 많이 들었어요.

스승 : 듣는 사람들의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어주지.

 

 

누리 : 맞아요, 경건하게요!

스승 : 좋은 말로 하면 차분! 안 좋게 생각하면 경건! 그래도 목에 쇳소리가 나는 것보다는 낫지 않니?

누리 : 헤헤! 그것보다는 훨씬 낫죠!

스승 : 금방 웃는 것 봐라! 이처럼 모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다.

누리 : 쇳소리는 왜 나는 거죠?

스승 : 건강이 안 좋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건강상의 문제가 아니라면 고함을 많이 치거나 큰소리로 말하는 투가 목에 무리를 줘서 그런 것은 아닐까? 그런 소리를 들을 때 어떤 느낌이 드니?

누리 : 괜히 호통을 치는 것 같아서 귀가 불편해요. 왠지 섬뜩하고요.

 

 

스승 : 섬뜩은 왜?

누리 : 공포 영화에 그런 목소리가 주로 나와요. 목소리만으로도 사람들을 섬뜩하게 만들죠.

스승 : 영화가 애를 너무 겁먹게 만들었네! 아무튼 그런 목소리는 외향적인 사람들에게 많이 나올 수 있는 목소리다. 아무래도 소리를 많이 지르거나 화를 많이 내어본 사람이 목소리에 그런 길이 들어서 그런 것 같단다.

누리 : 판소리하고는 차원이 다른 거죠?

스승 : 그분들은 득음을 한 경우이고, 쇳소리는 술 먹고 고함을 많이 쳐서 그런 거지. 예술하고 욕설하고는 차이가 많이 나지!

누리 : 아무튼 쇳소리는 왠지 사람을 억누르는 것처럼 압박이 되요.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 대범한 것보다는 소심한 것이 더 나은 이유?

 

스승 : 소심한 것이 오히려 대범한 것보다는 더 나을 수도 있단다.

누리 : 소심함의 장점도 있다니? 새삼 기대되네요. 어떤 장점이 있는지?

스승 : 그다지 기대할 것은 없는데. 기대에 못 미칠 것 같아서 걱정되는구나!

 

누리 : 소심한 것이 장점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듣고 싶어지는걸요?

스승 : 소심한 사람은 똑같은 실수를 잘 안 하려고 마음을 독하게 먹지! 그러나 대범한 사람은 자신의 실수를 그럴 수 있다고 위안을 하면서 똑같은 실수에 대해서 대범할 수도 있거든.

 

누리 : 실수에 있어서 대범하면 더 좋지 않을까요?

스승 : 그렇지, 남의 실수에 대해서 대범하게 받아들이고, 넘어가주는 것은 좋지만 자신의 실수는 대범하게 넘어가면 똑같은 실수를 또 반복하게 된단다.

누리 : 나의 실수는 소심하게 점검해서 똑같은 실수를 하지 말고, 남의 실수는 대범하게 받아들이라는 말씀이신가요?

 

스승 : 나보다 더 풀이를 잘하는구나! 남 탓은 남하고 싸움이 날 수도 있지만 내 탓은 나를 점검하면서 내가 조용히 발전할 수도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으니까 내 탓도 꼭 나쁘지만은 않더구나!

누리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내 탓으로 생각하면서 저의 발전을 조용히 도모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8. 소심한 사람들의 특징

 

 

 

 

 

 

 

스승 : 소심하다는 말을 잘 쓰는 사람들의 특징이 있지!

누리 : 도대체 왜 그런 말로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는 거죠?

스승 : 그것은 다 그런 이유가 있기 때문이지.

누리 : 그 이유가 뭐기에 소심하다는 말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거죠?

스승 : 바로 자신이 소심하기 때문이지.

누리 : 듣던 중 반가운 소리군요! 소심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소심하게 만든다고요? 그건 또 왜 그렇죠?

