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드라마 하이에나10회 에피소드중 김변호사 말에 의하면, OECD 평균상속세율이 25~% 거기에 주식할증률까지 고려하면 65%....(홍콩과 싱가폴은 상속세율이 없음)... 기업가들 입장에서 보면 쎄긴 쎄지!!

 

이건희 전삼성회장의 부고후, 언론에서 삼성의 상속세가 11조가 되서 화제가 된 적이 있는데, 나 같은 일반인에게도 세금이 11조면 과해 보이긴 했다. 말이 11조지, 우리 같은 서민은 꿈도 꾸지 못하는 숫자의 향연이다. 이건희 회장의 재산이 18조에서 19조, 그 자식들도 몇조대의 재산을 가지고 있으니, 실로 삼성의 거대한 부는 일반인들에게는 상상초월이다.

 

뉴스에서나 듣는 11조는 그게 얼마나 큰 돈인지, 우리는 사실 모른다. 일단 숫자에 약하고 통장에 몇만원밖에 없는 대한민국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언론에서 떠들어대는 11조는 덩어리로서의 숫자로 인식할 뿐이다. 


그래서 언론이 대한민국은 상속세가 과하다고 떠들어 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조해, 정부의 세금폭탄을 비난하는 것이다.  물론 개인적으로 상속세가11조면 과하다고 생각은 한다. 그래서 어느 정도 상속세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거 아닌가란 생각도 슬쩍 했다. 상속세에 대해선 뭐 정부든 국회든 앞으로 알아서 하겠지만, 


우리는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사실 삼성가가 상속세11조 내고도 나머지 금액으로 얼마든지 잘 먹고 잘 살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우리 사회, 경제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면서, 아니 더 정확하게 모든 산업이 글로벌화 되면서, 어릴 때 큰 돈이었던 1억이, 어느 순간 하잖은 숫자로 인식 되고 있지만,

 

삼성가가 상속세로 11조를 내고 나머지 7조나 8조를 가진다 해도 이건 뭐 넘사벽이라는 것이다. 8,9조가 얼마나 큰 돈인지 보다 먼저 조가 얼마나 큰 돈인지 알아보면, 최근에 읽은 <험블 파이>에 이런 대목이 있다.

 

 

내가 즐겨 쓰는 비유는 큰 숫자를 시간에 대입해 보는 것이다 우리는 100만, 10억, 1조가 서로 크기가 다르다는 것은 알지만, 그 사이에 감춰진 충격적인 차이를 놓칠 때가 있다. 지금부터 100만 초가 지나려면 11일 하고 14시간에 조금 못 미치는 시간이 걸린다. 썩 나쁘지 않다. 충분히 기다릴 수 있다. 고작 2주 아닌가. 그러나 10억초는 31년이 걸린다.

 

지금부터 1조 초가 흐르면, 무려 서기 33700년 후이다.

 

잠깐 생각해 보면 이렇게 큰 차이의 숫자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100만, 10억, 그리고 1조는 서로 1,000배 차이다. 100만초는 대략 1개월의 3분의 1이고 10억초는 3분의 1의 1000배인 약 330개월 정도가 된다. 그렇게 해서 10억초가 약 31년이라면, 1조 초는 31,000년쯤 된다.

 

(전자책14~15P)


이건희 회장의 재산 18조를 시간에 대입해 보면, 실로 어마무시한 숫자인 것이다. 1조가 31,000년이 걸리는데 18조면 558,000년이 걸리는 거다. 그런데 11조를 내고 8조를 가지고 있으니, 8조를 다 사용하려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까?

 

그냥 재미난 상상을 해 봤는데,

 

8조로 도박을 하지 않은 이상, 다 쓰고 죽지도 못하는 돈은 분명하다. 하루에 천만원, 이천만원, 일억을 쓰는 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돈이 돈을 번다고, 내가 만약 1조를 가지고 있으면 하루에 천만원을 쓰다가 사는 게 지루해서, 1000억짜리 빌딩을 산 경우 그 빌딩에서 나오는 임대 수입까지 계산해 보면 이건 뭐....뫼비우스의 띠처럼 아무리 많은 소비를 한다 해도 결코 끝나지 않고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 오는 부의 축적을 쌓아 올릴 수 있다는 거다. 


