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란 K는 걸음을 멈추고 주위를 살폈다. 그러곤 어이가 없었다. 개울 흔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끼 낀 바위들이 널려 있어서, 비가 오면 개울물이 흘렀을 것 같았다. 바위들은 미끄러웠다. 그뿐 아니다. 플라스틱으로 된 막걸리 병과 과자 봉지 같은 것들이 퇴색한 채 바위 들 틈에 박혀 있었다. 누군가가 무더운 여름이면 서늘한 이곳을 찾아, 과자를 안주로 막걸리를 마시며 더위를 피하곤 했던 모양이다. 꾀죄죄하게 때가 낀 물건들의 꼴로 봐서는 근래의 일은 아니었다. 최소한 이삼년 전 일일 것 같았다.

사방 어둑한 숲속에서 사람이 다녀간 흔적을 보니 K는 왠지 안도가 되었다.

개울 흔적을 지나서 다시 10분쯤 나뭇가지와 칡덩굴을 낫으로 치며 나아가자, 갑자기 K의 눈앞이 훤히 트였다. 거짓말처럼 나무 한 그루 없이 잡초들뿐인 넓은 땅이 펼쳐져 있었다.

프랑스 사람이 인적 끊긴 깊은 숲속에 들어갔다가 생각지도 않던 거대한 앙코르와트 유적을 발견했다는데 그 때 놀란 심정이 지금의 내 심정과 같지 않았을까!’

K에게 직감이 왔다. 오래전 누군가 밭농사 지었던 흔적이었다. 세월이 흘렀어도 농사짓던 자국은 쉬 사라지지 않았다. 울창한 나무 숲속에 숨겨져 있는 공간.

누군가가 나무 숲속에서 낯선 침입자 K를 살피고 있는 것 같은 공포감에, K는 손의 낫을 다시금 확인했다. 고요하다기보다 적막함이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여기서 농사짓던 이들이 일하다가 힘들 때 쉬는 곳으로 삼았는지, 가까운 거리에 큰 포도나무 한 그루가 그늘을 드리우고 있었다. 거미줄에 얽힌 포도송이들이 여기저기 달려 있는 게 보였으나 K는 다가가지 않았다. 식욕마저 나지 않는 적막한 공간.

초여름의 따가운 햇살이 공간과 K를 한꺼번에 내리쬐었다.

왜 농사를 중단하고 사라졌을까?’

만나본 적 없지만 어느 한 때 땀 흘려 경작하다가 무슨 사연인지 다 포기하고서 떠나버린 그들’. 공간의 넓이로 봐 결코 혼자 농사지을 수 없을 거란 판단에 K그들이라고 복수(複數)를 생각했다. 마치 K네 부부처럼.

K가 퇴직금으로 외진 골짜기 땅을 사서 아내와 밭농사 짓기 여러 해. ‘그들부부도 K네 부부처럼 이 공간을 사서 밭농사 지었던 듯싶다. 하지만 무슨 사연인지 다 포기하고 떠나버렸다. 문득 며칠 전 아내가 K에게 한 말이 떠올랐다.

여보. 잡초들 김매다가 지쳐 죽겠어. 이 돌투성이 밭을 팔아치우고 편히 삽시다. 다 늙어서 이게 무슨 고생이야.’

그 말에 K는 대꾸하지 않았다. 기껏 비싼 포클레인까지 불러들여 경지정리하고 컨테이너 농막까지 사다 놓고는 농장을 시작했는데 그만 둔다니 될 말인가. 그렇기도 하고 적적한 노후를 집에서 날마다 TV나 보며 보낼 거야?

K는 돌아섰다. 숲속에 숨어있는 농사짓다가 떠나면서 황폐하게 남은 밭을 더 지켜보기 힘들었다. 마음이 몹시 무거워졌다. K는 다시 낫을 들어 앞을 가로막는 나뭇가지와 여기저기 뱀처럼 널려 있는 칡덩굴들을 쳐내며 무겁게 한 걸음 한 걸음 농장을 찾아 나아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네 농장은 북향이다. 북쪽만 훤하게 트여 있고 나머지 세 방향은 울창한 나무숲이다. 특히 서쪽 방향은 잣나무들이 빽빽이 조림돼 있어서 농장이 다른 곳보다 서녘 해가 일찍 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동쪽 방향은 소나무 참나무 산벚나무 느티나무 아카시나무 들이, 남쪽 방향은 흰닥나무 오리나무 참나무 들이 어지럽게 장벽처럼 들어서 있다.