스승 : 하지만 그 사람도 소심함의 피해자일 뿐이란다.

 

 

누리 : 그런 소심함의 피해자들이 왜 우리를 소심하다는 말로 상처를 줄까요?

스승 : 그것은 소심한 동료를 더 만들고 싶어서 그러는 거겠지.

누리 : 자신이 소심하니까 다른 사람도 소심한 사람으로 만들어서 동료로 삼으려고 한다고요? 그렇게 말씀하시는 이유라도 있으신지요?

스승 : 딱히 이유라고 할 것은 없지만 소심함에 상처를 입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소심한지, 안 소심한지만 따지게 되지! 소심한 사람일수록 나 말고 다른 사람도 소심한 사람, 즉 동료가 더 있으면 쓸쓸하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소심하다는 말을 남발해서 다른 사람도 소심한 사람으로 끌어들이고, 만들어야 속이 편안하지.

 

 

누리 : 나만 당할 수 없지! 너도 당해 봐라! 뭐 그런 뜻인가요?

스승 : 그렇다고 할 수 있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서 소심하다는 말을 듣고 상처를 입어서 세상에 소심한 사람은 혼자뿐인 외로움 때문에 다른 사람도 소심하다는 말로 상처를 주고, 자신이 상처 입힌 사람과 동료애를 느끼려고 하지.

누리 :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은 어떤 성향일까요?

스승 : 내향적인 성향의 사람은 소심하다는 말에 상처입고, 피해를 입는 것을 두려워하기에 그런 말을 잘 쓰지 않지만 외향적인 사람은 그런 표현을 쓸 수도 있단다. 내향적인 사람은 소심해보여도 속으로 생각하지만 외향적인 사람은 보이는 대로 직설적으로 소심하다고 표현을 해버리는 경우도 있으니까.

 

누리 : 그놈의 입이 문제네요!

스승 : 그러게! 속으로 소심하던, 소심할아버지이던 속으로만 생각을 하면 별 문제가 아닌데 그것을 입으로 토해낼 때 그 말을 듣는 상대방은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되지. 속 좁다는데 좋아할 사람 어디 있겠니?

누리 : 속 좁다는데 충격 안 받으면 인간도 아니죠!

스승 : 소심한 사람의 눈에는 두 가지 사람만 보이지.

 

 

누리 : 두 가지는 어떤 사람이죠?

스승 : 그 사람의 눈에는 오직 소심한 사람과 소심하지 않는 사람만 보인단다.

누리 : 왜 그렇게밖에 분류를 못하는 거죠?

스승 : 그것은 자신이 소심한 사람이기 때문이지!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이 소심한 사람이라서 다른 사람들이 소심한 사람과 소심하지 않는 사람으로 보인다는 것을 자신만 모르는 것뿐이지. 그도 소심함에 상처 입은 피해자인 것을 말이야.

누리 : 소심하다는 말은 쓰지 않는 것이 좋겠군요.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7. 탓 vs

 

 

 

 

 

 

스승 : 누리야, 너는 남 탓을 잘하니?

누리 : 남 탓하는 것도 성향하고도 관련이 있을까요?

스승 : 나 혼자 생각을 해봤다. 아마도 관련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봤지.

누리 : 궁금하네요. 남 탓은 어떤 성향이 있을까요?

스승 : 외향적인 성향이 남 탓을 주로 하지.

누리 : 그러면 내 탓은 내향적인 성향인가요?

 

 

스승 : 그래, 잘 맞추었다!

누리 : 왜 그런가요? 남 탓과 내 탓도 성향으로 따질 수 있다는 것도 신기하지만 왜 그렇게 생각을 하는지도 신기합니다.

스승 : 남 탓은 누구에게 원망하는 거니?

누리 : 남한테 뒤집어씌우는 거죠.

스승 : 그러면 조용히 혼자 있을 때 나를 원망하면서 뒤집어씌우니?

