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공 정부가 점점 신망을 잃음에 따라 이를 상쇄하기 위한 군사적 노력은 점점 더 필사적으로 변해 갔다. 점점 신망을 잃음에 따라 이를 상쇄하기 위한 군사적 노력은 점점 더 필사적으로 변해 갔다. 1967년 말 하원의 한 비밀 보고서는 베트콩이 남베트남 정부보다 다섯 배가량 많은 토지를 농민들에게 분배하고 있는데 반해, 베트남 정부의 토지분배 프로그램은 사실상 답보상태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렇게 말했다. “베트콩은 지주의 지배를 없애 버리고 부재지주와 G.V.N(베트남 정부) 소유의 토지를 땅 없는 사람들과 베트콩 당국에 협조하는 사람들에게 재분배했다.”

 

사이공 정부가 지지를 잃었다는 점은 1968년 초에 민족해방전선이 사이공을 비롯한 정부가 장악한 도시를 대대적으로 침투하는데도 현지 주민들이 정부에 경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이로써 민족해방전선은 기습공격(당시는 베트남의 신년 연휴인 구정(Tet)’이었다)에 착수, 사이공 심장부로 진입하고 탄손누트(Tan Son Nhut) 공항을 마비시켰으며 심지어 잠시 동안이지만 미국 대사관까지 점령했다. 비록 격퇴당하기는 했지만, 이 공격은 미국이 베트남에 퍼부은 그 모든 거대한 화력으로도 민족해방전선 자체와 그들의 사기, 그들에 대한 대중의지지, 싸우려는 의지를 파괴하지 못했음을 보여줬다. 구정 공세는 미국 정부 내에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재평가를 야기했고 미국인들 사이에 더 큰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1개 중대의 일반 병사들이 저지른 미라이 학살은 베트남 민간인들에 대해 대규모 파괴를 가하려는 고위급 군 및 민간 지도자들의 계획과 비교하면 작은 사건에 지나지 않았다. 1966년 초, 국방부 차관보 존 맥노턴(John McNaughton)은 북베트남 촌락에 대한 대규모 폭격이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낳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다른 전략을 제안했다. 맥노턴은 촌락에 대한 공습은 해외와 국내에서 반발의 물결이 높아지는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신 이렇게 제안했다.

 

그러나 제대로 처리하기만 한다면 수문과 댐을 파괴하는 전략은 유망한 효과를 발휘할지도 모릅니다. 이를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그런 곳을 파괴한다고 사람을 죽이거나 익사시키지는 않습니다. 논에 관개되는 수량을 줄이고 식량을 제공하지 않으면 얼마 뒤에 기아(100만 명 이상이겠지요?)가 널리 확산될 테지요. 그 때 식량을 제공하겠다고 회담 테이블에서 말하면 된는 겁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일본의 인구 밀집지역에 대한 폭격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폭격은 베트남의 평범한 국민들의 저항의지를 파괴하려는 목적 아래 이루어진 일이었다. 존슨 대통령은 군사 목표물만을 폭격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하긴 했지만, 정부는 폭격을 묘사하기 위해 나사를 한 번 더 돌려라같은 언어를 구사하고 있었다. 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1966년 중 어느 때인가 중앙정보국에서 더 강력한 폭격 계획을 권고했는데, 중앙정보국의 표현대로 하면 정권의 의지 자체를 목표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통킹만 사건 직후, 미국 전투기들이 북베트남을 폭격하기 시작했다. 1965년에만 20만 명이 넘는 미군 병사가 남베트남으로 파병됐고, 1966년에는 20만 명이 추가로 파병됐다. 1968년 초에 이르러 남베트남에는 50만 명 이상의 미군 병력이 주둔하고 있었고, 미 공군은 역사상 전례가 없는 규모로 폭탄을 투하하고 있었다. 이런 폭격으로 야기된 대규모 재난을 어렴풋이 보여주는 몇 가지 사건이 외부 세계에 알려지게 됐다. 196565일자 뉴욕타임스에는 사이공발 급보가 실렸다.

