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오늘, 옛 중도 선착장에서 녹슨 폐선을 보았다.

 

잃어버린 것이 너무 많아

아무 바람이라도 만나면 포근히 실어주었더라

바람은 잠시 쉬다가 이마에 미열만 남기고

싸늘히 돌아갔더라

(중략)

아련하기만 한 나의 사랑은

저기 떠나는 자의 모습으로 서 있더라

더 이상 노래하지 않는 자의 모습으로 서 있더라

(하략)

 

조현정시인의 시폐선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풍물시장 어귀에 있는 조각 작품이다하지만 포옹하고 있는 남녀의 뜨거운 모습에 나도 모르게 가던 발걸음을 멈추었다.

 

기차가 정차한 역전이다.

남자는 군 복무 중 휴가 나왔고 여자는 그런 남자를 애타게 기다리다가 마침내 만났다남들의 시선을 의식해서 차분하게 만나려했으나 자신도 모르게 뜨겁게 포옹했다두 사람의 어쩔 줄 모르는 사랑이한쪽 발이 들린’ 모습으로 우회적으로 나타났다.

  발걸음을 멈추고 지켜보던 나도 발 한 쪽이 덩달아 들리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사시대 맥국(貊國)의 수도가 자리 잡았을 법했다. 뒤로는 병풍 같은 산이, 앞으로는 널따란 벌(샘밭)을 안았으니.

山泉 무지개 교회경내에 아내와 함께 들어서자 사모님이 반겼다. 경내는 시골의 작은 분교가 들어서도 될 만큼 소담스레 넓은 데다가 잔디도 촘촘히 깔려 있었다. 응접실에서 사모님이 말했다.

교회 건물을 다 짓던 날, 무지개가 뜨는 게 아니겠어요? 그래서 교회 이름을 무지개 교회라고 한 겁니다. (웃음) 나중에 알았는데 무지개가 다른 곳보다 이 지역에서는 자주 뜨는 것 같아요.”



아내가 물었다.

어느 교파에 속하지요? 장로교다, 침례교다 하는.”

특정 교파에 속하지 않은 초 교파적인 교회이지요.”

사모님이 앞장서서 여기저기 안내해 주었다. 놀랍게도 예배당이 순 목재로만 지어져 있었다. 시멘트로 지으면 쉽고 빨리 지었을 텐데 굳이 목재를 고집해 지은 목사님 내외의 마음이 궁금해졌다. 그 까닭을 물어보지 못했지만 실내의 은은한 나무 향기가, 바깥의 차가운 겨울 날씨로부터 안온하게 보호해 주는 듯한 느낌만으로도 해답을 들은 것 같았다.



앞에 걸린 십자가도 나무 십자가였다. 내가 말했다.

보통 교회에 가면 가시면류관을 써서 머리에 피를 흘리는 처참한 예수님 십자가인데 저렇게 담백한 평화로운 나무 십자가라니제 마음에 듭니다.”

예배당은 여러 모로 특이했다. 출입문 부근에 있는 아주 작은 다락방도 그렇지만, 출입문에 들어서기 전누구나 머리를 숙이는 겸손한 자세가 되도록아치형 구조물이 마련돼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신론자인 나도 아치형 구조물을 통과하는 순간 머리를 숙여야 했고 그렇게 들어선 예배당에서 은은한 나무 향기까지 맡게 되니 보다 경건한 마음이 될 수밖에 없었다.

교회 경내에는 빨간 공중전화 박스가 여기저기 놓여서 스산한 겨울 풍경을 이겨내고 있었다.

 


山泉 무지개 교회’.

샘밭, 운전면허시험장 부근에 있는 그림 같은 교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901월에 강릉 바닷가로 가족여행 갔다. 안목 해변이었다. 당시 세 살 되던 우리 아들이 푸른 겨울바다를 배경으로 기념사진 한 장을 찍었다. 그 즈음만 해도 안목 일대는 한적한 동네였다. 요즈음 전국에서 알아주는 커피 거리가 되어 이 한겨울에도 사람들의 발길이 넘쳐난다는 TV뉴스에 내가 놀라는 건 그 때문이다.

세상만사 걱정 하나 없이 활짝 웃던 우리 아들. 어언 서른이 넘어 이제는 회사 생활하기 바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풍물시장에 있는 뻥튀기 장수가 이런 글을 써서 천막 위에 걸었다.

뻥뻥뻥 강냉이 363일 매일 튀겨드립니다

내가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그 글에 주목한 건,‘365’일이 아닌‘363라 한 부분 때문이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과 추석날만은 장사를 쉬어야 한다는 뜻일까? 아니면장사를 하다 보면 일 년에 이틀 정도는 최소한 쉬어야 한다는 뜻일까?

글쎄.

어쨌든 365일이 아닌 363일이라 명시함으로써 365일이 주는 강박관념을 슬그머니 넘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 나 같은, 지나가던 사람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