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한의 인문학 - 이 정도는 알아야 하는 ㅣ 최소한의 지식 시리즈
이재은 지음 / 꿈결 / 2017년 7월
평점 :
이정도는 알아야 하는최소한의
인문학
-
보편적 인류애: 법과 제도로 강화, 혹은 촉진 가능할까?
'孝道법 (폐기됨)' '호래자식방지법'
-
대한민국의 공동체 지수? 덴마크의 타인 신뢰도.
-
루마니아 차우셰스크쿠의 강압적 출산장려정책: 1인당 5명씩
할당.
-
최악의 살인지도자들: 캄보디아의 폴 포트
(1925~1998), 벨기에의 레오폴드2세 (1835~1909) 콩고인 대학살, 칠레의 피노체트(1915~2006), 그 가장 위에 아돌프
히틀러
"이 정도는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인문학? 아무리 인문학 열풍이라하고, 인문학으로 질문하는 삶이 영혼의 풍요를 가져와준다지만, 그 '최소한'은 누가 정하는가? 무엇을 위한
'최소한'일까? <이 정도는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인문학>을 읽는 내내 드는 생각이다. "이과형 인재를 위한 말랑한 지식"이라는 부제와 함께, 저자 이재은은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 용산고등학교 2학년 친구들과 신도중학교 3학년 학생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그렇다면 이 책은 이과를 지망하려는 중고등학생을 주요
타겟삼은 인문학입문서라는 계산이 나오는데…….
<최소한의 인문학>에
등장하는 미셀 푸코의 생명정치(biopolitics)나 부르디외의 아비투스(habitus), 레비스트로스의 이항대립,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banality), 데이비드 하비의 공간 계급화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등의 개념은 대학 졸업장을 딴
성인에게도 생소할 개념들이 아닐까 싶어, 놀랐다. 아무리 인문학이 필요한 세상이고 세상이 융합형 인재를 원한다지만 언제부터 대한민국의
중고등학생들은 '인문학적 소양 쌓기'라는 목표하에 이런 고차원의 공부까지 더해야하나 싶어서.
오해는 마시라. <최소한의
인문학>은 최근 내가 읽어본 그 어떤 인문학 입문서보다도 잘 짜여진 구조에, 저자 고유의 목소리가 분명한 훌륭한 책이다. 내가 의아한 것은
이 정도 수준의 지식과 생각의 깊이를 어찌 중고등학생들에게 '최소한'이라며 ,강요 아닌 강요 할 수 있을까?이다. <최소한의
인문학>은 차라리 애시당초, 평소 거의 책을 읽지 않아 스마트폰 거북목 증후군에 있는 대다수 성인을 위한 책이라 했으면 좋으련만. 나는
진심 <최소한의 인문학>을, 나와 내 가족 외 좀 더 큰 세상으로 '최소한'의 관심을 확장시키고 싶은 어른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정말 괜찮은 책이다.
"정말 괜찮은" 이라는 평가적
표현에 독자의 오만이 깃들어있을지 모르겠다. 변명하자면, 내가 <최소한의 인문학>을 "괜찮은"이라 말한데는 이유가 있다. 얻어갈 게
참 많은 책이다. 저자 이재은은 철학과 문학을 오래 공부하고 '공동체'라는 이상을 품은 이답게, 시와 소설,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명저를
비빔밥처럼 잘 버무려 문학가의 언어로 풀어놓았다. 그에게서 한 수 배우다 보면, 이재은은 소위 타생적 학문의 언어일지라도 자기안에서 잘 소화시켜
자생적 사유의 뿌리로 바꾸어 놓았구나를 느낄 수 있다. 중고등학생이 이 책을 읽는다면, 저자 이재은이 질문을 던지고 생각의 점들을 연결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배우기를 권한다. 결국 <최소한의 인문학>에서 독자에게 궁극적으로 제시하고 싶은 것은 학술용어의 얄팍한 암기가
아니라, 이를 적극 삶에 끌어와 질문하고, 또 그 질문함으로써 세상을 조금씩 바꿔나가는 힘을 표출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
저자의 궁극적 관심은 '함께 살
만한 공동체' 만들기에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성이 잠들면 괴물이 깨어난다'는 고야의 판화를 시작으로 생각이 곧 사람됨이요, 행동과 변화를
위한 저항의 근간임을 일깨워준다. 이어 2장에서는 타자화(othering)로서 '우월한 나'에 대비한 '열등한 너(너희)' 만들기가 결국 이해의
부족에서 오는 갈등을 빚어냄을 지적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인류애가 필요하고, 사람이라면 누구나 유토피아를 꿈꿀수 있다며 유토피아의
요건을 4장에서 나열한다. 5장에서는 유토피아를 디스토피아로 만드는 나쁜 리더와 좋은 리더를 대비시켜준다. 이재은 저자와 함께 유토피아 꿈꾸기에
동참하고 싶다. 꿈꾸다보면 고민하게 되고, 고민이 고민하는 또 다른 사람을 만나면 촛불처럼 행동으로 이어지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