1조가 이럴진대, 8,9조면 부의 뫼비우스안에서 대대손손 갇혀 사는 것이다(물론 이런 뫼비우스의띠에서 갇혀 산다면 바랄 나위가 없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뉴턴의 시계 - 과학혁명과 근대의 탄생
에드워드 돌닉 지음, 노태복 옮김 / 책과함께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21세기에서조차 바이러스를 가장 쉽게 막는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는건 어쩜 ‘봉쇄’일지 모르겠다. 코로나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가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으니 말이다.

에드워드 돌닉의 <뉴턴의 시계>에서는 뉴턴이 페스트를 피해 자신의 어머니가 있던 농장으로 피신할 정도로, 16세기 페스트가 런던을 휩쓸던 모습을 설명하는데, 인상적인 대목이 밖에서 문을 걸어 잠그고 나오지 못하도록 보초를 섰다는 대목이었다. 죽어서야 나올 수 있었던 완전 감금, 과학이 전혀 발달되지 않었던 시대라 봉쇄는 가장 쉽고 효율적인 방어였을 것이다. 그리고 저 시대에는 봉쇄이외에는 어떤 과학적인 대안이나 치료법이 있지도 않었다

내 생각이지만 봉쇄는 글로벌한 현대에서는 효율적인 방어기제는 아니다. 가장 쉬운 방어기제일 뿐이다. 덜 접촉하고 덜 전염되겠지만 훌륭한 방어기제는 아니다. 이탈리아의 예에서 보듯이 말이다. 아무리 사방 팔방 틀어막아도 수십만명의 사람이 간염되고 수만명의 사람들이 죽었다. 봉쇄만이 유일한 방법이었던 16세기 런던의 페스트는 몇개월만에 인구의 1/5, 십만명의 목숨을 앗아갔다고 돌닉은 말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문재인 정부는 초기엔 중국을 봉쇄하지 않었다고, 지금은 해외유입자를 봉쇄하지 않는다고 비난을 받고 있는데, 위에서도 말했듯이 봉쇄는 가장 쉬운 방어기제다. 지금 문정부의 방역시스템이 가장 힘들고 어려운 바이러스에 대처하는 방어다. 진단 키트를 만들어 전범위한 사람들을 테스트하고 접촉자들과 동선을 확인한다. 문정부을 지지하는 나도 뭐하러 저러지 사방팔방 막으면 되는 걸 뭘 저렇게까지 힘들게 방어하나...하는 생각을 했다. ( 그 어려운 걸 이 정부에서 합니다).

지금은 생각이 많이 바꼈다. 중국 봉쇄는 경제적 이해 관계가 있는 상황에서 (나중의 중국의 경제 보복 때문이라도), 절대 해서는 안 될 조치였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가 가장 어려운 방어기제를 선택하면서, 가지치기로 진단 키트같은 기술이 발전했다는 점 그리고 그 키트를 수출까지 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리없이 강하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고 국내는 안전하다는 의식을 만들어 준 것에 응원을 보낸다.


사족: 호텔에 종사하는 친구 중 한명이 코로나 바이러스 초기에 중국 봉쇄를 주장했는데, 지금 호텔 종사자 대부분 권고 사직 상태이다. (차라리 실업급여 타라고) 현재 그 친구가 그 누구보다 나중에 중국인 관광객만이라도 들어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야 호텔이든 항공이든 살 거라고... 중국 봉쇄를 왜 안 했느냐의 이유중 하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타, 237쪽, 넷째줄, 그러한 원리없이 2,8,18,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상욱의 양자 공부 - 완전히 새로운 현대 물리학 입문
김상욱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자역학에 대해 이만큼 쉽게 설명이 잘 되어 있는 책이 없을 듯하다 잡다한 이야기는 다 쳐내고 양자에 대한 에센스만 담고 있는 양자입문서로 절대 강자의 책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주율의 새로운 정의

 

1.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

2. 아인슈타인이 태어난 날 1879.3.14 혹은

3. 스티븐 호킹이 죽은 날 2017.3.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