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역사 1
유성욱 지음 / 종교와이성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초기불교 무렵 인도 사정을 아는 방법으로는, 불교 입장에서 석가모니 생존모습과 시대상을 담은 4부니까야나 자따까(인연담)로 시작하는 접근법이 있다. 우리 불교전통과 생각보다 먼 초기불교의 수행과 시대배경, 시대정신, 그리고 당시 사람들에 무척 당황스럽지만 여러가지 떠도는 인도의 이미지들에 기대서 점차 익숙해진다. 석가모니 부처가 깨달은 법의 토대면서 동시에 극복할 대상이었던 당시 시대상이 부처가 남긴 법의 독자성과 가치를 고려할 수 있는 기준이라는 점을 깨닫는다. 거기다 동아시아 불교전통이나 우리 불교전통의 독자성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기도 하다. 

역사의 민족인 중국과는 다른 대륙문화를 가진 인도에서는 기록의 가치보다 해탈을 목표로하는 종교 전통이 지배적이었고, 그런 모습은 활발할 구술전통으로 수천년간 전해지는데 부족국가를 넘어 수십수백 소규모 국가들이 들끓었던 고대 인도의 모습을 뚜렷히 확인하는데는 부정적이다.   

이 책은 예전에는 큰 무리없이 받아들였던 몇 가지 견해를 업데이트한 자료를 통하여 좀 더 세밀하게 그리고 좀 더 적절한 용어로 표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예를 들면 모헨조다로와 하랍바 문명, 아리아인 침입에 대해 흔히들 갖는 생각이 이제는 바로 잡아야 하는 증거를 깔끔하게 제시한다. 

위에서도 밝혀듯이 초기불교 인도사정이 궁금한 나로서는 불교외에도 자인교나 고행주의 같은 사문의 활약이 당시 주도 계층에는 어떻게 비춰졌는지 혹은 경쟁관계인 사문끼리는 어떤 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 같은 비교 분석에 눈에 불을키고 살폈지만 책의 분량상 지금껏 읽어온 불교 입장에서의 책보다는 나은 점을 찾기는 어려웠다.  

흔히들 알고 있는 인도 역사에 새로운 화제들을 담아 적당한 분량으로 전달하고 있지만 좀더 유기적인 구성과 통찰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교미술 입문을 위한 중국사원 문화기행
바이하원 지음, 배진달 옮김 / 예경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중국인 저자가 쓴 중국사원일반론이다. 좀처럼 여러쇄를 찍지 않는 중국책 중에 역자가 밝힌 것처럼 예외로 많이 찍은 책이라지만, 중국불교 변화상을 전연 연관짓지 않은 중국사원에 대한 일반론이라 참신함과 깊이가 떨어진다. 

중국인 입장에서 내린 몇몇 의견과 배경설명은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법구경 이야기 1 - 법구경 주석서
무념.응진 옮김 / 옛길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 스님들과 학자분들의 수고로 초기불교 경전과 주석이 요근래 다수 번역되었다. 니까야(디가 니까야, 앙굿따라 니까야, 상윳따 니까야, 맛지마 니까야), 아비담마 길라잡이 혹은 해설서, 청정도론이 있다. 

모두 부처님이 설하신 내용을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하거나 그 내용에 설명을 붙여 혹은 알아보기 정리된 빨리어 원문을 번역한 것이다.  

4부 니까야는 부처님 말씀을 긴 말씀을 골라, 담긴 주제 수에 따라... 등에 따라 구분된 경이다. 아비담마 길라잡이처럼 체계적이지는 않지만 부처님의 원음을 확인해볼 수 있는 제1참조다. 불교에서 강조하는 법에 대한 실제 부처님 말씀을 그 상대나 상황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아비담마 길라잡이나 청정도론은 보다 수행자에게 맞춰진 형태다.  

그중 상황설명이 가장 풍부한 번역물이 이책 법구경 주석서다. 이 책이 주석하는 방향은 경전을 읽을 때 나오는 낯선 불교개념이나 용어, 유래들을 인연담을 통해 대부분 풀어주는 쪽이다.  

민중을 쳐다보는 힌두교가 취한 입장과 비슷하다면 비슷하다. 경전과 주석서랄 수 있는 베다, 우파니샤드 및 설화 문학인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처럼 여기 법구경 주석서도 경전과 주석서인 4부 니까야와 청정도론보다 일반인이 흥미를 느낄만큼 설화 요소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고 보면 대서사시나 법구경주석서나 모두 같은 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셈이다.    

불교가 강조하는 수행면에서 카스트 같은 사회계층을 수용하는 태도가 흥미롭고, 이런 수용태도는 그 시대 사람들에게 절묘하게 어필했겠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당시 모든 사회계층이 강자면 강자대로 약자면 약자대로 받아들일 요소가 이 종교에는 담겨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미술의 탄생 - 세계미술사의 정립을 위한 서장, 형태의 탄생 1
강우방 지음 / 솔출판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우방 선생의 이번 저서도 '언제나 그렇듯이' 생기가 넘치는, 항상 열린 마음과 무서운 끈기가 같이 하며 찾은 새로운 방법론으로 차근차근 설명한다.   

찾아내신 영기무늬를 고구려부터 조선조까지--종래 우리문화의 근본은 통일신라라고 판단한 걸 접고 이 영기무늬를 통하여 고구려가 그 근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샅샅이 살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와 계급의식 - 맑스주의 변증법 연구, 거름 아카데미 001
게오르그 루카치 지음, 박정호 외 옮김 / 거름 / 1999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막스 이론의 전반을 살피는데 참고할 잘 정리된 루카치의 저서다. 대표저서인 자본론을 잡고 읽어 내는데 큰 도움이 될 방향잡기와 원뜻이 많이 오염된(원하던 원하지 않던) '계급'에 대한 정돈된 설명이 들어 있다.  

유물론과 관념론 구분, 계급의식 및 몇몇말들은 이제 좀더 충실하게 내용을 담아낼 다른 번역어가 생겼으면, 그러니까 현재 변화된 모습에서 들여다 보고 알아들을 독서가 됐으면 싶다.  

기업의 개념을 시작으로 이어져온 저술활동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통할만한 '조직'의 개념을 구체화해온 피터 드러커는 경영을 목표로 관련 연구를 했고, 막스는 자본주의 사회에 자본가의 경제활동에 대항할 시도를 범주화한 개념이 계급이 될거 같다. 

어쨌든 막스의 자본론을 충실히 알아들을 기회인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