누리 : 그건 아니죠? 상대방에게 무섭게 몰아붙이듯이 격한 감정을 밖으로 표현하면서 ‘네 탓이야!’라고 쏟아내죠. 그러다가 격한 말싸움과 몸싸움이 동반되기도 하고요.

 

 

스승 : 밖으로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하면 외향이라고 했다. 그러면 내향은 어떻게 표현을 할까?

누리 : 내 탓이라고 생각을 하고 말을 안 하겠죠. 그리고 생각을 해보겠죠. 아, 스승님! 생각할수록 답답해서 미치겠어요!

스승 : 왜 그러느냐? 왜 답답해?

누리 : 왜 네 탓이라고 말을 하지 않을까요? 그런 행동들이 소심하게 비쳐질 수도 있는데요! 내향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직설적으로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것이 소심하다는 말까지 듣게 하죠.

 

 

스승 : 나도 잘 알지! 소심하다는 말이 얼마나 듣기 싫은지도 잘 알고 있다. 오죽했으면 내향적인 성격에 대해서 연구까지 다했을까? 그것으로 봤을 때도 소심하다는 말이 얼마나 듣기 싫은지 뼈에 사무칠 정도다.

누리 : 스승님이 그 정도면 내향적인 사람의 고통을 너무나도 잘 알고 계시겠군요.

스승 : 그럼, 그 당시에는 고통이지만 한편으로 뒤집어 생각을 하면 오히려 축복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 때문에 요즈음은 아무렇지도 않더구나!

누리 : 소심함의 상처가 얼마나 큰데 어떻게 아무렇지 않을 수 있어요? 궁금해 죽겠어요? 제발 가르쳐주세요.

 

 

스승 : 소심하면 마음이 좁은 거니? 생각이 좁은 거니?

누리 : 생각하는 폭이 좁겠죠. 마음이 어떻게 좁고 넓은 게 보일 수 있습니까?

스승 : 그렇지! 그러면 어떨 때 소심하게 보일까? 겁먹었을 때? 아니면 자기밖에 생각을 못할 때?

누리 : 자기밖에 모르는 이기적인 사람이 소심하겠죠.

스승 : 그러니 세상에서 써먹는 소심함은 잘못된 표현이야! 겁 많은 사람을 놀리려고 써먹는 거니까.

누리 : 맞아요, 내향적인 사람이 좀 겁이 많아 보이죠. 겉으로 표현을 잘하지 않으니까요.

 

스승 : 그거야, 내가 잘 알지! 겁은 좀 있지만 적어도 이기적이지는 못하지. 그럼 겁 많은 사람이 좋을까? 겁 없는 사람이 좋을까? 누리 : 저는 겁이 많아서 겁 없는 사람이 부럽기는 해요.

스승 : 너의 겁 많음이 오히려 너를 살리게 될 거야!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라!

누리 : 저의 겁 많음이 오히려 저에게 다행이라고요? 그것은 왜 그런가요?

스승 : 사람에게 상처를 입히는 사람은 겁 많은 사람일까? 겁 없는 사람일까?

누리 : 저는 사람에게 상처 주는 짓은 못해요. 겁이 많아서요.

 

 

스승 : 사람이 겁이 있어야 자신의 행위에 겁을 먹고, 두려움을 갖고 통제를 하게 된단다.

누리 : 겁이 그런 역할을 하는 수도 있겠네요.

스승 : 범죄자들은 겁이 많을까?

누리 : 그런 과감한 범죄를 저지르려면 겁이 없어야 하지 않을까요?

스승 : 그들도 처음에는 우리와 똑같이 겁이 있었지! 그러나 범죄를 반복 학습하면서 겁을 점점 상실한 거란다. 양심이 죽어가고 상대를 겁 없이 범하게 되는 거지.

누리 : 겁이 그런 범죄를 예방해준다면 저는 오히려 겁 많은 것이 더 좋겠어요.

