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오니즘 - 셀트리온은 어떻게 일하는가
전예진 지음 / 스마트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론에서 극찬하는 이 사람이 난 왜 사기꾼 같을까? 지금까지 결과물도 그닥 신용할 수 없고 언플해서 주가 띄우는 사기꾼 같은데.. 나중에 뒷감당 어떡하려고 이러나 싶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헐 ... 최고 인사권자를 법원이 대놓고 무시하네...그런데 일개 행정법원 판사가 대통령이 결정할 걸 뒤집을 수 있나?? 전 세계적으로 이런 판례가 있는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라마 하이에나10회 에피소드중 김변호사 말에 의하면, OECD 평균상속세율이 25~% 거기에 주식할증률까지 고려하면 65%....(홍콩과 싱가폴은 상속세율이 없음)... 기업가들 입장에서 보면 쎄긴 쎄지!!

 

이건희 전삼성회장의 부고후, 언론에서 삼성의 상속세가 11조가 되서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나 같은 일반인에게도 세금이 11조면 과해 보이긴 했다. 말이 11조지, 우리 같은 서민은 꿈도 꾸지 못하는 숫자의 향연이다. 이건희 회장의 재산이 18조에서 19조, 그 자식들도 몇조대의 재산을 가지고 있으니, 실로 삼성의 거대한 부는 일반인들에게는 상상초월이다.

 

뉴스에서나 듣는 11조는 그게 얼마나 큰 돈인지, 우리는 사실 모른다. 일단 숫자에 약하고 통장에 몇만원밖에 없는 대한민국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언론에서 떠들어대는 11조는 덩어리로서의 숫자로 인식할 뿐이다. 


그래서 언론이 대한민국은 상속세가 과하다고 떠들어 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조해, 정부의 세금폭탄을 비난하는 것이다.  물론 개인적으로 상속세가11조면 과하다고 생각은 한다. 그래서 어느 정도 상속세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거 아닌가란 생각도 슬쩍 했다. 상속세에 대해선 뭐 정부든 국회든 앞으로 알아서 하겠지만, 


우리는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사실 삼성가가 상속세11조 내고도 나머지 금액으로 얼마든지 잘 먹고 잘 살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우리 사회, 경제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면서, 아니 더 정확하게 모든 산업이 글로벌화 되면서, 어릴 때 큰 돈이었던 1억이, 어느 순간 하잖은 숫자로 인식 되고 있지만,

 

삼성가가 상속세로 11조를 내고 나머지 7조나 8조를 가진다 해도 이건 뭐 넘사벽이라는 것이다. 8,9조가 얼마나 큰 돈인지 보다 먼저 조가 얼마나 큰 돈인지 알아보면, 최근에 읽은 <험블 파이>에 이런 대목이 있다.

 

 

내가 즐겨 쓰는 비유는 큰 숫자를 시간에 대입해 보는 것이다 우리는 100만, 10억, 1조가 서로 크기가 다르다는 것은 알지만, 그 사이에 감춰진 충격적인 차이를 놓칠 때가 있다. 지금부터 100만 초가 지나려면 11일 하고 14시간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이 걸린다. 썩 나쁘지 않다. 충분히 기다릴 수 있다. 고작 2주 아닌가. 그러나 10억초는 31년이 걸린다.

 

지금부터 1조 초가 흐르면, 무려 서기 33700년 후이다.

 

잠깐 생각해 보면 이렇게 큰 차이의 숫자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00만, 10억, 그리고 1조는 서로 1,000배 차이다. 100만초는 대략 1개월의 3분의 1이고 10억초는 3분의 1의 1000배인 약 330개월 정도가 된다. 그렇게 해서 10억초가 약 31년이라면, 1조 초는 31,000년쯤 된다.

 

(전자책14~15P)


이건희 회장의 재산 18조를 시간에 대입해 보면, 실로 어마무시한 숫자인 것이다. 1조가 31,000년이 걸리는데 18조면 558,000년이 걸리는 거다. 그런데 11조를 내고 8조를 가지고 있으니, 8조를 다 사용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

 

그냥 재미난 상상을 해 봤는데,

 

8조로 도박을 하지 않은 이상, 다 쓰고 죽지도 못하는 돈은 분명하다. 하루에 천만원, 이천만원, 일억을 쓰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돈이 돈을 번다고, 내가 만약 1조를 가지고 있으면 하루에 천만원을 쓰다가 사는 게 지루해서, 1000억짜리 빌딩을 산 경우 그 빌딩에서 나오는 임대 수입까지 계산해 보면 이건 뭐....뫼비우스의 띠처럼 아무리 많은 소비를 한다 해도 결코 끝나지 않고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 오는 부의 축적을 쌓아 올릴 수 있다는 거다. 


