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경전은 어떻게 전해졌을까 - 언어와 문자로 읽는 불교 금강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금강인문총서 3
권탄준 외 지음 / 불광출판사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요 몇년 새 진행중인 초기불전 번역은 한자로 씌여진 동아시아 불교 전통에서 한 걸음 벗어나 보다 근본적인 방향이라고 환영받고 있다. 중국과 우리나라에 번역되 들어온 경전들이 북인도에 편중된 까닭이 있고 백년 넘게 계속해서 발굴되는 불교 경전들이 불교경전언어들을 어지럽게 하는 까닭도 있다. 

어떤 언어로 된 불교 경전이 좀더 부처님 원음에 가까울까는 불교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이면 항상 생각하는 문제다. 일반 불교도입장에서 어쩌면 여러 불교 경전 중 어느 경전을 선택할까의 문제는 불교라는 종교에서 제일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부처님 시대에는 경전을 담을 문자가 없었다는 사실은 그런 경전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일부 깍아 내린다. 구전으로 전해질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은 논외로 하고, 구전으로 전해진 내용이 문자로 기록되는 순간도 현재 남은 문헌들로 보면 구전 내용이 그대로 기록된 것보다 구전 내용을 주변 지역으로 전하면서 번역한 문헌이라는 점과 지역별로 그 최초 번역된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계속해서 변화를 겪었다는 점이 또 일부 깍는다. 

남방 불교, 산스크리트 문헌, 중앙아시아 언어 문헌 모두 이러한 한계 속에서 기록으로 남은 것이다. 나중에 나타난 대승불교 문헌들은 더 큰 한계를 갖는다고 볼 수 밖에 없다. 

여러 경전이 지닌 현실적인 한계를 감안하고 지나치게 순수성을 지향하는 태도는 약간 접어야 할 거 같다. 오히려 그렇게 학구적으로 고려된 한계 속에서 전연 퇴색하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변치 않을 불법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기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양과 세습 동양문화산책 26
사라 알란 지음, 오만종 옮김 / 예문서원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을 바탕으로 삼아 요순하상주 정권 이양을 분석한다. 

구조주의 분석은 다양한 범주에 충분한 문헌이나 유물을 필요로 한다고 하면서 마르티나 도이힐러가 고려 문화를 살핀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에서 고려 사회를 분석하기에는 문헌이 부족하다고 언급하는 것을 볼 때, 사라 알란의 시도는 가망 없어 보인다.  

하지만 신화 요소가 포함된 고대 중국 문헌이라는 특별함을 고려하면 구조주의분석이 어떤 구조적인 현실성을 일부 표현할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이런 인문학적 도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과정과 모습이 부럽다. 우리 고대사도 계속해서 현대 우리 입장에서 일어나는 여러 의문을 캐는 분석과 이해가 따라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 문명의 오리엔트 전통
발터 부르케르트 지음, 남경태 옮김 / 사계절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그리스 문명의 복잡함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를 정밀하게 검증하고 선택한다. 

저자의 전작 Greek Religion 에서 그리스 종교와 관련한 다양한 검증을 한바탕 경험한 뒤여서 이 번역글이 주는 감동은 더욱 크다. 

흔히 생각하는 서양 전통의 바탕인 그리스 문명이 실제로 어떤 내용으로 이루어졌는지 증거를 중심으로 번뜩임과 성찰을 곁들여 살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Korean History for International Readers (영어판) - What Do Koreans Talk About Their Own History and Culture?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전국역사교사모임 지음 / 휴머니스트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분량상 한권으로 한국 역사를 전달하려다 보니 관점이나 논점보다는 정보전달에 치중한 모습이다. 

국사책은 수수께끼를 지적으로 풀어 가는 흡입력이 있을 때 집중하게 되는데 그런 구성이나 전달력은 모잘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동양문화산책 4
사라 알란 지음, 오만종 옮김 / 예문서원 / 199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사라 알란의 글들은 제목만으로는 어떤 내용인지 추측하기 어렵다. 사실 이 책 제목을 보고는 동양사상에 관심많은 서양인이 분명치 않은 말과 이해로 신비스러운 동양사상이라고 과장하지 않을까 염려했었다. 이 책 말고도 '선양과 세습'이나 '거북  '같은 제목들에서 어떤 내용을 예상하게 되는지 궁금하다. 

동양고전 읽기에 관심을 갖는 이유 중 하나는 아시아권에서 글들은 어떤 흐름과 형식을 갖고서 발전해왔는지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고만고만한 내용은 그다지 관심을 끌지 못한다. 따지고 보면 중요한 부분이 한문에 대한 이해일테고, 많은 한자를 알아본다는 얘기보다 그 문자를 애용했던 고대인들을 생각이나 이를 글로 전개하는 방법이 중심이다.  

사라 알란의 글은 그런 한자문화의 바탕에 관심을 두고 동아시아에서 통용되던 사상들이 공유하던 은유들을 탐색한다. 유학 책들을 보면 논어, 순자, 맹자, 주자 등 후대로 갈수록 촘촘해지는 사상을 보이지만 그 근본에는 어떤 액채같은 물같은 대상을 두고 글을 쓴다. 그들은 계속 얘기한다 그 물같은 대상을 보라고, 자신들이 이뤄놓은 사상들은 물과 같지 않냐고 우리에게 묻고 우리가 그 대상을 바라보도록 권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