 

공산주의자들이 꽝응아이(Quang Ngai)에서 철수하던 지난 월요일, 미군 제트폭격기들은 그들이 퇴각하는 언덕에 맹포격을 가했다. 이 공습으로 많은 베트남인들이 사망했다. 혹자는 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미국은 그들이 베트콩 병사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폭격이 이루어진 뒤 네이팜탄, 즉 젤리형 가솔린으로 인한 화상을 입고 베트남의 한 병원에 치료를 받으러온 사람들 4명 가운데 3명은 마을 부녀자들이었다.”

 

96일에는 또 다른 급보가 사이공발로 도착했다.

 

“815, 사이공 남쪽[동북쪽의 오기] 비엔호아(Bien Hoa) 지방에서 미군 항공기가 불교 사원과 가톨릭교회를 오폭하는 사고가 있었다. 1965년에만 세 번째로 불교 사원이 폭격을 당한 것이다. 같은 지역에 있는 까오다이교 사원 한 곳도 올해에만 두 번의 폭격을 당했다. 또 다른 [동나이 강] 삼각주 지역에는 네이팜탄으로 화상을 입어 두 팔이 떨어져 나가고 눈꺼풀에도 심한 화상을 입어 눈을 감을 수조차 없게 된 여성이 있다. 잘 시간이 되면 가족들이 여자의 머리를 담요로 덮어 준다. 이 여성은 자신을 불구호 만든 공습으로 두 아이를 잃었다. 미국인들은 자기 나라의 공군이 베트남에서 무슨 행위를 하고 있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 남베트남에서는 매일 무고한 민간인들이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남베트남의 많은 지역이 무차별 포격지대로 포고됐는데, 이것은 이 지역에 남아 있는 모든 사람(민간인, 노인, 어린이)은 적으로 간주하며 마음대로 폭탄을 투하할 수 있다는 뜻이었다. 베트콩을 숨기고 있다고 추정되는 촌락은 수색 섬멸작전의 대상이 됐다. 군대 갈 나이의 남자들은 살해하고, 가옥은 불태웠으며, 여자와 어린이, 노인들은 난민수용소로 보내버린 것이다. 저너선 셸(Jonathan Schell)벤숙 마을(The Village of Ben Suc)에서 수색 섬멸 작전을 묘사했다. 한 마을을 포위하고 공격했는데, 그 과정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던 남자 한 명이 총에 맞아 쓰러졌고, 강변에 소풍을 나온 3명이 총격으로 사망했으며, 가옥이 파괴되고 여자와 아이, 노인들은 조상 대대로 살아온 집을 뒤로 한 채 돼지처럼 떼를 지어 이동했다.

 

중앙정보국은 불사조 작전(Operation Phoenix)’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하 공산당원이라는 혐의가 있는 남베트남인을 적어도 2만 명이나 비밀리에 재판도 없이 처형했다. 19751월에 한 친정부 분석가는 포린 어페어즈(Foreign Affairs)에 이렇게 썼다. “불사조 작전으로 많은 무고한 민간인을 살해, 투옥한 것은 사실이지만, 공산당 하부구조의 많은 당원들을 제거하는 데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뒤 공개된 국제적십자사의 자료를 보면, 전쟁이 정점에 달했을 때는 65,000명에서 7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구금되어 종종 구타와 고문을 당했던 남베트남 포로수용소에서 미국 측 고문단이 이를 감시하고 때로는 직접 가담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적십자 참관인들은 베트남의 두 주요 포로수용소-푸콕(Phu Quoc)과 퀴논(Qui Nhon)에 있으며 미국 고문단이 머물고 있었다-에서 지속적이고 조직적인 야만행위가 벌어지고 있음을 알아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700만 톤의 폭탄이 베트남에 투하됐는데, 이것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과 아시아에 투하된 폭탄 전체의 두 배가 넘는 규모였다. 베트남의 모든 국민에게 거의 200kg짜리 폭탄 하나씩을 안긴 셈이었다. 이 나라에는 거의 2,000만 개의 폭탄 구멍이 생긴 것으로 추산됐다. 게다가 나무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생물을 파괴하기 위해 비행기로 독성 액체를 살포했다. 매사추세츠 주 크기의 지역이 독극물로 뒤덮인 것이다. 베트남 여성들은 기형아를 낳았다고 신고했다. 쥐를 대상으로 동일한 독극물(2,4,5,T[제초제의 일종으로 지방족 산제 중 하나이며 보통 2,4,5-T로 표기한다])을 실험한 예일 대학 생물학자들은 기형 쥐가 태어났다고 보고하면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믿을 만한 근거는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1968316, 미군의 한 중대가 꽝응아이 성의 미라이[My Lai 4 숫자 4는 미라이1, 미라이2 식으로 미군이 작전 편의상 붙인 것이다] 마을에 진입했다. 병사들은 노인과 아이를 안고 있는 부녀자들을 비롯한 주민들을 전부 한 곳으로 집합시켰다. 주민들에게 구덩이를 파라고 명령한 병사들은 구덩이가 완성되자 주민들을 구덩이로 몰아넣고 일제히 사격을 가했다. 훗날 열린 윌리엄 캘리(William Calley) 중위에 대한 재판에서 소총수 제임스 더시(James Dursi)가 증언한 내용이 뉴욕타임스에 실렸다.

