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앨런 프랜시스 지음, 김명남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4년 3월
평점 :
오전 내내 집중했던 책을 반납하고 홀가분해지려던 차에, 카트 위에 누군가가 방금 반납한 책 제목이 하필이면 [정신병 만드는 사람들]이었단 말이지, Thin Red Line에 대한 관심, 다시금 촉발!
"뉴욕타임즈"의 스포츠 면을 슬쩍 보는것만으로도 내게는 금지된 쾌락으로 여겨졌다(9쪽).
한 시간 넘도록 헐리우드 셀러브리티의 '고무줄 몸무게' 검색하는 나는 전혀 죄책감 없는데, '스포츠 면' 슬쩍 넘겨보는 것만으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다니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TYPE A형, 명사임에 틀림 없다. 그는 뉴욕주립대 의학박사, 코넬대를 거쳐 듀크대 교수이자 DSM 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이다.
https://youtu.be/h4i_qekWvYQ
1987년 첫 DSM 책임자의 중책이 주어졌을 때 '진단 거품,' 즉 '진달과열현상'을 주의하며 신중했음에도 불구하고, DSM가 '자폐증, 주의력결핍장애,소아양극성 장애'의 사회적 유행에 영향을 미쳤음을 경험했다. 그런데 2009년 우연히 참석한 칵테일 파티에서 그의 후배이자 동료들이 DSM의 개정작업에 발 들여놓으며 새로운 진단명을 대거 추가하려는 집합적 열의에 들떠 있음을 목도했다. 앨런 프랜시스는 동료들과 칵테일 파티에서 고작 한 시간 대화 나누었을 뿐인데, 자신이 '성인주의력결핍,' '약한 신경인지 장애,' '혼합성 불안/우울 장애' 등 다섯개나 DSM진단명을 얻었다며 DSM의 느슨한 진단과 오남용 폐해를 경고할 사명감을 느낀다. 그 동안, 정신의학과 심리학계에서 쌓아온 명성과 인맥이 있기에 첨예한 논쟁에서는 뒷짐지고 모르쇠하다가 투사로 변모해 논쟁의 한복판에 설 계기를 경험한 것이다. 프랜시스 박사는 전세계를 돌며 강연하고 블로그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질병 장사"에 취약한 정신의학의 속성과 DSM의 허와실을 알려왔다. 이 책, [Saving Normal]은 그 노력의 일환이다. 서문에서 저자는 발췌독으로 인해, 자신의 의도가 곡해될 위험을 경계하는데 저자에게는 죄송하지만 나는 서문과 1장, 그리고 나에게 필요한 챕터를 속독으로 발췌해서 읽는다.
1장은 이러한 주제로 책을 쓸 어떠한 저자라도 그러하겠지만 "정상/비정상" 경계짓기에 대한 논의에 할애한다. 언어학, 철학(공리주의), 통계학, 사회학과 인류학 등 어떤 접근으로도 '정상/비정상' 경계는 유동적이고 맥락적이기에 그을 수 없음을 밝힌다. 그 와중에 정신의학이 이 논의 정교화에 기여한 바가 큰데 DSM이 그 한 성과물이다.
2장에서는 어쩌다 자신이 DSM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의 중책을 맡아, (당시에는 소모적으로 보였던) 논쟁에 에너지를 쏟느니 수백명의 전문가들을 잘 규합해서 잘 빠진 DSM을 만드는데 총력을 기울였는지를 회고한다. "진단 인플레이션"과 "거대 제약회사의 질병장사"를 폭로하는 내용에 할애한다. 진단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개인적인 소모(stigmatized identity), 사회적 비용(우리가 만약 화성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의 정신상태를 논의하는데 사건의 본질을 놓친다면)을 언급한다.
속독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꼼꼼히 읽은 2부는 "정신 질환에도 유행이 있다"라는 소제목으로 묶어 두었다. 무도춤("춤추는 빨간 구두" 에피소드), 뱀파이어 신드롬이 상대적으로 옛 유행의 정신질환이라면, 오늘날 유행은 자폐증과 ADHD, 소아양극성 장애, 사회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을 들 수 있다.