K는 밭에서 일하다가 지치면 컨테이너농막에 들어가 댓자로 누운 채로 라디오 음악을 들으며 쉬곤 했는데그 날은 불현듯 남쪽 방향의 숲속을 살피고 싶어졌다. 나무들은 괜찮은데 칡덩굴이 별나게 기승을 부리는 곳이라 단 한 번도 들어가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동쪽과 서쪽 숲속은 이미 여러 번 가 봤었다.

칡덩굴.

그 놈들은 남쪽 방향 숲에서부터 기어 나와 농장 안까지 기웃댄다. K의 아내가 질색하여 전년도에 낫으로 놈들을 열심히 쳐냈으나 해가 바뀌자 아무렇지도 않은 모습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오늘 아내는 성당에 가는 날이라며 K 혼자 농장에 가게 했다. 부부가 사는 집은 농장에서 20 리 넘는 시내에 있다.

K는 아내가 남편을 위해 농막에 갖다 놓은 긴팔 남방을 걸친 뒤 등산화도 찾아 신었다. 한 손에는 낫을 쥐고서 남쪽 숲으로 조심조심 들어갔다. 깨진 바위도 많은 데다가 칡덩굴까지 어지러운 숲. 대낮인데도 어두운 숲이라 발걸음 하나 옮기기도 쉽지 않았다. 만일 아내가 있었다면 그냥 농막으로 되돌아가자고 만류했을 것 같다.

낫으로 눈앞의 나뭇가지들과 칡덩굴을 쳐 내면서 10분 쯤 걸었을까 갑자기 눅눅하면서 찬 기운이 K를 휘감았다.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가 지인과 저녁식사를 하고 헤어진 시각이 밤 830분경이었다. 지인이 택시라도 잡아주려 했지만 사양했다. ‘저녁 식사 후 한 시간 걷기’를 건강관리 차원에서 실천하고 있기에 사는 집까지 걸어가기로 한 것이다.

20분은 걸어서 집까지 30분쯤 거리가 남았을 때다. 가까운 도로 변 공원에서 누가 K를 불렀다.

“어이, 여기 좀 와 보쇼.

밤 시간에 공원 숲 벤치에 앉아 일방적으로 K를 부르는 사내 목소리. 솔직히 사내 체구가 크고 목소리도 굵직한 느낌이었다면 K는 못 들은 척 그냥 가는 길을 계속 걸었을 게다. 세상이 날로 험해져서‘한밤중에 낯선 이’란 경계의 대상이니까. 하지만, 좀 어둡긴 하지만 체구도 작아 보이고 목소리도 가냘프게 들려서 K는 발길을 사내 쪽으로 바꾸면서 반문했다.

“저를 불렀습니까?

“그럼요.

가까이 다가가자 사내가 벤치에서 일어나는데 왠지 느린 동작이다. K가 까닭을 알았다. 사내는 술 취해 있었다. 처음 보는 모르는 사람이었다. K에게 비틀거리는 몸으로, 반쯤 꼬부라진 혀로 말을 이었다.

“여기가 어디요?

K는 어이가 없었다. 어느 술자리에서 만취한 뒤 귀갓길에 나섰다가 길을 잃은 사내가 아닐까?

“여기는 말입니다.

하면서 K는 부근에 있는 큰 건물들을 가리키며 현재 위치를 설명해 주었다. 사내가 설명을 다 듣고 나서 이렇게 말했다.

“그런데 왜 내가 여기 있는 거요?

정말 어이가 없었다. 그걸, 길을 가던 K가 어찌 안단 말인가. 말문이 막혀 멍하니 있게 되자 잠시 침묵이 흘렀다. 사내가 침묵을 깨고 다시 말했다.

"그럼… 목욕탕이 어디 있소?