 

캘리 중위와 눈물을 흘리는 폴 D. 메들로(Paul D. Meadlo)라는 소총수-아이들을 쏘기 전에 사탕을 먹인 바로 그 병사이다-가 포로들을 구덩이로 밀어 넣었다.

 

캘리 중위가 사격 명령을 내렸는데, 정확한 구절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사격 개시같은 말이었습니다.

 

메들로가 나를 보며 말했습니다. ‘, 왜 안쏘냐?’

 

그는 울고 있었습니다.

 

저는 말했지요. ‘쏠 수가 없어, 난 안 할 거야.’

 

그러자 캘리 중위와 메들로가 구덩이를 향해 총부리를 돌리고 사격을 가했습니다.

 

사람들은 차곡차곡 쓰러졌고, 어머니들은 애들을 감싸 안으려고 발버둥을 쳤습니다.”

 

시모어 허시(Seymour Hersh)미라이4(My Lai 4)에서 이렇게 썼다.

 

미국 내의 미라이 사건 조사와 관련해 196911월에 그 황폐한 지역에 도착한 육군 조사단은 세 곳의 집단무덤과 시체로 가득한 구덩이 한 곳을 발견했다. 450에서 500명 정도가 살해되어 그곳에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육군은 이 사건을 그냥 덮어 버리려고 애썼다. 그러나 미라이 학살에 관해 들은 론 라이더나워(Ron Ridenhour)라는 병사가 보낸 편지가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로널드 해벌리(Ronald Haeberle)라는 육군 사진사가 찍은 학살 장면 사진도 퍼졌다. 당시 급보통신(Dispatch New Servic)이라는 동남아시아의 반전 통신사에서 일하고 있던 시모어 허시는 이를 기사화했다. 19685월 프랑스의 두 간행물에 미라이 학살에 관한 이야기가 실렸는데, 하나는 투쟁중인 남베트남(Sud Vietnam en Lutte)이었고 다른 하나는 파리 평화회담에 참석한 북베트남 대표단이 출간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언론은 조금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미라이 학살로 몇몇 장교가 재판에 회부됐지만 윌리엄 캘리 중위만이 유죄를 판결받았다. 그는 종신형을 선고받았지만 두 차례의 감형을 받았다. 캘리 중위는 결국 3년을 복역한 뒤-닉슨은 정규 교도소가 아니라 가택연금에 처할 것을 주문했다-사면됐다. 수천 명의 미국인들이 그를 옹호했다. 어떤 사람들은 공산주의자들에 맞서기 위해 필요했던 그의 행동을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했다. 또 어떤 이들은 단순히 수많은 잔학행위가 벌어지는 전쟁에서 유독 캘리만 부당하게 본보기로 찍혔다는 느낌 때문에 그를 옹호했던 것 같다. 미라이 학살을 은폐한 총책임자였던 오런 헨더슨(Oran Henderson) 대령은 1971년 초에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여단 규모의 부대라면 어떤 부대든 미라이 사건과 비슷한 사건을 어딘가에 감추고 있든 법입니다.” 사실 미라이 학살은 세부적인 사항에서만 독특한 사건이었다. 허시는 한 병사가 가족에게 보낸 편지를 어느 지방 신문에 실었다.