6장에서 저자는 잠언의 문구, "거만에는 재난이 따르나니"를 인용하며 앞으로 유행할 정신질환을 예측한다. 어린아이들의 짜증은, '분노조절장애"에서 나중에는 "파탄적 기분조절 곤란 장애(DMDD)"라고 진단된다. 폭식은 'Bulimia'로, 열정은 중독(행위 중독). 다행히도 DSM-5에 포함될 뻔했으나 마지막에 다행히도 기각된 진단명으로는 "혼합성 불안/우울 장애," "사춘기 성애증," "과다 성욕 증후군"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 3부는 "진단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각 개인이 스스로를 지키는 법, 사회가 자정하는 구체적 방법론을 실어 놓았다. 한마디로 제약회사와 의학계의 유착관계를 약화시키고 제약회사의 힘을 빼놓고, 개개인은 과도하게 정신과 진단에 의존하지 말고 스스로 치유하는 힘을 믿고 시도해보라로 요약가능하다.
저자 스스로가 자타 공인 별나면서도 산만한 사람인데, 알렌 프렌시스는 우리 모두는 "대부분 충분히 정상이다"라는 말로 책을 마무리한다. "정신의학을 구해야만" "정상을 구하는" 목표에 이를 수 있다는 마지막 문단에 저자의 의지가 집약된다. 이런 목소리를 냄으로써, 주류 정신의학계에서 저자의 정치적 입지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굉장히 궁금한데 에필로그로만은 알 수가 없다. 여전히 궁금하다.
오전 내내 집중했던 책을 반납하고 홀가분해지려던 차에, 카트 위에 누군가가 방금 반납한 책 제목이 하필이면 [정신병 만드는 사람들]이었단 말이지, Thin Red Line에 대한 관심, 다시금 촉발!
"뉴욕타임즈"의 스포츠 면을 슬쩍 보는것만으로도 내게는 금지된 쾌락으로 여겨졌다.
한 시간 넘도록 헐리우드 셀러브리티의 '고무줄 몸무게' 검색하는 나는 전혀 죄책감 없는데, '스포츠 면' 슬쩍 넘겨보는 것만으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다니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TYPE A형, 명사임에 틀림 없다. 그는 뉴욕주립대 의학박사, 코넬대를 거쳐 듀크대 교수이자 DSM 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이다.
오전 내내 집중했던 책을 반납하고 홀가분해지려던 차에, 카트 위에 누군가가 방금 반납한 책 제목이 하필이면 [정신병 만드는 사람들]이었단 말이지, Thin Red Line에 대한 관심, 다시금 촉발!
"뉴욕타임즈"의 스포츠 면을 슬쩍 보는것만으로도 내게는 금지된 쾌락으로 여겨졌다.
한 시간 넘도록 헐리우드 셀러브리티의 '고무줄 몸무게' 검색하는 나는 전혀 죄책감 없는데, '스포츠 면' 슬쩍 넘겨보는 것만으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다니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TYPE A형, 명사임에 틀림 없다. 그는 뉴욕주립대 의학박사, 코넬대를 거쳐 듀크대 교수이자 DSM 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이다.
오전 내내 집중했던 책을 반납하고 홀가분해지려던 차에, 카트 위에 누군가가 방금 반납한 책 제목이 하필이면 [정신병 만드는 사람들]이었단 말이지, Thin Red Line에 대한 관심, 다시금 촉발!
"뉴욕타임즈"의 스포츠 면을 슬쩍 보는것만으로도 내게는 금지된 쾌락으로 여겨졌다.
한 시간 넘도록 헐리우드 셀러브리티의 '고무줄 몸무게' 검색하는 나는 전혀 죄책감 없는데, '스포츠 면' 슬쩍 넘겨보는 것만으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다니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TYPE A형, 명사임에 틀림 없다. 그는 뉴욕주립대 의학박사, 코넬대를 거쳐 듀크대 교수이자 DSM 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이다.
오전 내내 집중했던 책을 반납하고 홀가분해지려던 차에, 카트 위에 누군가가 방금 반납한 책 제목이 하필이면 [정신병 만드는 사람들]이었단 말이지, Thin Red Line에 대한 관심, 다시금 촉발!
"뉴욕타임즈"의 스포츠 면을 슬쩍 보는것만으로도 내게는 금지된 쾌락으로 여겨졌다.
한 시간 넘도록 헐리우드 셀러브리티의 '고무줄 몸무게' 검색하는 나는 전혀 죄책감 없는데, '스포츠 면' 슬쩍 넘겨보는 것만으로도 guilty pleasure를 느끼다니 저자 앨런 프랜시스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TYPE A형, 명사임에 틀림 없다. 그는 뉴욕주립대 의학박사, 코넬대를 거쳐 듀크대 교수이자 DSM 3판과 4판의 총책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