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랫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화제의 책, 82년생 김지영을 드디어 읽어보았다. 

최근 영화로도 개봉되었고 인터넷 내의 모처에선 벌점테러라는 희대의 이벤트까지 발생케한 그 책을 읽기까지, 나는 쉽지 않았다. 

마음으로도 머리로도 준비가 덜 되어 읽기엔 아주 힘들지 모르겠다싶어서 미뤘던건데,  오버스런 걱정에 불과했다.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이상하도록 평정심이었고 단 하나의 물음만을 가졌다.

도대체, 이 책의 어디가 '한국의 한 성별'에게 발작을 일으킬 만큼 자극적이었던걸까.


나는 맛*산이라는 땅콩류가 붙은 딱딱한 과자를 좋아하지 않았다.

아니, 나 스스로 자각하지 못 했지만 돌이켜보니 나는 그 과자를 의식적으로 싫어했다. 

명절 혹은 제사라는 집안행사로 방문하시는 친할머니의 손에 늘 들려오던 과자가 바로 그거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과자는 손녀'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당신의 '장남'이 좋아한다는 이유에서 할머니가 가져오시는 과자봉지 속은 늘 아버지의 기호식품 천지였다.

김지영씨보다 2년을 늦게 태어난 나 역시 그 해에 많이 지어진 흔한 여자아이 이름 중 하나를 지녔다. 

또 장남의 장녀로 태어나 집안 밑천 이라는 수식어를 듣고 살았다.

여자가 게으르면 못 산다는 잔소리는 덤이었다. 


이 책은 소설이지만 소설이기 이전에 우리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을 모두가 알아주었으면 한다.

여성이기에 보호받아야하고 여자는 약하니까 이런일을 못한다는 선 혹은 기준도 여자쪽에 그은 것은 아니리라.

생물학적으로 서로의 부족함을 보완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사회화의 가장 기본 바탕이 아닐까.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책을 읽는 동안은 그저 마음이 조금 헛헛 할 뿐이었다. 

화가나지도 않았고 슬프지도 않았다. 단지 그렇게 살아와야 했던 지난 시간들이 따끔거렸을 뿐이다.

우리들 누구라도 겪은 아주 작은 에피소드들이 김지영씨에겐 다 포함 되었을 뿐이고, 

다행이 그 보다 더 한 에피소드들을 김지영씨눈 피해갔다. 


내가 겪지 않았다고 내가 보지 않았다고 존재하지 않는 신화나 전설 취급을 해서는 안된다.

이 시대의 혹은 이전 세대의 많은 할머니와 엄마가, 언니들과 딸들이 김지영씨였다.

여자여서 일을 못한다는 소리를 듣기 싫어 억척으로 일해냈더니 다음 세대에 무리가 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죄책감을 가지며

내 자식을 잘키워 내야지 하면서도 나를 잃어가며 사는 모든 김지영씨들이 있었기에 지금이 있는 것이다.

아직도 세상의 어느곳에선 생리를 하는 중엔 학교에 가지도 못 하는 소녀들이 존재한다.

핸드폰 하나로 세상어디와 연결이 되는 시대에 도래했지만, 여성들의 인권은 아주 더디게 혹은 제자리 걸음 중이다.

몸은 히잡안에 있지만 세상을 향해 나갈 꿈을 꾸는 소녀들에게, 다리를 드러낼 수 없어 육상선수로 올림픽에 나올 수 없는 여성들에게

우리가 이렇게 한걸음씩 나아가고 있음을 함께 존재하고 있음을 말해주고 싶다. 

단기간에 대성장을 한 한국은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지만 여전히 남녀임금격차가 크고, 여성유리천장이 단단하다고 한다. 

성별을 벗어나 능력으로 인정받으며, 경력이 단절되지 않게 사회가 함께 육아할 수 있는 세상이 오기를.

그래서 우리 다음세대의 김지영들은 자신만의 재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기를 꿈꿔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