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에게 미안합니다. [당신의 집은 안녕하십니까?]를 인테리어 책으로 착각했습니다. 잠들기 전 부담 없이 읽으려고 골라들었는데, 이 책은 전혀 가볍지 않았습니다. "쓰레기 시멘트" 고발하는 글이었습니다. 저자 최병성에게는 '목사'라는 직업군에에게는 어울리기 어려운 "불독" 이란 별명이 있습니다. [당신의 집은 안녕하십니까?]를 읽는 중간중간, 그 별명이 떠올랐습니다. '와! 혼자서 30년간 자료를 모았다고? 시멘트 회사들과 계속 싸워왔다고?' 경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저자의 불독 정신을 응원하는 마음에서 이 책의 존재, 쓰레기시멘트의 유해성을 알리는 데 동참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병성은 1994년, 강원도 영월 서강 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용한 전원의 삶을 꿈꾸었는데 그곳은 시멘트 공장에서 날아오는 악취와 분진으로 오염된 곳이었습니다. 그곳엔 사람이 살고 있습니다. 존엄과 건강을 보장받아야야 하건만, 쓰레기 시멘트의 소리 없는 독살에 희생되고 있었습니다. 비록 "아무것도 아닌 개인"으로서 무력감을 느꼈지만, 최병성이 싸워 온 이유입니다. 시멘트 업계에서 대형 로펌을 끼고 협박하고 소송을 걸어왔지만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는 거대 기업과 싸우고, 환경 재앙에 손 놓고 있는 환경부에게 일침을 가합니다. 그가 서문에서 말합니다.
"이제 국민이 깨어나야 할 때"
혼자 싸우기는 외롭습니다. 자신의 즉각적인 이권과 생명권이 위협받지 않으면 강 건너 불 보듯 환경 재앙을 관망하는 사람들에게 실망해서 싸움을 멈추고도 싶었을 것입니다. 오죽하면 최병성이 무려 450여 쪽의 긴 책 마지막 장에서 "가족의 건강엔 관심 없고, 오직 아파트값에 혈안이 된 대한민국"이라며 한탄하겠습니까? 그는 영화 [정직한 후보]의 대사로 책을 마무리했습니다. 의미심장합니다.
강원도지사: 공사비 횡령하고 쓰레기 시멘트 쓰라고 시킨 거야? 나중에 문제 생기면 어떡하게?
건설사 대표: 안 생겨요. 생겨도 증명 못 해. 한 5년 질질 끌다가 결론나면 그땐 다 살고 있는데 어쩔 건데? 아니 자기 아파트에 하자 있다고 떠들고 다니는 놈들이 어디 있어요? 집값 떨어질까 봐 벌벌 떨지.
최병성은 1990년대부터 자료를 모으기 시작하여,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대한민국 사회에 쓰레기 시멘트 문제를 공론화해왔습니다. 국회로, 법원으로, 영월과 단양의 현장으로 뛰어다녔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당신의 집은 안전하냐?"라고 묻고 다녔고, "안전하지 않습니다"를 알려주었습니다. 하지만, 같이 싸우는 사람이 없습니다.
"고맙소, 덕분에 한국의 쓰레기 시멘트 문제가 심각하다는 걸 알았소."의 반응은 있어도, 두 팔 걷어붙이고 같이 싸우려는 국민의 응원이 약합니다. 마치,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체념 반 무관심 반의 반응을 보이듯 말입니다. 불독도 지칠 수 있습니다. 같이 싸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았으면 합니다. 우선 [당신의 집은 안녕하십니까?]이나 최병성 저자가 "오마이뉴스"에 시민기자 자격으로 올렸던 기사들을 찬찬히 찾아 읽는 것도 좋은 시작입니다. 그다음에는? 가동 가능한 채널들을 모두 동원하여 문제 제기하는 스피커를 키우는 것입니다.
방사능 오염수, 마셔 볼래?
쓰레기 시멘트 수저로 밥 먹어 볼래?
환경부는 온갖 유독한 쓰레기, 심지어는 가축의 분뇨에 방사능 쓰레기,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나오는 극도로 유해한 물질 등을 모두 시멘트 재료로 활용하도록 허용했습니다. 그 시멘트로 만든 건물에서 먹고, 자고, 숨 쉬는 사람들의 생명과 대한민국의 땅과 물이 오염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시멘트 업계와 환경부는 한결같이 '무해성, 안전성'을 주장합니다. 저자 최병성은 묘수를 내었습니다. 쓰레기 시멘트로 숟가락의 모양을 만들었습니다. 토론회 자리에서, 업계 관계자들에게 물었답니다. "쓰레기 시멘트로 숟가락을 만들었는데, 이걸로 밥 먹을래요?"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대답하지 못하는 환경부와 시멘트 업계 관계자만이 이 엄청난 환경 재앙의 주범일까요? 문제는 얽힌 실타래와 같아서, 사실 누구도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려울 것입니다. 독성 시멘트로 지어진 집에 살면서 아토피와 암으로 고생을 하더라도 당장 아파트값이 중요하다는 사람들, 세계에서 플라스틱이나 시멘트 소비량이 둘째가라면 서럽게 많이 낭비하는 대한민국, 2~30년이면 아파트 갈아엎고 새로 건물 올리는 문제적 건축문화, 기피시설은 무조건 서울과 수도권에서 멀리멀리 보내려는 지역 이기주의 등등.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가 "쓰레기 시멘트"에 압축적으로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당신의 집은 안녕하십니까?]는 결국 "대한민국은, 우리 생태계는 안녕하겠습니까?"의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이 책을 권하는 이유입니다. 같이 깨어나서, 함께 목소리를 키웠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