 

어머니 아버지께

 

오늘 저희는 한 임무를 수행했는데, 저는 제 자신이나 친구들, 아니 제 조국이 전혀 자랑스럽지 않습니다. 오두막이 보이는 대로 족족 불태워 버린 것입니다! 그곳은 서로 연결된 조그만 농촌 마을이었고 주민들은 도무지 믿기지 않을 정도로 가난했습니다. 저희 부대는 그 사람들의 보잘것없는 물건들을 불태우고 약탈했습니다. 상황을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이곳의 오두막들은 야자나무 앞으로 지붕을 잇습니다. 집집마다 마른 진흙으로 만든 구덩이가 있습니다.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죠. 일종의 방공호 같은 거에요.

 

그런데 저희 부대 지휘관들은 이 구덩이가 공격용이라고 생각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래서 구덩이가 있는 오두막을 발견하는 즉시 완전히 태워 버리라고 명령을 내리는 거에요.

 

오늘 아침 이 오두막집들 한가운데 헬리콥터 10대가 착륙하면서 잠자리(chooper)’ 한 대당 여섯 명씩 뛰어내렸고, 우리는 땅에 내리자마자 사격을 개시했습니다. 오두막이 보이는 족족 총으로 갈겨 버렸지요.

 

그리고 나서 오두막마다 돌아다니며 불을 지릅니다. 자기들을 갈라놓지 말라고, 남편과 아버지, 아들과 할아버지를 데려가지 말라고 너나할 것 없이 울고 사장하고 싹싹 빕니다. 여자들은 울부짓고 통곡을 합니다.

 

그러고는 우리가 자기들의 집과 개인 소지품, 식량 등을 불태우는 모습을 겁에 질린 채 바라보지요. 맞아요. 우리는 쌀을 전부 태우고 가축도 모조리 쏴 죽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온두라스와 코스타리카 사이에 존재하는 나라 니카라과(Nicaragua)20세기 초 제국주의 국가 미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0년대부터 1933년까지 니카라과에는 미 해병대가 장기주둔했고, 미국의 직간접적인 통치를 받았다. 미국이 니카라과를 통치한 것은 당연히 이 나라의 자원과 노동력을 착취함으로써 기업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함이었다. 니카라과에서의 미국 폭압적이고 착취에 기반을 둔 통치가 지속되자 당연히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생겼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아우구스토 산디노(Augusto Sandino)였다.

 

산디노는 1920년대 미군과 정부군을 상대로 무장투쟁을 벌였다. 1927년에는 이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미군 철수를 목표로 투쟁했다. 당연히 미국은 산디노가 이끄는 게릴라군을 토벌하기 위해 전투기까지 동원했으며, 무차별적인 토벌 작전을 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디노는 투쟁을 포기하지 않았다. 1929년 미국에서 경제 대공황이 시작되자, 산디노의 게릴라 조직은 군대에 자원한 농민들 덕분에 세력을 넓힐 수 있었다. 1931년에는 이들의 군대가 6,000명에 이르렀다. 결국 미국은 1933년 니카라과에서 철수했다.

 

그러나 미국은 소모사라는 앞잡이를 이용하여 니카라과를 통치하고자 했고, 1934년 이들은 산디노를 체포하여 처형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36년 소모사가 정권을 잡았다. 정권을 잡은 소모사는 3대에 걸쳐 권력을 세습했고 대략 43년간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독재정권을 유지했다. 독재정권 하에서 좌파들은 1961년에 산디노의 정신을 계승하여 이른바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FSLN)을 조직했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은 반정부 무장투쟁을 전개해 나갔으며, 이들의 투쟁은 1970년대에 더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거기다 1970년대 들어서 교회, 군부, 지주 등 체제 내의 분열과 마나구아 지진으로 인한 산업시설의 파괴, 인명 손실 등으로 인하여 3대를 세습하던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체제는 위기를 맞이했다. 혁명적 무장투쟁을 해오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은 1979년 소모사 정권을 몰아내는데 성공했다. 18년간 지속되오던 이들의 투쟁이 성공한 것이다. 니카라과에서 정권을 잡은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은 소모사 정권시기 미국이나 외국 기업들에게 착취받던 기업들과 재산을 모두 국유화했다. 또한 토지개혁을 실행하여 농민들에게 땅을 분배했으며, 은행이나 광산 그리고 니카라과의 천연자원 등도 모두 국유화했다. 또한 문맹퇴치 운동을 벌여 불과 1년 만에 니카라과의 문맹률을 12%까지 감소시켰다.

