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걸리버 여행기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7
조너선 스위프트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9월
평점 :
제가 아주 어렸을 때 읽었던 동화 중에 <걸리버 여행기>가 있었습니다. 그 당시엔 그저 만화가 좋아서, 책이 좋아서 읽었던 동화라고 치부를 했죠. 현대 지성에서 클래식으로 출간된 책을 보고 이게 고전이라고? 했던 제 반응이 새삼 떠오릅니다. 심지어 책 뒤편에는 제가 좋아하는 조지 오웰 작가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합니다. "세상에 여섯 권의 책만 남긴다면 그중의 하나로 이 책을 고를 것이다." 저의 뒤통수를 누가 내려치는 줄 알았습니다. 또 이렇게 저의 무지함이 드러나고야 말았지요. 그래도 지금이라도 알았으니 된 거 아니겠습니까.
<걸리버 여행기>는 저에게 읽을수록 신선한 충격을 줍니다. 제 기억력의 망각인지, 책의 어느 부분은 생략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중요한 건 제가 알지 못하는 나라를 여행하고 온 걸리버라는 사실이죠. 총 4장으로 릴리펏(소인국), 브롭딩낵(거인국), 라퓨타(날아다니는 섬), 후이늠국(말의 나라) 여행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던 걸리버 여행기와는 수준이 다릅니다. 왜 고전인지 알 것 같습니다. 예전에 TV로 방영했던 것과 비슷하지 않아?라고 물어보신다면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어딘가 존재하고 있을 나라를 통해 작가는 자신이 하고 싶은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대놓고 하는 것보다 우회적으로 돌려까기를 시도합니다.
걸리버의 첫 여행지,,, 여행지라고 하니 비행기 티켓을 끊고 도착하는 그런 여행은 아닙니다. 배가 난파해 도착한 곳의 첫 여행지는 소인국입니다. 소인국에 거인 걸리버가 나타났으니 그 나라는 무슨 조화인가 하겠죠. 그냥 소인국에서, 거인국에서, 날아다니는 섬이 있는 곳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라면 그냥 가볍게 읽고 지나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안에 심오한 풍자가 들어 있습니다. 소인국에선 권력의 맛을 통해 욕심이 채워지면 채워진 만큼 더한 허기가 생긴다는 거죠. 그 당시의 영국의 보수와 진보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가톨릭과 개신교의 갈등을 달걀을 깨서 먹는 방법을 통해 이야기합니다.
거인국에선 한 농부가 크기가 벌레만도 안되는 걸리버를 돈벌이로 이용합니다. 또한 한심한 시종이라 할지라도 자신이 상관이 높은 지위를 갖고 있다면 자신 또한 높은 지위를 가진 양 행동한다는 거죠. 즉 자신보다 약자라고 생각하면 언제든 물어뜯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3장에는 망자를 불러낼 수 있는 통치자를 만나게 됩니다. 걸리버는 호메로스와 아리스토텔레스를 소환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고대 사람들 중에 어떤 분을 만나고 싶나요? 저도 호메로스를 만나고 싶습니다.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재밌게 읽은 일인이기에 만나서 토론을 해보고 싶네요. 지식과 내면의 깊이를 배우고 싶어지네요.
4장에서도 저의 기억에는 전무한 이야기들이 펼쳐집니다. 누군가를 변론하는 자들에 대한 비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지성의 소유자가 자신의 의무를 소홀히 할 뿐만 아니라 왜곡하는 모습은 지양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생각지도 않은 선물 같은 책입니다. 고전이라고 생각지 못했던 동화가 이리 심오한 뜻이 있을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연필로 줄을 쳐가면서 왜 조지 오웰이 좋아했는지 조금은 알 것 같았습니다. <걸리버 여행기>는 보는 사람에 따라서 달라지는 풍자 소설입니다. 권력을 지닌 인간을, 인간의 나약함을, 언제고 변할 수 있는 추악한 본성을, 돈이면 이성이 왜곡될 수 있음을 작가는 비판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본성을 걸리버라는 사람의 여행을 통해 보게 합니다. 왜 이제서야 읽었는지 후회가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