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수도라 불리는 서울 한 복판 용산에서

대책없는 철거로 인해 살길이 막막해진 사람들이

철거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었다.

쥐꼬리 만한 보상금을 던져주고 나가라고 윽박지르며

진압봉과 살수차로 무장한 경찰들을 보내 내어 쫓았다.

결국 시민 네 명이 죽었다.


 

전형적인 신자유주의 정책이 실현되고 있는 모습이다.

가난하고 약한 사람들은 내어 쫓고,

그 자리에는 돈 있는 사람들을 위한 '깨끗하고' '폼 나는' 건물들을 짓는다.

경제는 발전하는 것처럼 보이고, 시가지는 깨끗하게 된다.

그러나 그 뒷면에서는 사람들이 마치 쓰레기인 양 살수차로 청소되고, 끌어내진다.

  

이들에게 극빈층은 그 자신의 의지와 능력의 부족을 의미할 뿐이지만

사실은 국가에 의한 폭력과 가진 자들의 욕심이 그들을 만든다.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의 구조적 특성은 족히 3~40%의 국민을 극빈층으로 만드는 데 있다.

칠레, 폴란드,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가 바로 그런 문제를 겪었지만,

그래서 수 십, 수 백만 명의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지만,

시장만능주의자, 돈을 신으로 섬기는 사람들의 눈에는

높은 건물과 매끈한 자동차, 값비싼 음식과 양복만 보이고 경제 발전이라고 박수를 친다.

 


우리는 지금 역사의 매우 중요한 시점을 살고 있다.

아마도 10년 뒤 사람들은 지금을 이렇게 기억할 것이다.

그 때부터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망하기 시작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버지 때문에 본의 아니게 몇 개월 동안 병원 생활을 한 적이 있다.
의사나 간호사 지망생을 빼고는 누가 병원 생활을 좋아할까만은,
나도 역시 그 때의 경험은 다시 되풀이 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다.
어지간히 몸이 고단하기도 했거니와,
병원 생활이 길어지면서 그 곳에서 여러 사람들의 기분 나쁜 면을 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가 지금 쓰려고 하는 '없는 사람 취급하기'다.

 

병원 생활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에는 크게 드러나지 않지만
몇 달씩 병이 지속될 경우 환자는 물론 그 주위 사람들도 서서히 지쳐가게 된다.
더구나 그 병이 언제 나을 지 기한이 없다면 이제 조건은 거의 다 갖춰진다.





상황 1.
환자는 오랜 병으로 쇠약해진 상태.
환자의 친구가 문병을 와서 환자의 다리를 잡고 말한다.
"아이고 이거.. 이래서 걸을 수나 있겠어?"
나쁜 뜻으로 한 말이 아니란 건 안다.
(어쩌면 그냥 자신의 무심함을 드러내는 말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꼭 그 말을 오랜 침대 생활로 다리에 힘이 없어
어쩌면 다시 걷지 못할 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그래서 겨우 희망을 주며 격려를 해 놓은 환자에게 할 필요가 있을까?

 

상황 2.
심혈관질환(심장에 붙은 혈관에 문제가 있는 병) 환자들은
종종 가슴 부위에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특히 그 부위에 수술을 받은 후나 신체의 다른 이상이 있을 때 특히나 그렇다.
그렇게 통증이 생기면 간호사를 불러 의사의 처방을 요구하고,
간호사는 처방을 받아 적절한 약물을 투입한다.
문제는 이 통증이 일정치 않다는 데 있다.
항상 같은 처방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통증이 일어날 시간을 가늠할 수가 없다.
의사와 환자 사이에 있는 간호사로서는 매 순간 긴장을 해야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호출을 받고 가도 금방 진정이 되기도 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전달해도 '기다려보자'는 대답이 돌아오기도 한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환자가 통증을 호소해도
크게 여기지 않는 상태까지 이르게 된다는 데 있다.
환자가 일정 시간 안에 연속적으로 강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이상
환자가 호출을 했다는 사실까지도 잊어버리는 것이다.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 환자로서는 분통이 터지는 일.
환자는 간호사의 머리속에서 '없는 사람'이 되어버린다.