 

1979년부터 1983년까지 단행된 토지개혁은 대략 7만 명의 농부들과 4,000개의 협동농장에 토지를 분배했다. 산디니스다 정권은 소모사 시절 부족하고 불평등 했던 의료복지를 늘리고자 의료시설을 설립했고, 무상의료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소모사 독재 정권 하에서 자행된 고문과 학살을 확인하고 이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하고자 했다. 이처럼 1979년에 정권을 잡은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은 미제국주의와 소모사 독재 정권에 억압받고 착취 받던 민중들에게 대대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산디니스타는 곧바로 장벽에 부딪쳤다. 바로 미국의 제국주의적 간섭과 방해공작이었다.

 

1979년 니카라과에 좌파정권이 세워지자 미국은 이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온갖 자금과 노력을 퍼부었다. 1980년에 탄생한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정권은 이른바 반소·반공의 기치를 내세우며, 중남미에 마르크스-레닌주의가 확산 되는걸 막겠다며, 고문과 암살·방화·학살 등을 포함한 테러행위를 일삼았다. 당연히 미국은 니카라과에서 이른바 반혁명 반동세력인 콘트라(Contra) 반군을 지원했다. 1980년대 이란-콘트라 스캔들에서의 콘트라가 바로 이들이다.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이들을 선발하고 훈련시키기 위한 자금으로 약 2,000만 달러를 지원했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콘트라 반군의 숫자는 15,000명까지 증강되었으며, 이들은 좌파 정부를 대상으로 테러리즘을 일삼았다.

 

니카라과 콘트라 반군은 최소 3만 명 이상의 민간인을 학살했다. 당시 로널드 레이건이 도덕적으로 동급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콘트라 반군은 고문, 사지 절단, 민간인 학살을 저질렀다. 이들은 테러 전술을 동원해 학교와 병원, 협동조합, 교량, 발전소를 파괴했다. 콘트라 반군은 콘트라에 가담하기를 거부하는 민간인은 총으로 쏘아 죽이거나 칼로 찔러 죽였으며, 용광로에 넣어 끓여 죽이는 만행을 저질렀다. 또한 어린 소녀들을 납치하여 밤낮으로 강간하는 범죄를 저질렀다. 이것이 바로 로널드 레이건이 찬양하던 자유투사 콘트라 반군의 실체였다.

 

콘트라 반군을 통한 테러행위와 미국의 경제제재에 시달리자 니카라과의 경제 상황은 악화되었다. 인플레이션이 치솟고, 국민소득은 1960년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거기다 소련의 원조도 줄어들면서 사회주의적인 정책들에 제동이 걸렸다. 결국 사회복지 예산이 축소되고 혁명공약 일부가 폐기되면서 국민들의 지지도도 떨어졌다. 결국 1990년 국제연합과 미주기구 등에서 파견한 선거감시단의 입화하에 실시된 선거에서 패배하여 산디니스타 좌파 정부는 12년 만에 물러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디엠이 처형당하고 3주 뒤에 케네디 자신도 암살당했고 린든 존슨 부통령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디엠의 뒤를 이은 군 장성들도 민족해방전선을 억누르지 못했다. 이번에도 역시, 미국 지도자들은 민족해방전선의 대중성과 그 병사들의 높은 사기에 관해 당혹감을 표명했다. 국방부 역사가들의 기록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를 말한다)에 의하면, 19611월에 케네디 대통령 당선자를 만난 아이젠하워는 이런 식의 군사개입에서 왜 우리는 늘 공산당 군대의 사기가 민주주의 군대의 사기보다 높은 현실을 목도하게 되는지에 대해 큰소리로 의문을 표명했다.” 그리고 맥스웰 테일러(Maxwell Taylor) 장군은 1964년 말에 이렇게 보고했다.