1조가 이럴진대, 8,9조면 부의 뫼비우스안에서 대대손손 갇혀 사는 것이다(물론 이런 뫼비우스의띠에서 갇혀 산다면 바랄 나위가 없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키의 신작이 예약판매중인데, 제목이 흥미롭다. 일인칭 단수, 개인적으로 소설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점이 일인칭 시점인데,

일단 나는, 으로 시작되는 이야기는 사건의 전체적이고 입체적인 흐름을 알 수 없고 이상하게 자기 고백적(혹은 독백적 혹은 내면적 혹은 심리적)이고 감정적으로 처지는 느낌이 나서, 일인칭으로 시작되는 소설은 믿고 거른다.

그래서 내가 극혐하는 시점인 일인칭 단수,라는 제목을 본 순간, 어 뭐지??? 왜 일인칭이야? 일인칭 시점 캐릭터로 어떻게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려고?? 물론 일인칭 시점을 다루는 그만의 방식이 있겠지만, 이야기를 다루는 솜씨가 만만찮은 하루키가 아니 이야기로 할 말이 많은 작가가 일인칭 시점은 소설 캐릭터들의 행동반경이 넓지 않아, 운신의 폭이 좁을텐데, 다 담아낼 수 있을까??

무슨 이야기가 하고 싶은 것일까?

작가들이 글을 쓸 때 선호하는 시점은 뭘까? 모든 이야기를 풀고 싶을 때 역시 작가 시점이 제일 좋지 않을까? 일인칭 시점을 선택할 때는 작가들이 한번쯤은 고심해 보지 않을까? 그리고 독자도 읽고 나서 아, 이건 작가 시점이 더 좋았을 것 같은데 하면서 안타까운 작품이 있을 수 있지 않으려나.

내 독서 경험상으로, 상반기에 읽은 GV 빌런 고태경,이 딱 그런 소설이었다. 재밌게 읽은 일인칭 소설이었지만( 캐릭터도 좋고 이야기 흐름도 좋은 작품이었다),

그런데 읽고 나서, 아 이 작품은 삼인칭 작가 시점이었으면 더 좋은 작품으로 남었을텐데, 작가가 처음 몇 장만이라고 일인칭도 써 보고 삼인칭도 써 보는 테스트를 했더라면, 휠씬 더 좋은 작품으로 남지 않었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적어도 나는 고태경의 실체 그리고 그의 본심을 알고 싶었기에, 작가가 일인칭 시점을 내세운 건 두고두고 아쉬웠던 작품이었다.

사실 우리 나라 작가들이 유독 일인칭 소설을 애정애정해서.. 나랑는 잘 맞지 않는 부분이 많은데, 작가들마다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 낼지 고심은 하겠지만, 좀 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나 이야기의 스케일을 키워보는 것, 이게 한국 문학의 과제 아닐런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젊은 시절부터 킹의 신간은 언제나 관심의 대상이다. 창작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은 지, 고희가 넘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이년 간격으로 작품이 나오는 것 같다. 경외롭다.

고도에서,는 읽은지 꽤 된 중편소설이지만 내용이 따스하고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그가 중력에 대해 꽤 자세하게 알고 있구나! 하는 점이었다. 대충 두리뭉실하게 아는 게 아니고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중력을 대상으로 아주 재미난 상상을 했다는 점에서 이 작은 소설에 높은 점수을 주고 싶다.

킹은 나이가 들어도 소설적 상상력은 자유롭구나, 그 나이 되면 상상력도 무뎌지고 인식의 틀은 보수적으로 변하는데, 전혀 그런 티가 나지 않는다.

고도에서,를 읽고 킹이 과학에 대한 관심과 과학 공부를 시간 들여하고 있나, 하고 호기심이 일었는데 그 호기심을 이번에 읽은 인스티튜트의 작가 후기에서 어느 정도 충족이 되었다. 킹이 소설을 쓸 때는 자료 조사를 하는 조사인이 따로 있었던 것이다. 조사인이 킹의 의뢰를 받으면 과학이든 의학이든 전반적인 사회에서 통용되는 기초와 지식 자료를 킹에게 알려주는 것이었다(인스티튜드의 후기 꼭 읽어보사길).

인스티튜트,는 밤새워 읽었을 정도로 재밌긴 했지만 끝으로 갈수록 뭔가 부족하고 아쉬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의 상상력은 이야기를 어디까지 끌고 갈 수 있을까? 이런 이야기가 가당키나 하나? 이거 너무 음모론적인 웃기는 상상력 아닌가 싶었는데,

순간 이야기적 상상력에 제한을 두는 내가 꽉 막힌 인습론자 아닐까 하는 반성이.. 우리 뇌에서 나오는 상상력에 한계를 둘 필요가 뭐 있지, 이야기적 상상력은 무한하고 자유로워서, 과거를 갈 수도, 미래를 갈수도, 심지어 우주 여행까지 가능한데, 왜 나는 작가의 상상력에 장막을 덮는 걸까!!

우리의 뇌(상상력)는 현실의 불가능한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 , 그 상상력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만들현재라는 베이스에서 모든 걸 대입해서 소설적 상상력에 의문을 떠올리기 보다 즐기는 쪽으로, 우리의 뇌적 상상력은 무한한데 괜히 브레이크 걸지 말자,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