없는 사람 취급하기.
줄여서 '무시'.
이것은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상대의 기분이나 상황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함부로 말을 하거나,
자신을 부르는 소리를 못 들은 척 하는 모습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사실 여기에 의도적인지의 여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무의식적으로 '없는 사람' 취급을 했다고 하더라도
그건 이미 그런 태도가 체득화 되어 있다는 뜻일테니까.
대신 여기에는 거의 필수적인 요소가 한 가지 있는데,
'없는 사람' 취급을 받는 사람이 그런 취급을 하는 사람에 비해 '약자'라는 것이다.
무시란 나보다 약한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강자의 태도이다. 





우리는 왜 다른 사람을 무시할까?
가장 큰 이유는 손해를 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귀찮아서'라는 이유도 그 때문에 내 시간과 여유를 사용하기 싫다는 말일 뿐이다.
비슷한 이유로 '나에게 이익이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라는 것도 있다.
결국 나를 위해 다른 사람을 버릴 수도 있다는 태도이다.

 

무시를 하는 또 한 가지의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적어도 '직접적 논란'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공개적인 조롱이나 공격은 비난의 대상이 되지만,
무시는 암묵적으로 용납이 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무시를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명예나 품위를 지키면서 손해까지 보지 않을 수 있는
경제적으로 아주 효율적인 태도가 '무시'이다.





최초의 얼마간을 예외로 한다면, 인간은 항상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왔다.
무시는 그런 삶의 방식을 뒷면으로(정면으로의 반대말?) 거부하는 것이다.
태어날 때부터 이기적인 인간들에게
그나마 어느 정도 선을 강제할 수 있는 요소가
'다른 사람의 눈', 즉 명예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인데,
무시란 그 보이지 않는 고리 마저 끊어버리는 강력한 도구다.
무시가 일반화 된 공동체는 더이상 공동체가 아니다.
당연히 (경제적, 정치적, 물리적) 힘이 센 놈만 잘살게 된다.
약육강식의 비인간적 세상이 되는 것이다.

 

누군가를 '없는 사람 취급'하는 것은 내 의식 속에서 그의 존재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것은, 소극적인 의미지만, 인격적인 살인이다.
그것도 절대로 처벌받지 않는 살인 말이다.


물론 우리가 살아가면서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일일히 반응을 보여줄 필요는 없을지도 모른다.
그건 어지간히 우리를 소진시키는 일이기도 할 뿐더러,
종종 단지 우리를 귀찮게 할 목적으로 요청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 정도의 구분이나 판단마저 포기하자는 말이 아니다.
다만 다른 사람을 '없는 사람 취급'하는 것이
그 사람에게나 우리 자신에게나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 한 번쯤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너무나 쉽게 다른 사람을 의식 속에서 제거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여전히 다른 사람의 아픔을 함께 아파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생각이
쉽게 가시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호... 

다음 블로그에 영화평을 쭉 써서 올린 게 이번에 UCC AWARDS 후보작으로 선정되었다는군요!! 

그래서 상품권 5만원이 도착..  

한 만 원 더 더해서 싼 패딩 점퍼라도 하나 사 입어야겠어요.. ㅎㅎ 

 

 

1등에 당첨되면 100만원이나 준다는.. 컥..  

욕심이 나긴 한데...ㅋ 

지금 투표중이랍니다. ^^ 

(꼭 절 찍어달라는 건 아니구요.. ㅋㅋ)

 
http://promotion.search.daum.net/event_2008UCCAwards/main.dau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즈음 이상하게 서재 방문자수가 많다. 

3, 40명이나 될까 말까에서 

하루에 3, 400명이나 들어오니 이거... 

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물을 흘리는 것과

 떨어지는 빗방울을 바라보는 것은

어쩌면 비슷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