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글을 쓰면 좋겠습니다 - 나와 당신을 돌보는 글쓰기 수업
홍승은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덮고 충격적인 표지 사진 (암만 봐도 그로테스크하다^^;)을 뒤로하고 잠깐 생각에 잠긴다. 내면에 켜켜이 응축된 서사는 어느 순간 나도 모르게 언어로, 글로 입체화되기 마련이다. 나는 언제 글을 썼던가?

어린 시절 셜록 홈즈나 애거사 크리스티, 앨러리 퀸에 빠져 있었을 때 난 추리소설을 썼다. 탄탄한 스토리 라인에 치밀한 구성과 반전, 아! 물론 밀실 살인은 기본이다.-_-;; (아쉽지만 이 걸작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The truth is out there’
혹시 뭔가 익숙하다고 느끼신다면 그거 맞다. 미드 ‘엑스파일’의 모토. 머리가 좀 더 굵어서는 엑스파일에 빠져서 이런저런 글을 휘갈겼다. 각종 미스터리 관련 글들. ‘인체 자연발화현상’을 탐구한 글이 아직도 기억난다. (안타깝게도 이 또한 지금 남아 있지 않다. 다행히도..-_-;;)

머리가 더는 굵어지지 않던 고등학교 시절 ‘죽음과 無’는 나를 집어삼킨 괴물이었다. 삶에 대한 허무와 비관, 냉소는 극에 달했다. 그래서 글을 썼다. 믹서기에 갈리는 물고기와 무에 관한 시들. (슬프게도 이 잡다한 글은 아직도 남아있다.-_-;;)

이렇듯 글쓰기는 나를 관통해온 삶의 조각이었다. 하지만 이것들은 분열되어 영원한 ‘지금’을 살고 있는 자아가, 과거부터 지금까지 서사화되고 있다고 착각하게 만들어줄 유일하게 ‘활자화된 기억’일 뿐일지도 모른다.

뭐 어쨌든, 이 책은 따뜻한 느낌이 난다. 작가는 부드럽지만 또렷한 음성으로 존재들에게 글쓰기를 권한다. 내가 겪은 일을 낯설게 보면서 실질적 정직의 자세로 접근하라는 작은 조언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놈 익스프레스 -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익스프레스 시리즈 3
조진호 지음, 김우재 감수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음 명제의 참, 거짓을 생각해보고 지적 욕구가 활활 타오른다면 이 책을 강추합니다~^^;

1. 유전자는 생물체의 정보를 압축한 정보 덩어리다.
2. 유전은 DNA의 전달이며 DNA가 같으면 생명체도 똑같다.
3. DNA 전체 염기서열을 알면 생물체 전체 조직을 연결할 수 있다.
4. 세포 수준의 기능과 상호작용을 안다면 더 높은 차원, 즉 조직, 기관, 개체 수준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집집마다 책장 한구석에 꽂혀 있으면 좋을 책! 익스프레스 시리즈는 계속됩.... 은 잘 모르겠고 -_-; 계속되면 좋겠네요.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비티 익스프레스 - 중력의 원리를 파헤치는 경이로운 여정 익스프레스 시리즈 2
조진호 글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내가 생각하는 중력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신이 주신 모두에게 평등한 ‘자연의 중력’이라면 나머지 하나는 신이 주신 모두에게 불평등한 ‘삶의 중력’이다.

2. 물론 이 책의 주제는 자연의 중력이다. 고대 철학자로부터 시작된 중력에 대한 의문을 사고의 과정과 시대순으로 엮은 최고의 과학만화이다.

3. 모든 학문이 그렇지만 특히 자연과학의 발전은 선대의 학문적 유산 없이는 불가능해 보인다. 때로는 그것이 다른 방향으로 가는 발자국이나 넘기 힘든 산을 형성했을지라도 말이다.

4. 아톰 익스프레스에서도 느꼈지만, 작가의 이야기 구성 능력은 정말 탁월하다. 특히 인간 사고구조의 유사성에 기인한 “왜” 라는 물음은 이 책의 탄탄한 지반이 된다.

5. 이 책과는 관계없는 얘기지만 앞서 언급한 삶의 중력을 생각한다. 악착같이 잡아끄는 부조리한 삶의 곡률, 누구는 쉬이 뿌리치기도 하지만 누구는 하릴없이 순응할 수밖에 없다. 존재에게 부여된 삶의 중력은 공평했던 적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머전스 - 미래와 진화의 열쇠
스티븐 존슨 지음, 김한영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두 친구가 자유의지에 관해 논쟁하고 있다.
A : “자유의지는 불가능해. 인간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물질은 절대불변의 자연법칙을 따르고 있지. 우리의 행동 하나하나는 이미 양자 수준에서 결정되어 있어.”
B : “자유는 실존하는 인간의 존재 기반이야.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법을 어기거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행위를 한 사람을 어떻게 처벌하거나 비난할 수 있겠어?”

결정론과 자유의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은 케케묵은 주제지만 여전히 논란 중이다. 답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인데 <빅 픽쳐>의 저자 션 캐럴이라면 ‘시적 자연주의’라는 관점으로 이렇게 답할 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각각 다른 층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결론이 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면 A가 맞지만, B의 화법도 유용하고 의미가 있다.”

시적 자연주의란 실재하는 자연은 단 하나이며, 이 세계는 절대불변의 자연법칙에 따라 움직이지만, 세상을 논하는 유용한 화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는 세계관이다. 이는 세상을 이루고 있는 물질을 극한으로 쪼갠 양자 수준의 표준모형(코어이론)이 실재지만, 그 층위에서 창발(emergence)한 상위 층위의 행동이나 개념들도 나름의 유용한 화법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원래 소개하려는 책 <이머전스>, 즉 창발의 개념이 활용된다.

창발의 사전적 의미는 하위 계층(구성요소)에는 없는 특성이나 행동이 상위 계층(전체구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개미 하나하나의 행동은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개미집단 전체를 보았을 때 새로운 행동이나 특징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인간을 예를 들어보면 수많은 양자들과 힘들의 상호작용으로 ‘악수’라는 행위를 했을 때, 이 악수라는 행위는 하위계층에서 창발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악수나 예절, 또는 자유의지라고 부르든 각각 유용하며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 공감할 만한 이야기인가? 아니면 유물론자, 환원론자의 비겁한 변명(^^;)에 불과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란 무엇이 아닌가
이일야 지음 / 담앤북스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누구인가?’
이 물음은 정교하지 못하다. ‘누구’ 는 사피엔스 종을 염두에 두고 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나는 무엇인가?’
훨씬 낫다. 하지만 경계의 설정이 모호한 질문일수록 이렇게 물어보는 것이 때론 더 효과적이다.
‘나는 무엇이 아닌가?’

이 책은 흔히 불교에 대해 오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주제들을 중심으로, 불교의 관점과 그 반대되는 생각을 비교하여, 불교의 세계관에 대해 좀 더 친근하고 명료하게 접근하는 책이다. 예를 들어 이원론 vs 연기론, 자아 vs 무아, 윤회 vs 해탈 등등. 이런 방식은 불교라는 거대담론을 안에서부터 묘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애매한 경계 바깥의 요소들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그 내부 실체를 또렷이 인식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불교에 대한 파편화된 지식을 잘 정리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좋은 책이었다. 특히 인상적인 내용을 정리해 본다.

‘인식(앎)과 실천(삶)의 간극은 좁을수록 좋다. 그리고 그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 우리는 늘 사색해야 한다.’

‘우리는 영원한 지금을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