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자리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이주현 옮김 / 1984Books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에서는 사과 맛이 난다. 사과나무가 꽃을 피우고 불길에 휩싸인다.” 2022년 생을 마감한 프랑스 작가 크리스티앙 보뱅의 마지막 욕망은 자살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이처럼 지극히 낮으신, 흰옷을 입은 여인, 그리움의 정원에서, 작은 파티 드레스, 가벼운 마음 , 환희의 인간 등 보뱅의 작품은 한 문장 한 문장 그 깊이는 가늠하기 쉽지 않지만 또 찾게 되는 작가이기도 합니다. 1984Books 에서는 보뱅의 작품을 꾸준히 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 작품은 어떤 것들은 사라진 후에야 비로소 또렷해진다는 빈 자리입니다. 제목에서 오는 첫인상은 쓸쓸함과 고독감이었습니다. 눈앞에서 손에 잡히지 않는 것들, 언어로 완전히 포착할 수 없는 것들, 그러나 오히려 그 부재 속에서 더욱 강하게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기록, 그러한 흔적들을 따라가는 작품으로 보뱅의 작품을 좋아하는 독자로서 기대가 됩니다.

 

 

삶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는 어린 시절에 형성된다. 우리는 빛의 노래를 듣는다. 갓난아이가 자신의 가슴 속에서 흐르는 샘물 소리를 듣는 것처럼.---P.92

 

 

사랑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 역시 지울 수 없는 어린 시절에 뿌리는 두고 있다. 우리는 영원한 사랑을 기다린다. 한 아이가 오지 않는, 그러나 올지도 모를 눈을 기다리듯이. ---P.92




 

우리의 삶을 비추는 것은, 말로 전하거나 붙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우리가 말하는 것은 결국 침묵으로 돌아가고, 붙잡은 것은 결국 손을 떠난다는 뜻입니다. 저자는 한 줌 속 맑은 물을 어찌할 수 없듯이 우리의 삶 역시 통제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벗어나 우리의 사랑을 먹고 자라는 것만을 소유할 뿐이라고 . 꿈속의 나무 한 그루, 침묵 속의 한 얼굴, 하늘의 빛 한 줄기 이 문장이 기억에 남습니다.

 

 

 

크리스티앙 보뱅의 글은 단순한 서사나 논리를 따르지 않습니다. 심지어 특정한 인물의 삶을 다루는 전기에서도 이러한 방식을 거부합니다. 빈자리에서도 한 사람이 삶의 작은 순간을 바라보고, 기다리고, 때때로 멈춰 서서 사유하는 과정이 펼쳐집니다. 보뱅은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크뢰조에서 태어나 시인이자 에세이스트로 평생 글쓰기를 하며 문단이나 출판계 등 사교계와는 동떨어진 생활을 한 고독한 작가였다고 합니다. 독특하고 맑은 문체로 글은 한줄 한줄 모두 인상 깊습니다.

 

책을 펼치면 우리는 한 사람의 시선과 함께 걸으면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존재하고, 바라보고 생각합니다. 아이들과 놀고 기차역에서 사람들을 바라보고 부엌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눈밭을 걷고 문장 속에서 길을 잃기도 합니다. 일상의 삶에서 소멸해가는 것들을 바라보고 기록해 나갑니다. 빈 자리는 존재와 부재를 함께 바라보고 응시하며 엮어낸 시적 산문입니다. 시간은 일 속에서, 휴가 속에서, 어떤 이야기 속에서 소모됩니다. 빈 자리란 무엇가 있다가 사라진 자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어지럽고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지금 우리는 자신의 곁에 빈 자리를 메우는 일, 묵묵히 시간을 기다리며 어떤 존재들을 채워나가는 일이 진정한 삶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의 수집가들
피에르 르탕 지음, 이재형 옮김 / 오프더레코드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는 파블로 피카소가 친구들에게 손수 만들어준 담배꽁초 케이스 가 등장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인데 손수 만들어 주었다는 거에 수집하는데 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밖에 알려지지 않은 예술 작품도 만날 수 있어 특별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십에 쓰는 천자문 하루 10분, 고전을 만나다 1
한치선(타타오) 지음 / 알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손독 을 통해 #리얼북스 로 부터 #필사도서 두 권을 #도서지원 받았습니다.

 

오십에 쓰는 천자문_ 하루 10, 고전을 만나다

 

천자문(千字文)4언고시에 속하는 한시(漢詩)이자 대표적인 한문 습자 교본입니다. 저자는 중국 남북조시대의 양무제 시절 학자 주흥사(周興嗣, 470~521). 삼국시대(중국)에 종요(鍾繇)가 이미 천자문을 지었다고 하나 현재 알려진 것은 주흥사의 천자문입니다. 천자문을 필사하면서 세상의 이치를 알고 마음 수양까지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입니다. 하루 10분 인문학자이자 서예가인 작가의 깊고 해박한 해설까지 있는 오십에 쓰는 천자문으로 인성수양과 내면의 성찰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어릴적에 하늘 천, 땅지, 검을 현, 누를 황 이렇게 중얼거리면서 한자를 배운 기억이 있습니다. 천자문은 총1,000 개의 한자를 문장으로 구성하여 읽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한자를 읽히도록 돕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필사는 한다면 올바른 마음의 수양을 위한 필요한 학문으로 하루 10분을 투자하여 필사를 하면서 마음을 수양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리얼북스 @realbooks 출판사에서는 천자문을 시작으로 채근담, 도덕경, 맹자, 중용, 논어, 대학 등 필사시리즈를 꾸준히 출간하고 있습니다. 눈으로 한번 읽는 것과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손으로 책을 읽는 필사야 말로 책을 되새김질하며 눈으로 보는 것만 아닌 머리로 느끼면서 한 글자 한 글자 쓰면서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것입니다. 집중력과 기억력에도 도움이 되는 손글씨의 효과 오십에 쓰는 천자문_ 하루 10, 고전을 만나다 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십에 쓰는 채근담 하루 10분, 고전을 만나다 2
한치선(타타오) 지음 / 알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손독 을 통해 #리얼북스 로 부터 #필사도서 두 권을 #도서지원 받았습니다.

