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유독 나이에 민감하고 '나이'를 위계지표 삼는 경향이 있다. 유치원 교사들이 "형님반" "아우반"이라는 정다운(?) 표현으로 5세, 6세 반을 구별짓는 걸 보고 흠칫 놀랐던 적 있다. 같은 새내기로 입학한 대학생 끼리도 "빠른" "늦은**(生)"을 굳이 구별하기도 한다. 얼마나 많은 대한민국의 7세 꼬마들이 초등학교 입학 후, 나이를 속이도록 교육받던가? "친구들이 물어보면 8살이라고 해. 넌 2014년에 태어난 말띠야."
뉴스를 보니, "76년 만에 초등 입학연령 하향 추진" 중이라한다. 곧 7세 꼬마가 나이와 띠를 속이지 않고도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려나 보다. 사실, 이 주장은 경제학자이자 성공한 사업가인 제임스 량이 저서 [Demographics of Innovation]에서 저출산, 고령화 한국 사회에 제시했던 해법과 맥을 같이 한다.
"12년이라는 한국의 현재 기본 교육연수 가운데 보통 2년은 고등학교 과정과 더불어 대학 입학시험을 준비하는 데 허비한다. 이런 비효율적인 시스템 때문에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고등 교육을 받은 여성이 배우자를 선택하고 아이를 낳는 데 필요한 시간이 줄어든다. 교육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한 가지 방법이 교육연수를 12년에서 10년으로 단축하는 것인데 이는 엄청난 시간 낭비를 줄여줄 것이다." [혁신을 이끄는 인구혁명] 中
그는 현재의 "6-3-3" 교육연수에서 2를 빼라고 권고한다. 12년에서 10년으로 교육연수를 단축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 나아가 노동 효율성도 높인다는 계산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제임스 량 자신이 스무 살에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 대학원 과정을 수료했다는 점은 의미심장하지 않을까? 즉, 제임스 량처럼 우수한 학습능력을 탑재한 영재에게는 10년도 과하게 길겠지만, 과연 대다수 학생에게도 10년이 충분한 교육기간일까? '6-3-3 공교육받으며 보낸 12년을 꼭 "시간 낭비"로 보아야 할까? 효율의 잣대로 계량화할 수 없는 무언, 무형의 소통과 성장이 이뤄지는 기간일 수 있을텐데? 스탠퍼드 대학 경제학 박사인 제임스 량의 주장을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해 보고 싶다.
동시에 만약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7세로 당기고, 교육연수를 10년으로 줄여, 20~21세면 대학을 졸업한다고 가정하자! 평균수명 앞자리 숫자가 8에서 9로, 아니 아예 세 자리 수도 바뀔지도 모를 미래 사회, 스무살에 사회로 나온 청년들은 어떤 삶을 채워가야 할까?
마찬가지의 맥락에서 질문 하나 추가해 본다. 한국에서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법적 정의, 통계청 정의, 여성가족부 법적 실태 조사의 정의는 일치하지 않는다. 만 15세를 기점으로 보기도 하고, 만 25세를 기점으로 보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만 54세까지의 경력단절 경험 있는 여성을 "경력단절여성"이라 칭한다. 이런 나이 범주에 대해, 실제 만 54세를 향해 가던 여성이 사석에서 "욱" 반응 보여 당황했던 적이 있다. "100세 시대인데, 경력단절을 54에서 잘라 놓으면 어떡하냐, 생애주기와 평균수명 바뀌어 가는 걸 왜 고려하지 않냐?"라고, 그 분은 목소리를 높였다.
초등입학연령 조정 논의가 우리 사회, 나이 범주 관련 다른 이슈들도 공론화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