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흑수선 - The Last Witnes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탄탄한 구성, 비주얼이 좋은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 버터플라이 - M. Butterfl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 영화는 독특하면서도 파격적이다.  

68년 중국. 프랑스 외교관(?) 르네가 어느 날,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 공연을 보고 거기에 나왔던 주인공을 사랑하게 된다. 그 사랑은 치명적이어서 가정을 버리게 만들었고 동시에 격정적인 사랑을 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봤더니 그 여자는 중국 공안당국이 파견한 공작원이었고 더 충격적인 건 지금까지 여자인 줄만 알았던 여인이 남자였다는 사실이다. 이에 르네는 충격을 받고, 자신이 과연 사랑했던 사람이 누구였던가 심한 혼란을 겪게 된다. 또한 더불어 그때까지 누렸던 자신의 지위와 명예는 한 순간 날아가버리고 감옥에 갇히는 신세가 되고만다. 그리고 그곳에서 정체성의 혼란으로 손에 매니큐어를 바르고 여자처럼 행동하는 기행을 한다.   

인상적이고 충격적인건 르네는 일본의 가부끼 분장을 거기 수용된 죄수들 앞에서 시연해 보이면서 자신의 비극적 사랑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그리고 맨 마지막 장면에 공연이 끝남과 동시에 조그만 손거울로 자신의 목을 그음으로 비극적 삶을 마감한다는 내용이다.  

이 영화화는 나에게 참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만들었다. 사실 유쾌한 영화가 아니기 때문에 추천할만하지는 않다. 그래서일까?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었다고는 하나 이 영화는 19금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단 본의 아닌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요즘에야 이런 것쯤. 할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의 배경이던 68년 당시나, 영화와 됐던 15년 전이나 동성애는 쉽게 다루어지지 않은 소재다. 그런데 영화에서 동성애도 동성애지만 동양문화를 보는 서양인의 태도다. 서양인의 입장에선 동양이 굉장히 신비로울 수 있을 것이다. 말에 의하면 동양의 신비함과 깊이는 서양의  그것이 따라올 수 없다고 하지 않는가. 나 역시 그것에 동의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 나오는 서양인 르네(제레미 아이언스)는 동양에 너무 매료된 나머지 자신을 망각하기 조차 했다. 어떤 면에서는 감독이 너무 동양을 과대평가했다고나 할까? 르네가 죽는 장면에서 마치 서양의 그것이 동양에 전복 당한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은 생각까지 들게 만든다. 

사실 그게 아니더라도 정말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사랑하는 연인이 여성이 아닌 남성이란 것이 충격적이긴 하다. 그렇게 치명적인 사랑은 일생에 한 번 할까 말까한 것이고, 르네로서도 더 이상의 사랑은 불가능해 보인다. 결국 그는 치명적임과 동시에 자살을 감행할 정도로 허망한 사랑을 했다는 것일 게다. 

그런데 또 주목해야할 것은 인간의  '고백'이다.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 고백. 그런 의미에서 죽기 전에 꼭 한 번 운다는 가시나무 새와도 흡사하다. 내가 보고 체험한 것을 누구에게든 말하고 싶어하는 것이 인간인 것이다. 그래서 임금님의 귀는 당나귀 귀라고 말해야 하는 인간의 모습이 있는 것이다. 인간은 결코 이야기를 가슴에만 묻어두는 존재가 못 된다. 그 이야기기 희극이든 비극이든 말해야 한다. 그런데 말하는 사람의 입장과 듣는 사람의 입장이 다르다. 듣는 사람은 웃기고, 유쾌하고, 즐거운 이야기를 원하지만, 말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는 때가 있는 것이다. 그런 이야기는 내가 남을 즐겁게 만들고 싶을 때만 가능하다. 그러나 가끔은 포장되지 않은 나 자신 있는 그대로를 말하고 싶을 때도 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사람들은 그런 얘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런 것들은 그리 유쾌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내밀하고, 음습하며, 슬프고, 우울한 것이다. 그런 말을 누가 듣고 싶어하겠는가? 물론 그것을 말할 때 내 자신이 정화도 되지만 듣는 사람은 그것을 전이시킬수가 있어 조심스럽다. 즉 듣는 사람은 희극을 듣고 싶어하며, 말하는 사람은 비극을 말하고 싶어한다. 이것이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아이러니인 것이다.  

이것을 뒤짚어 보면, 나는 끊임없이 사람들에게 잘나 보이고 싶은 욕망과 또 누구한테는 한 없이 못나고 찌질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가끔은 나도 고백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 나의 잘난 면만이 아니라 못난 면도 보여주며 누구에겐가 위로받고 포용받고 싶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야기에 있어서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건 인간은 그렇게 내밀하고 음습한 이야기를 결국은 좋아한다는 것이다. 희극은 오래 기억되지 않는 반면 비극은 오래 기억이 되는 법이다. 그것은 인간의 본성이 그러하기 때문에 그럴 것이다. 희극 보다는 비극에서 인간의 내면을 더 잘 보여주는 법이니까. 그래서 감독은 이것을 영화화 할 생각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영화에서 르네는 맨얼굴로는 자기 얘기를 하지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자신의 수치심을 들어내야 하는 것인데 맨 얼굴로는 가능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그런 분장이 필요했겠지. 말하고 싶은 욕망과 너무 수치스러워 말할 수 없는 양극단에서 선택한 방법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죽기를 각오한 고백이기도 하다. 마치 가시나무 새처럼 말이다.  

결국 본 영화의 교훈은 '치명적 사랑은 엄청난 비극을 가져오는 법. 사랑을 너무 사랑하지 말지니.' 가 될까?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지금까지 세 번째...
    from stella09님의 서재 2009-10-21 18:02 
    알라딘에 영화 리뷰가 생긴 후로 지금까지 세 번째 이주의 리뷰에 당선이 됐다.  첫 번째는, <더 리더>였고,  두 번째는, <헤어스프레이>였으며,  세 번째는, <M 버터플라이>였다.  그런데 그동안 정작 책에서는 이주의 리뷰가 한 번도 안 되고 있다.  책까지 바란다면 너무 큰 욕심일까?   아무튼 어제 조금 우울한 일이 있었는데 덕분에
 
 
 
퍼펙트 머더 - A Perfect Murd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서스펜스가 살아있다. 영화적 이미지가 좋은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이 뉴 파트너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우리나라 경찰은 언제쯤이면 영화에서 멋지게 그려질까...?! 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유있는 복수를 하는 범인과 냉혈한 형사와의 조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