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수단입니다. 인생의 목적지까지 잘 도착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존재입니다. 독서로 삶이 달라지기를 바란다면 책의 선택은 넓게는 자신이 세운인생의 목적에 부합해야 하고, 좁게는 현실 목표에 즉각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기준으로 볼 때 어떤 책을 선택할지에 대한 결정은 현실의 문제를 바라보는현재 당신의 위치를 설명하는 좌표이기도 합니다. - P17
목적 없는 방향은 방황이고 방향 없는목적은 허상입니다. 진정 변화하고자 한다면 인생의 목표와 목적을 딱 떨어지게 설명한 자기만의 한 문장을 지녀야합니다. 목표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묻는 대답이고, 목적은 단계별 목표를 통해 당신이 추구하는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를 가리키는 것입니다. 자기계발의 추진력은 목표와목적이 일직선으로 연결될 때 저절로 발동됩니다. 갈 길이눈앞에 보이니 가게 되는 것이죠. 목적인 ‘여행‘은 멈춘 자리에서의 설렘이고, 목표인 ‘제주도‘는 자리를 박차고 떠나도록 만드는 행동입니다. 상상만 할 게 아닙니다. 제주도행항공권을 당장 예약하세요. 목적을 목표와 잇는 겁니다. 그 순간 당신은 상상이 아닌 현실의 주체가 됩니다. - P25
다시
희망찬사람은 그 자신이 희망이다.
길찾는사람은 그 자신이 새길이다.
참좋은사람은 그 자신이 이미 좋은 세상이다.
(중략)
박노해 시집 중 - P32
진실이라는 것은 숨고 싶을 만큼 불안하고 위태로워서 불편한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를 파헤치겠다는심리적인 각성이 있어야만 당신에게 필요한게 무엇인지 제대로 보입니다. 그것은 책이기도 하고 관계이기도 하고 기회를 포착하는 타이밍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문제로부터 찾은 필요조건들은 당신 삶에 즉각적인 변화를 예고합니다. 변화의 조짐은 추상적 느낌의 차원에서 오는 게아닙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분명히 알게 하고 당신을 구체적으로 움직이게 만듭니다. 이때 생각은 명료해지고 동선은 선명해집니다. - P53
책은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기에 더 잘알고 더 잘 써야 합니다. 몇 권이나 읽었나를 따지는 차원에서 벗어나 무엇을 읽고(문제는 무엇인가, 왜 읽으며(문제 해결을 통해 어떠한 변화를 원하는가, 어떻게 지혜롭게 쓸 것인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해 자기 주관을가지고 책을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한 권이라도깊이 읽고 폭넓게 사고할 수 있어야겠지요. - P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