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남아시아 귀신 도감 - 전설과 민담에서 찾아낸
강민구 지음 / 북오션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으나 최대한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동남아시아 귀신 도감
강민구2025북오션
오늘도 안녕하세요,
네이버 블로거 '조용한 책 리뷰어'
'조책'입니다 :)
#책추천 #책읽기 #책스타그램 #책리뷰 #서평 #서평단 #도서서평 #독서노트 #독서일기 #독서 #서평 #서평단 #신간소개 #동남아시아귀신도감 #강민구 #북오션 #북유럽
강민구 작가는 여행작가이자 인류학적 감수성을 지닌 이야기꾼으로 그는 오랫동안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그 지역에 살아 있는 귀신과 신앙, 전설의 흔적을 연구하고 기록해왔다고 소개한다.
단순히 괴담을 모은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숨은 사람들의 두려움, 믿음, 그리고 사회의 무의식적 욕망을 읽어내는 태도로 접근한다.
이 책은 그가 현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증언, 마을의 전설, 그리고 그 모든 이야기를 감싸는 문화적 배경과 심리적 해석을 함께 담고 있다.
즉, 귀신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관찰한 도감이다.
『동남아시아 귀신 도감』은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등 다양한 지역의 귀신 이야기를 현장감 있게 엮은 책이다.
하지만 단순히 괴담을 나열하지 않으며, 귀신의 이름, 외형, 전설, 그리고 그 존재가 사람들에게 주는 의미를 통해 그 사회의 문화와 심리구조를 읽어내는 인문학적 시도를 보여준다.
책의 첫 장에서는 태국의 피이파와 팍팍 같은 귀신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사람의 몸에 깃들어 병을 일으키거나, 죽은 자의 혼이 미처 가지 못해 떠도는 존재로 여겨진다고 소개한다.
작가는 이런 이야기를 통해 동남아시아 사회에서 죽음과 생명의 경계가 얼마나 유연하게 받아들여지는지를 보여주며 귀신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의 일부로 받아들여진다고 설명한다.
작가는 이 귀신들을 단순한 공포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한 사회의 억눌린 감정과 젠더 불평등의 상징으로 읽어내며 베트남의 경우, 전쟁의 상처가 만든 혼령들의 이야기가 이어지는데, 이곳의 귀신은 슬픔과 미련을 품은 영혼으로 묘사되며, 사람들은 그들을 달래는 제사를 통해 자신들의 상실을 위로받는다고 작가는 설명한다.
결국 귀신은 단지 죽은 자의 그림자가 아니라 산 자의 마음속 공포와 죄책감이 만들어낸 존재로 그려진다.
책은 곳곳에서 각 지역의 신앙체계, 무속의 형태, 심지어 음식 문화나 축제의 배경까지 분석하며 귀신이 그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탐구한다.
귀신 이야기는 공포의 장르가 아니라, 사람과 세계의 관계를 해석하는 문화 언어임을 저자는 일관되게 보여준다.
처음에는 단순한 괴담집인 줄 알았다.
하지만 읽다 보니 이 책은 훨씬 더 깊은 층위를 가지고 있었다.
이야기 속 귀신들은 낯설었지만, 그 안에서 느껴지는 인간의 감정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두려움, 그리움, 미련, 죄책감, 그리고 살아남은 자의 후회, 결국 귀신이란 인간의 마음이 만들어낸 그림자일 뿐이었다.
특히 인상 깊었던 대목은 동남아의 마을 사람들이 귀신을 두려워하면서도 매년 제사를 지내며 그들에게 음식을 바치고 노래를 불러주는 장면이었는데, 그것은 두려움을 통해 인간이 자신을 지키는 방식이자, 보이지 않는 존재에게 예의를 갖추는 문화적 태도였다.
이 책을 덮고 나면, 귀신이 무서운 존재가 아니라 우리 마음의 그림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동남아시아의 귀신들은 낯선 외형을 하고 있지만 그 속의 감정은 인간의 보편적 감정과 닮아 있었고 읽는 동안 오히려 이상한 위로를 느꼈다.
요약
마음의 그림자
이상한 위로
인간의 마음이 만들어낸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