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은 대부분 철학의 문장들은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말하려는 시도의 결과였다고 보고 있다.

종래의 철학자들의 주장들은

한결같이 그러한 주장의 합법성을 갖추지 못한 채

우리 언어의 논리를 남용한 결과

무의미한 문장들을 양산해내었다는 것이다.


- 박병철, 『비트겐슈타인 철학으로의 초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회의 ‘하나 됨’은 일단 교리를 바로세우고 나서

나중에 가서 추가할 수 있는 선택적 요소가 아니다.

교회가 하나 되는 것은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의 근간이다.

예컨대, 초기 신조들에 나타나는 교회의 표지나 속성에는

단일성, 거룩성, 보편성, 사도성의 네 가지가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바로 ‘하나 됨’이다.


게빈 오틀런드, 『목숨 걸 교리 분별하기』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이가 들수록 자기에게 있는 세 가지를 잘 파악해야 한다더라.

먼저 내가 잘하는 일을 알아야 하고,

그다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알아야 하고,

마지막으로 내가 해야 하는 일을 알아야 한다더라고.”


- 김호연, 『불편한 편의점 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능한 것에 대한 옛 한계는

힘없는 사람들을 그 자리에 묶어두기 위해 고안된

거짓된 장치였음이 드러났다.

예수님은 그런 고안된 한계들을 없애시고,

불가능한 것을 향한 세상의 문을 여신다.

예수님은 그 선포를

“누구든지 나로 말미암아 실족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라는

권면으로 마무리하신다.


- 월터 브루그만, 『메시아의 이름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0년 전만 해도 기업의 목적은 이익을 창출하는 것뿐 아니라

직원과 공동체와 보다 넓은 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금융화 시대를 지나오면서,

최근 수십 년 동안 사업은 엄청난 변모를 겪어 왔다.

사업 목적도 이리저리 잘려 나가고

회사 소유자인 주주의 부를 최대한 불리는 데에

온통 집중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니컬러스 섁슨, 『부의 흑역사』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