 

끊임없이 부대를 재구축하고 인적·물적 손실을 보충할 수 있는 베트콩의 능력은 게릴라 전쟁의 수수께끼 가운데 하나이다. 베트콩 부대는 불사조와 같은 회복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기를 유지하는 놀라운 능력도 보유하고 있다. 베트콩 포로들이나 노획한 베트콩 문서에서 사기가 침체된 증거를 발견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19648월 초,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에서 전면전을 개시하기 위해 북베트남 해안의 통킹만(Gulf of Tonkin)에서 벌어진 일련의 은밀한 사태를 활용했다. 존슨과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Robert McNamara)는 미국 국민들에게 북베트남 어뢰정이 미국 구축함을 공격했다고 말했다. 맥나마라의 말이다. “미국 구축함 매독스(Madoox)호가 공해상에서 일상적인 정찰을 하던 중에 아무 이유도 없이 공격을 받았습니다.” 훗날 통킹만 사건이 날조된 것이었음이(케네디 행정부하의 쿠바 침공 때 그랬던 것처럼), 미국의 최고위 관료들이 국민에게 거짓말을 했음이 밝혀졌다.

 

사실 중앙정보국은 북베트남 해안 군사시설을 공격하는 비밀 작전을 벌이고 있었다. 따라서 북베트남 측의 공격이 있었다 하더라도 아무 이유도 없는공격은 아니었을 것이다. 매독스 호 역시 일상적인 정찰이 아니라 특수 전자첩보 작전을 벌이고 있었다. 게다가 그곳은 공해상이 아니라 베트남 영해였다. 맥나마라의 말과 달리 매독스호가 어뢰공격을 받지 않았다는 사실 역시 밝혀졌다. 존슨이 공해상에서 벌어진 공공연한 공격이라 명명한, 이틀 뒤 있었다고 보고된 또 다른 구축함에 대한 공격 역시 조작이었던 것 같다. 이 사건이 벌어지고 나서 러스크 국무장관은 NBC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이렇게 질문에 답했다.

 

기자: 그러면 장관께서는 이런 이유 없는 공격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실 수 있겠습니까?

 

러스크: 글쎄요, 솔직하게 말씀드리자면,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제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 세계와 우리의 세계 사이에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커다란 심연이 가로놓여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현실 세계라고 생각하는 것을 아주 다른 각도로 바라봅니다. 그들의 논리전개 자체가 다르다는 거지요 따라서 그 커다란 이데올로기적인 심연을 가로질러 상대방의 마음속으로 들어간다는 건 대단히 어렵습니다.

 

통킹만 공격은 의회의 결의안을 낳았는데 하원에서는 만장일치로, 상원에서는 단 2명의 반대표로 통과된 결의안은 존슨으로 하여금 동남아시아에서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군사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했다. 통킹만 사건이 있기 두 달 전, 미국 정부 지도자들은 호놀룰루에서 회동을 갖고 그런 결의안에 관해 논의했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러스크는 이렇게 말했다.

 

바로 지금 동남아시아 정책에 관한 미국의 국민 여론은 심각하게 분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대통령에 대한 단호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통킹만 결의안(Tonkin Resolution)은 헌법에 규정된 의회의 선전포고 없이 전쟁 행위를 개시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했다. 베트남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수많은 청원자들이 헌법의 수호자라고 간주되는 대법원에 그 전쟁을 헌법에 위배되는 것으로 선고하라고 요구했다. 이번에도 역시, 대법원은 이 문제를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네바에서 국제회의가 열려 프랑스와 베트남독립동맹 사이에 평화협정을 주재했다. 제네바 회담에서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지역으로 일시적으로 철수할 것, 베트남독립동맹은 북부에 그대로 남아 있을 것, 2년 이내에 통일 베트남에서 베트남인들이 자신들의 정부를 뽑기 위한 선거를 실시할 것 등이 합의됐다.