 

 

스승 : 살면서 나이가 들면 점점 양심이 딱딱해지고, 겁을 상실하게 되어있어! 오히려 겁을 지키는 것이 어렵지! 이 험난한 세상에 양심을 버리고, 겁을 상실하는 것이 더 쉬운 일이란다. 겁을 먹어야지 상대방의 상처를 겁탈하지 않을 수 있고 말이야.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6. 다혈질은 누가 더 많을까?

 

 

 

 

 

 

 

누리 : 내성적인 사람이 화를 내면 더 무섭게 느껴지는 건가요?

스승 : 외향적인 사람은 화를 자주 내니까 그게 이슈나 이야깃거리가 안 되지! 그러나 내향적인, 화를 잘 안 내는 사람이 화를 내면 더 크게 이야깃거리가 되지. 외향적인 사이코 역할은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하지만 내향적인 사이코 역할은 안 그럴 것 같은 사람이 그런 행동을 하니까 더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더 기억에 오래 많이 남지! 조용하고 말이 없던 사람이 그런 범죄를 저지르니까 기억에 강하게 남는 거란다. 사실은 현실에서 다혈질은 외향적인 성격이 훨씬 더 많이 있단다.

 

 

누리 : 그건 왜죠?

스승 : 성격을 표현하는 것은 외향적인 사람이 더 잘해! 내향적인 사람은 화가 나도 스스로가 잘 참지. 외향적인 사람은 화를 몸 밖으로 표현을 하고, 내향적인 사람은 화를 속으로 삭이지! 에너지가 밖으로 향하느냐 안으로 향하느냐에 따라서 내향과 외향으로 나뉘는 거란다. 현실에서 다혈질은 외향이 훨씬 많이 있어! 내향적인 사람은 화내는 것조차도 어색하고 조금 서툴거든.

누리 : 감정표현이 서툰 것이 화를 내는 것도 어색하다니?

스승 : 아무튼 화도 많이 내어본 사람이 잘 내지!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잘 먹는 것처럼 말이야. 그런 사람은 피하는 게 상책이야! 그런 사람하고 어울리면 피곤하니까.

누리 : 스승님, 그럼 욕은 누가 더 잘할까요?

 

 

스승 : 그것은 둘 다 잘할 것 같은데! 외향적인 사람은 대놓고 욕을 하지만 내향적인 기질은 속으로 욕을 많이 하겠지. 외향적인 사람은 싸움으로 번질 수도 있고, 내향적인 사람은 속이 터질 수도 있겠지. 혼자서 욕할 수도 있고, 아무튼 그 사람 안 듣게 욕을 하겠지. 그렇다고 해서 욕을 안 하는 것은 아니고 둘 다 욕을 잘할 수도 있지만 대놓고 하는 것과 혼자 있을 때 욕하는 것의 차이겠지.

누리 : 대놓고 하면 속에 맺히는 것은 없어서 좋기는 한데 싸움은 너무 피해가 커요! 그러면 혼자서 욕을 해도 스트레스가 풀릴까요?

 

 

스승 : 풀리겠지! 상대방이 없어도 뒷담화해도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하고 비슷하잖니.

누리 : 그러면 욕은 혼자 있을 때 해야겠네요?

스승 : 그 사람의 행위를 욕하되 그 사람을 욕하지는 말거라!

누리 : 그것은 무슨 말씀이십니까?

 

 

 

스승 : 그 사람의 행동이 뭐가 잘못 되었는지 욕을 하고, 나는 저런 행동을 하지 말아야겠다는 것을 다짐하고 반성하는 것은 좋지만 사람 자체를 욕하면 나도 똑같은 사람이 되니까 행동을 욕하고, 그런 행동을 반성하는 사람이 되자는 말이란다.

누리 : 저도 사람들 욕만 하고 끝났는데 이제는 사람의 행위만 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네요.

출처-  의 본문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