 

오십에 쓰는 채근담_ 하루 10, 고전을 만나다

 

 

하루 10, 펜으로 쓰며 만나는 삶의 이치와 깨달음!’의 채근담. 작가의 해설과 체본을 통해 얻는 동양 고전글씨 쓰기의 즐거움!’ 필사의 마음 자세부터 기본 획 쓰기 그리고 다양한 문장 쓰기까지.

 

문자란 생명과 사상을 담은 그릇이기에 필사하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인성수양이며 도야입니다.

삶을 돌아보고 되새길 나이에 만나는 동양고전 채근담하루 10분 쓰기의 즐거움!

 



 

天地 寂然不動 而氣機 無息少停, 日月 晝夜奔馳 而貞明 萬古不易. 故 君子 閒時 要有喫緊的心事, 忙處 要有悠閒的趣味.(천지 적연부동 이기기 무식소정, 일월 주야분치 이정명 만고불역. 고 군자 한시 요유끽긴적심사, 망처 요유유한적취미.) 하늘과 땅은 고요하지만, 그 활동을 잠시도 멈추지 않으며, 해와 달은 밤낮으로 달리나 그 빛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고로 군자는 한가로운 때에 다급함을 대비하는 마음을 가지고, 바쁜 때에도 한가로움을 지녀야 한다.

---본문중에서

 

요즘들어 필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 자신의 필체를 고치려는 노력도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검색하던 중 묵화동화 뿌리 인문학 유튜브 타타오 서재를 찾아 보았습니다. 사자성어부터 오언절구 한시 맛보기, 긍정어 100단어 등 다양한 자료가 많이 있었습니다. 이 책 오십에 쓰는 채근담은 삶의 가치와 지혜를 일깨우는 동양고전 채근담중에서 66편을 엄선하여 해설해 줍니다. 또한 작가의 수려한 글씨체로 담았다는 점에서 특별했습니다. 저자는 세상과 삶의 의미를 되새기며 만나게 되는 관조적이고 품격있는 성인의 경지 인문학자이자 서예가로 작가의 해석으로 주옥같은 문장과 삶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하루 10, 고전 필사시리즈를 통해 하루 10분 정성껏 필사하면서 동양고전의 깊을 뜻을 헤아려 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강 다리, 서울을 잇다 - 공학 박사가 들려주는 한강 다리의 놀라운 기술과 역사
윤세윤 지음 / 동아시아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강의 과거와 오늘, 역사를 관통하는 8개의 다리

출판사 제공 도서입니다.

 

여름이면 한강 공원에 앉아 야경의 무지개 분수를 시원하게 즐기면서 다리를 바라보는 낭만이 있는 곳 서울입니다. 이처럼 서울 시민들의 삶에서 한강과 다리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한강 다리, 서울을 잇다>는 한강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의 개발 과정에서부터 지금의 서울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다사다난했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놀라운 기술 이야기까지 서울의 숨은 보석을 찾아가는 공학박사가 들려주는 갚진 여행으로 기대가 됩니다.

 

한반도의 중심부를 흐르는 한강은 단순한 지리적 특성을 넘어 한국인들에게 역사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그 한강 위에 거대하게 놓여 있는 다리들은 각자의 이야기를 가지고 거기에 사는 서울 시민들과 같이 호흡하며 살아왔습니다. 한강이라는 이름도 역사적으로 달라져 왔는데 삼국시대에는 나라마다 한강을 다르게 불렀는데 고구려는 아리수, 백제는 욱리하라는 이름으로 신라의 경우는 한강의 상류와 하류를 구분하여 각각 이하, 왕봉하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육십년 가까이 살면서도 한강에 대해 이렇게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에 놀랍습니다.

 




 

기차가 철교를 지날 때 기차의 이음매 충격음과 철교의 고유 진동수가 일치하게 되면 공명현상에 의해 철교가 붕괴할 수도 있다. ---p.122

 

한강의 다리들을 보면 물 속에 어떻게 교각을 만들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 한강대교의 물속 교각은 오픈케이슨이라는 방법을 이용하며 만들어졌다. ---p.173

 

 

센강은 좌우를 나누지만 한강은 남북을 잇는다

도시와 바깥 세상을 가르는 경계가 아닌 도시의 일부가 되기까지

지금의 서울을 만든 한강과 한강 다리의 역사

 

 

이 책에서는 한강의 다리 한강철교, 한강대교, 양화대교, 한남대교, 성수대교, 원효대교, 올림칙대교, 반포대교로 총 8개의 한강다리의 구조나 기술적 특성을 설명해주며 더 나아가 각 다리가 품고 있는 역사, 그 시대의 사회상 그리고 그 뒤에 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한강 다리를 생각하면 아픈 역사도 가지고 있습니다. 성수대교의 붕괴와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으로 작가는 이 책의 초고를 탈고한 2024년이 성수대교 붕고 사고 30주기였다고 하니 이 책이 더욱 뜻깊게 느껴집니다. 해외를 여행하다 보면 그 유명한 강들이 우리 서울의 한강 같이 깨끗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됩니다.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서울과 한강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미래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될 것으로 이 책이 큰 도움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