 

미국은 베트남의 통일을 저지하고 남베트남을 미국의 세력권으로 안정시키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였다. 미국은 얼마 전까지도 뉴저지에 살고 있던 응오딘지엠(Ngo Dinh Diem)이라는 전직 베트남 관리를 국가수반으로 앉히고 예정된 통일선거를 실시하지 말라고 부추겼다. 1954년 초에 열린 미 합참회의 비망록은, 정보부의 평가에 따르면 자유선거에 기반을 둔 해결이 이루어지면 연합 3(Associated States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을 공산주의의 수중에 빼앗기는 결과를 보게 될 것이 확실하다고 언급했다. 디엠은 베트남독립동맹이 요구하는 선거를 거듭해서 가로막았고, 미국의 자금과 무기 지원으로 디엠 정부의 기반은 점점 더 확고해졌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서 지적한 것처럼, “남베트남은 본질적으로 미국의 피조물이었다.”

 

디엠 정권은 점차 인기를 잃어갔다. 대다수 베트남인이 불교도인 데 반해 디엠은 가톨릭교도였고, 농민들의 나라인 베트남에서 디엠은 지주에 가까웠다. 겉치레뿐이었던 디엠의 토지개혁은 결국 아무것도 변화시키지 않았다. 디엠은 현지인들이 뽑은 성() 행정장관을 사이공에서 직접 임명한 휘하의 인물들로 대체했다. 1962년에 이르면 성 행정장관의 88%가 군인으로 교체됐다. 디엠은 정권의 부패와 개혁의 결여를 비판하는 베트남인들을 점점 더 투옥하게 됐다.

 

디엠의 국가기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정권에 대한 반대가 급격하게 성장했고, 1958년경에는 정권에 맞서는 게릴라 활동이 시작됐다. 하노이의 공산당 정권은 남베트남의 반체제 운동을 원조, 장려했으며 게릴라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남부로 사람들(이들 대부분은 제네바 협정 뒤 북부로 간 남부인들이었다)을 보냈다. 1960년에 남부에서 민족해방전선(National Liberation Front)이 결성됐다. 그들은 정권에 반대하는 다양한 세력을 결집시켰고, 그 힘은 민족해방전선을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을 바꿀 수 있는 희망으로 바라본 남베트남 농민들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미국 정부 분석가인 더글러스 파이크(Douglas Pike)는 반란자들과 나눈 대담과 노획한 문서들에 기초해 저술한 베트콩(Viet Cong)에서 미국이 직면한 사태에 대해 현실적인 평가를 내리려고 노력했다.

 

대중조직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나라에서 민족해방전선은 남베트남의 2,561개 촌락에 전국적인 규모의 정치·사회 조직을 만들어 냈다. 민족해방전선을 제외하고는 남베트남에는 실제로 대중에 기반을 둔 정당이라고는 하나도 없었다.”

 

파이크는 이렇게 썼다. “공산당원들은 남베트남 촌락들에 의미심장한 사회적 변화를 야기했으며, 그 대부분은 통신이라는 수단을 통해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그들은 전사라기보다는 조직가였다. “민족해방전선에 관해 무엇보다도 내가 놀란 점은 사회혁명을 첫 번째로, 전쟁을 두 번째로 삼은 그들의 완전성이었다.” 파이크는 이 운동에 농민들이 대규모로 참여한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베트남 농민들은 단지 권력투쟁의 볼모가 아니라 공격의 예봉으로 간주됐다. 그들은 최선봉에 서 있었다.” 파이크의 말을 들어보자.

 

이 광범위한 조직화 활동의 목표는 촌락의 사회적 질서를 개조하고 자치를 훈련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이야말로 민족해방전선이 처음부터 줄곧 견지해 온 취지였다. 남베트남공화국군(ARVN) 병사들을 살해하는 것도, 부동산을 점거하는 것도, 어떤 대규모 총력전을 준비하는 것도 아니라, 자치라는 수단을 통해 농촌 주민들 한가운데서 조직화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파이크는 1962년 초반 당시 민족해방전선의 성원이 약 30만을 헤아린다고 추산했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는 이 시기에 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오로지 베트콩만이 농촌지역에서 실질적인 지지를 얻고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1년 초에 대통령직에 오른 케네디는 트루먼과 아이젠하워의 동남아시아 정책을 계속 추구했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케네디는 거의 취임과 동시에 파괴행위와 가벼운 공격을 수행하기 위해 북베트남에 요원을 파견하는등의 베트남과 라오스에 대한 다양한 비밀 군사행동 계획을 승인했다. 일찍이 1956년에 케네디는 디엠 대통령의 놀라운 성공을 거론하면서 디엠 치하의 베트남에 관해 이 나라의 정치적 자유는 일종의 영감을 준다고 언급한 바 있었다.

