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 1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작가는 나를 배신하지 않았다. 물론 우연이 빚어낸 어이없는 실수로 만들어진 결론이 조금 실망스럽긴 하지만, 뫼비우스의 띠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작가의 다양한 탐구는 하~하고 허공을 올려다 보게끔- 너무 놀라워서- 만들었다.
추리에서 시작하여 철학과 연금술, 최면술, 그리스의 신화를 거쳐, 프랑스 문학에, 의학에, 사회적인 논평에, 미술에 종교까지..커다란 요소요소를 통과하여 결국에는 보편적 진리인 사랑에 정착하여 인생을 논하는 이야기의 구조는, 설령 그것이 너무도 우연적이고 어이없게 이루어지는 다른 면면들 마저도 솜씨 좋게 감추어 버리고 만다.
( 마르탱의 눈으로 컴퓨터의 커서를 옮기는 게 과연 그것이 가능한가? 그리고 그의 뇌에 전극을 꽂는 것만으로 컴퓨터가 그가 생각하는 그 순간 그대로 빠르게 글로써 나타내 줄 수 있는 것일까? - 아..여기서 잠깐...물론 과학의 분야는 내가 모르는 면이 너무 많고, 너무 앞서가서 세상에 알리지 못하는 것이 더 많을 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한다..책에 나온 것처럼...꼭 딴지거는 기분...)
에피쿠로스 학파며, 호메로스, 오디세이아, 플라톤,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의 명칭, 뉴런, 전두엽, 시상하부 등등 여러 가지 어려운 용어들과 고등학교 때 잠만 잤다면 절대 알지 못했을 지식들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서로 이어지도록 전개되어 하나의 주제 '인간의 생'으로 종결지어지는 것이다.
일례를 들자면, 에피쿠로스 학파의 후예를 자처하는 시엘 클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쾌락주의가 어떠네 그들이 주창하는 카르페 디엠의 뜻은 어떠네..하면서 얘기가 전개되다가 그에 반하는 미덕의 수호자들이 침입했을 때는 또 그것에 대한 얘기가 주욱 전개가 된다..
무슨 의미냐.. 카르페 디엠! 현재를 즐겨라..(여기까지는 에피쿠로스 학파의 관점..) 하지만 그것이 꼭 쾌락적인 면만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는 미덕의 수호자..스토아 학파의 관점) 머 이렇게 작가가 보는 관점의 인생에 대해 주인공의 입을 빌려 얘기한다는 것이다.. 예가 너무 서투른가?
인간에게 '동기'라는 것이 부여되면 그것에 의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발달 또한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발달을 이루기 위한 동기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러한 동기 부여 후 인간은 어떤 방식을 선택하여 그것을 이루어 내려고 하고, 결국... 이룩한 후 어디로 향하고 있는 것인가?
뤼크레스와 이지도르가 발견해 낸 동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1. 고통을 멎게 하는 것 2.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것 3. 생존을 위한 원초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4. 안락함을 위한 부차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5. 의무감 6. 분노 7. 성애 8. 습관성 물질 9. 개인적인 열정 10. 종교 11. 모험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의식의 확대..이것은 다른 모든 동기들보다 가장 중요한 것이며, 카오스 이론으로 설명되어진다.. 카오스 이론..나비 날개짓 하나가 폭풍우를 몰고 올 수도 있다는.. 작은 것 하나가 큰 효과를 이끌어 낸다는 관점..
이러한 동기들에서 하나의 목표가 생겨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한다. 목표에 이르기 위한 방법들은 각기 나름대로의 이유에 의해서 선택되어진다. 그렇게 하여 인간은 어디로 향하는가?
마지막으로..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끝마친다. 내 생각에는..인간은 결국.. 인간으로 향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그것의 바탕은 바로 사랑이고.. 너무 포괄적일 수도 있고..또 너무 신파적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내가 여기서 말하고픈 사랑이란, 용서와 배려, 사람과 사람간의 신뢰, 에로스적 의미, 집착 등 그 모든 것을 아우르는 의미이다.
마르탱은 움베르토를 용서했다, 체르니엔코 박사는 딸의 삶에 집착한 듯 보인다. 이지도르와 뤼크레스는 서로 사랑한다 등등등.. 이 모든 것들이 사랑하기 때문에 일어났고, 사랑으로 마무리된다. 그리고 그 사랑으로 인간은 발전한다.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