맥락이 잡혔다. 사내는 아마도 오랜만에 목욕탕에서 목욕을 마친 뒤 기분 좋게 소주를 마신 듯했다. 목욕 후 음주하면 만취하기 십상이라는데 바로 그런 경우가 아닐까. 머지않은 가까운 곳에 목욕탕 건물이 있었다.

“저기 목욕탕이 있는데요.

K가 그 건물을 가리키며 말하자 사내는 고개를 끄덕이며 화답했다.

“원, 우리 동네 부근이잖아. 허허허”

 

K는 사내와 헤어져 다시 집으로 걸어오면서 그 어이없는 말이 떠올랐다.

“그런데 왜 내가 여기 있는 거요?

당사자는 무심결에 한 말이지만 얼마나 철학적인 물음인가! 왜 내가 여기 있는지를 알기 위해 수많은 지성(知性)들이 나서지 않았을까. 인류의 성인들도 가만있지 않았다. 석가모니는 고행 끝에‘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으로써 답을 냈다. 예수크리스트는 십자가에 매달려 절규함으로써 답을 냈다. '하나님 아버지. 왜 나를 버리시나이까?

올해 밭농사도 끝나가고, 아들도 장가가서 여러 모로 한가해진 K. 그래서일까 며칠째 같은 질문에 골몰하며 지내고 있다.  

  “왜 내가 여기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는 아직도 그 날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1977년 무더운 여름 어느 날이었다. 벼르고 별러서 선풍기 한 대를 사 갖고 집에 와 시원하게 작동한 것이다 그 날에.

직장생활이 얼마 안 돼 봉급이 적었던 것일까. 무더운 여름을 이겨나가도록 도와줄 선풍기 하나 장만하는 일이 그리도 힘들었고 그래서 그 날 가전제품 판매장에서 선풍기 하나를 사 갖고 셋방집으로 오면서 의기양양했던 자신의 모습. 하긴 그 시절은 흑백 TV라도 한 대 집에 들여놓으면 더 이상의 소일거리 도구는 없는 것 같았다.

 

세월이 흘렀다. 동네 쓰레기장에서, 멀쩡해 보이는 선풍기를 내다버린 것을 발견하는 일이 흔해졌다. K의 친지 분이 그런 선풍기를 하나 주워서 집에 놓고 틀었는데 과연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게 아닌가. 세계에서 알아주는 가전제품 회사가 여럿이 있는 대한민국이라 그럴까 기능은 이상 없지만 구닥다리 디자인이라는 이유 하나로 가전제품이 폐기처분되는 시대다.

 

그렇기에 10년 가까이 진득하게 K 곁을 지킨 모() 선풍기는 골동품 소리를 들을 만했다. 여름만 되면 K는 그것을 책상 바로 옆에 놓고 작동시켜가며 열심히 글을 썼다. 그런데 작년 여름 어느 날이다. 그 선풍기가 사망했다. 가전제품이지만 K는 사망이란 단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어느 일부분이 고장난 게 아니라 순식간에 폭삭 부서져 버렸기 때문이다. 전원에 연결하고 작동스위치를 누르자 팬이 잠시 도는 듯싶더니 팬을 보호하는 망과 함께 마치 골판지로 만든 장난감처럼 폭삭 부서져 버리던 것이다. 수리 대상이 아니었다. 온전한 폐기 대상이었다. 단단한 쇠붙이도 피로도(疲勞度)라는 게 있어 어느 순간 부서진다더니 그런 경우일까. 정말 K는 지금도 그 선풍기의 최후를 생각하면 비록 가전제품일망정 경건하게 조의를 표하고 싶다.

 

나이 탓이다. 근년에 들어 K는 몸의 여기저기가 안 좋아져 병원 신세도 지고 복용하는 약도 늘어났다. 나름대로 건강관리에 신경을 쓰며 살아왔으나, 젊었을 적 툭하면 소주나 고량주를 마시며 밤을 지새운 죄가 그 벌을 받는 거라고 마음을 다독여본다.

그러면서 K는 이런 생각도 한다. 몸의 여기저기가 탈이 나면서 아픈 데가 늘어난 노후를 보내느니 그 선풍기처럼 한순간에 갔으면 싶다. 얼마나 대단한 그 선풍기의 생사인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8-06-27 2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