 

19636월 어느 날, 사이공의 광장에서 한 불교 승려가 앉은 채로 자신의 몸에 불을 질렀다. 뒤이어 더 많은 불교 승려들이 디엠 정권에 대한 반대를 극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분신자살하기 시작했다. 디엠의 경찰은 불교 사원을 습격, 30명의 승려에게 부상을 입히고, 1,400명을 체포했으며 사원을 폐쇄시켰다. 사이공에서는 시위가 잇따랐다.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발포로 9명이 목숨을 잃었다. 고대의 수도였던 후에(Hue)에서는 1만 명이 이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제네바 협정에서 미국은 남베트남에 685명의 군사고문단을 파견할 수 있었다. 아이젠하워는 비밀리에 수천 명을 파견했다. 케네디 행정부하에서는 그 숫자가 16,000명으로 늘어났고, 이들 가운데 일부가 전투작전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디엠은 패배하고 있었다. 바야흐로 민족해방전선이 조직한 현지 촌락민들이 남베트남 농촌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었다.

 

디엠은 성가신 존재이자 베트남에 대한 효과적인 지배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었다. 몇몇 베트남 장성들이 루시언 코네인(Lucien Conein)이라는 중앙정보국 요원과 접촉하면서 디엠 정권을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 코네인은 쿠데타를 열성적으로 지지하는 미국 대사 헨리 캐버트 로지와 비밀리에 회동을 가졌다. 국방부 문서(펜타곤 페이퍼)에 따르면 로지는 1025일에 케네디의 보좌관 맥조지 번디(McGeorge Bundy)에게 이렇게 보고했다. “저는 각자 분명하게 제가 내린 명령을 실행에 옮긴 찬반돈(Tran Van Don) 장군과 코네인 사이의 만남을 이미 개인적으로 승인했습니다.” 케네디는 주저하는 듯했지만 디엠에게 경고하는 조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로지는 쿠데타 직전이자 코네인을 통해 쿠데타 음모자들과 접촉을 가진 직후에 한 해변 휴양지에서 디엠과 주말을 함께 보냈다. 1963111, 군 장성들이 대통령궁을 공격하자 디엠은 로지 대사에게 전화를 걸었고, 아래와 같은 대화가 오갔다.

 

디엠: 일부 부대가 반란을 일으켰는데 미국의 입장이 무엇인지 알고 싶소

 

로지: 그런 말을 할 만큼 많은 정보를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총소리를 듣긴 했지만, 저는 아직 사건의 전모를 알지 못합니다. 게다가 지금 워싱턴은 새벽 430분이고, 미국 정부 역시 어떤 견해를 제시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디엠: 그렇다고 해도 당신은 대체적인 생각은 있을 거 아니오.

 

로지는 자신이 그의 신변안전을 위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일이 생긴다면 다시 전화를 달라고 말했다. 그것이 디엠이 미국인과 나눈 마지막 대화였다. 디엠은 대통령궁에서 도망쳤지만, 동생과 함께 쿠데타 세력에게 붙잡혔고, 트럭에 실려 끌려간 뒤 처형됐다. 그에 앞서 1963년 초에 케네디 행정부의 국무차관 U. 알렉시스 존슨U.(Alexis Johnson)은 디트로이트 경제인 클럽(Economic Club of Detroit)에서 연설을 했다.

 

수세기에 걸쳐 사방에서 공격을 가한 강대국들에게 동남아시아가 어떤 매력이 있었던 것일까요? 동남아시아가 탐나는 지역이자 중요한 지역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동남아시아는 기후가 좋고 토양이 비옥하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진데다가 그 대부분 지역이 비교적 인구밀도가 희박하며 확장할 수 있는 여지도 많기 때문입니다. 동남아시아 각국은 쌀, 고무, 티크목재, 옥수수, 주석, 향신료, 석유 등 수출가능하면서도 풍부한 자원이 넘쳐납니다.”

 

이것은 케네디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설명할 때 구사하는 언어가 아니었다. 1962214일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케네디는 이렇게 말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은 베트남 정부와 국민이 독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원조해 왔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