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카피 누가 쓴 거예요?
이태호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5월
평점 :

카피라이터 하면
사람들은 전문직의 영역이라 생각하고 자신과는 관계가 없다 생각 한다.
하지만 비단
전문직만의 영역은 아니다. 인플루언서나 크리에이터도 콘텐츠에 비중을 두지만 가장 관심을 갖고 신경 쓰는
것이 멘트이기 때문이다. 같은 말이라도 사람들의 관심과 니즈에 부합하는 언어를 하냐에 따라 자신의 팬덤과
같은 유입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더구나
개인조차 퍼스널 브랜딩을 생존전략으로 찾는 이 시대에 타인과의 소통과 공감에 자신을 대표할 특장점이 필요하다. 바로
업적이나 캐리어가 아닌 말로 말이다.
현재도 그렇지만 과거의 카피라이터는 창작의
영역에 비중을 두었다. 무언가 참신한 문구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간결하지만 강렬한 없던 문구를
만드는 게 일이었다. 지금도 카피라이터는 분야가 창작의 영역이지만 그 현재의 접근 방법은 다르다. 각자의 언어와 회사의 이미지로 대중성을 말하며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밈과 같이 뇌리에 깊숙이 박히는 좋은
카피 만드는 게 일이다. 현직 브랜드 마케터로 일하는 저자는 과거와 선을 긋는 것은 아니지만 그 구분이
명확해야 고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고 한다. 무엇을 말할지, 어떻게
말할지 말이다.
책은 고객의 다양성과 감수성을 바탕으로 두
캐릭터 주축으로 그 대립과 대처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MBTI와 같이 분류한다면 T(이성형)과 F(감성형)의 마케터로 서로의 다른 관점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카피를 제시하고 있다. 이성형은
성격처럼 논리, 구조 측면에서 접근하고 감성형은 인간의 감정과 본연의 내재된 이야기 스토리텔링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이 일하는 회사에 자신 브랜드만의 특징을 가진 회사가 의뢰하면 어떻게 훌륭한 결과물을 도출하고
반복적인 과정에 어떤 공식이 있는지를 이야기 하며 무엇과 어떻게 측면에서 규칙을 말하고 있다. 10개의
협의의 과정은 보여주기의 사례가 아닌 합리화로 이르는 방법과 어떤 부분을 집중해야 강화 시킬 수 있는지 트레이닝적 요소도 말하고 있다.
명확한 숫자가 제시하는 신빙성과 강한 임팩트. “1분에 한 대씩 팔리는 스마트 모니터” 경쟁사와 차별을 두는 과감성
“별도 콩도 질렸다면”, 신기술 분야와 업적에 대한 선도성
”우리의 자부심이 한 층 더 높아집니다”, 자신만 소외되면
도태된다는 감정을 유인 “요즘 음악 만져봤어?”, 설득과
협박 합리적인 결론을 제시 ”입맛이 없는 게 아니라 피로한 거에요” 를
무엇에 관해 말할 것인가 방법의 예시로 들고 있다. 첫 번 째는 삼성,
다음은 맥카페, 롯데타워, 현대카드 뮤직라이브러리, 아로나민골드의 대표카피 이다. 이것들은 WHAT의 측면에서 반대는 HOW 반복, 말장난, 격차, 반전, 이익의 관점에서 말하고 있다. 과거처럼 대상의 규정화로 만드는 문구가 아닌 스토리텔링의 공감과
흥미, 그리고 쉬운 트렌드적 이해로 접근할 것을 말한다. 말로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법 단순하지만 명확한 이 요소들이 중점이라 말하고 있다.
과거는 치밀적 요소와 전략이 카피의 중심이었다. 하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쉽근 접근성과 이해, 뇌리에 남는 흥미가
아닐까 본질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책은 묻고 있다. 업계의 실무자들을 넘어 다양한 접근을 통해
자신을 어필하는 시대, 확실한 성공의 요소를 원한다면 읽어 볼 것을 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