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문화와 디지털 콘텐츠
김현 지음 / 북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크게 1편과 2편, 3편으로 나누어진 이 책의 먼저 1편부터 이야기해보자면,
1편 문헌자료의 이해와 활용
이라는 제목처럼 마치 백과사전 같은 내용들이 주를 이룹니다. 하위 4파트로 나누어져 있고 전통시대 지리지와 근현대 시,군지, 지방 공공기관 발행 자료, 지도류 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정의와 역사, 유형과 편찬경향, 내용 구성, 활용방안에 대해서 알려면 첫장 가까이에서 찾아볼 수가 있죠. 각 파트마다 참고문헌과 참고사이트가 첨부되어 있어서 제일 뒤에 있는 참고사항을 훑어보지 않아도 중간중간 확인할 수 있는 점이 편리했습니다. 게다가 그림과 표로 이해를 도와 보기가 한결 수월했습니다.
2편 현장조사의 방법과 실제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 제작 방안과 시청각 자료의 수집과 기록에 대해 다루었는데 저는 이 부분에 제일 관심이 갔습니다. 마을 이야기 가상 스토리를 구상해 노인 중에서 마을 사정을 잘 아는 사람, 혹은 마을의 초등학교 교사나 간부 중에서 마을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을 섭외하여 마을 전체를 걸어 다니며 이야기를 듣고 조사된 문헌자료를 통해 가상 스토리를 구성하여 콘텐츠를 만들어 가는 과정과 가상 스토리 표에는 각각의 구체적인 이야기들을 어떻게 짤지 소항목을 나눌 수 있는 예가 있습니다. 이 장에선 디지털 마을지 콘텐츠를 만들어갈때 실제로 큰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이었구요. 다른 콘텐츠를 만드는 분야에서도 역시 도움이 많이 될만한 것들이었습니다.
3편 정보시스템 구현기술
이 장에선 디지털 향토지 편찬의 기술적 환경과 접근 방법의 설계와 구현, 전자텍스트 편찬 도구 활용 기술에 대해 다룹니다. 가장 기술적인 부분을 다룬 이 장에선 실습적인 위주로 되어있고 여러가지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기술들을 예로 들어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전문적인 집필진을 운영하지 않고 오로지 이용자의 자유로운 기고와 수정으로 콘텐츠를 확보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는 역시 가장 눈에 뛰는 콘텐츠였습니다. 저번에 그라운드스웰에서 본 내용이 참고가 조금 되더군요. 그곳에서 위키피디아에 대해 조금 알고 나서 이곳에서 또 살피니 정말 흥미로운 사이트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의점은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부분을 중심으로 찾는 독자라면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지 모릅니다. 그렇지만 내용면에서는 보고 참고할 면이 많은 책이라 흥미롭네요. 꼭 이 분야에서 일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콘텐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