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깜박깜박 도깨비 옛이야기 그림책 13
권문희 글.그림 / 사계절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깨비의 귀여운 건망증

 

'도깨비'는 우리의 이야기에서 대체로 무섭지만 못된 사람을 혼내주기도 하고 어리석은 모습도 보인다. <놀부와 흥부> 이야기에서 박에서 나온 도깨비는 놀부를 혼내주는 무서운 사자로 등장한다. <혹부리 영감>에서 나오는 도깨비는 도깨비 방망이까지 건네 줄 정도로 노래를 좋아한다. 그리고 옛날 이야기에서 밤을 샐 정도로 씨름을 좋아하기도 한다. 이처럼 '도깨비'는 우리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서 우리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에서 밀접한 친근감을 보여준다.

 

이 이야기에서도 도깨비가 등장하는데, 도깨비 방망이도 없고 머리에 뿔도 없을 정도로 귀여운 편이다. 단지 도깨비라고 추측해 볼 수 있는 것이 다리인데, 바로 옆에 있는 꼬마 아이와 같지 않게 바지 아래의 다리가 없다.

 

        

 

옛날 옛날에 혼자 살던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는 마을의 잡다한 일을 모두 거들어 주며 겨우 하루 먹을 양식을 벌었다. 어느날,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고갯길에서 도깨비가 나타나 아이에게 엽전 세 푼을 빌려달라고 한다. 아이는 도깨비가 돈을 안 갚을지도 모르지만 겁이 나서 빌려주고 만다. 다음날, 도깨비는 아이의 집에 찾아와 돈을 갚는다. 그런데 도깨비는 다음날에도 돈을 갚으러 왔다. 다음날에도 또 다음날에도.

 

 

도깨비가 매일 찾아와 돈을 갚는 모습을 끝없는 이야기로 꾸민 그림이 무척 특이했다. 그리고 어떤 날에는 못 쓰는 솥을 보고는 신기한 솥을 매일 가져다 주었다. 또 어떤 날에는 방망이를 못 쓰는 걸 보고 이번에는 신기한 방망이를 가져다 주었다.

 

       

 

솥과 방망이를 매일 가져다 주는 모습이 독특한 문체로 끝없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작가의 전의 작품이었던 <줄줄이 꿴 호랑이>를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끝없이 이어질 것 같았던 도깨비가 어느날 울면서 나타났다.

 

         

 

집의 물건들이 많이 사라져 혼나서 벌을 받게 된 도깨비가 울면서 아이에게 나타나 돈을 못 갚게 되었다고 전하는 장면이었다. 다음날 필요로 한 돈이나 솥, 방망이는 잘 챙겨서 갖다주면서 돈을 갚은 사실을 왜 잊어먹는지... 그러다 혼이 나고 벌을 받고 와서 돈을 갚겠다고 하는 도깨비가 귀여우서 웃음이 나왔다. 이제 부자가 된 아이가 다 갚았다고 쫓아갔지만 소용이 없었다.

 

 

결국 벌을 다 받고 돈과 솥, 방망이를 챙겨 온 도깨비는 너무 부자가 된 아이의 집을 못 찾아서 헤매게 되었다. 도깨비의 귀여운 건망증으로 혼자 어렵게 살던 아이는 부자가 되었다. 도깨비의 건망증은 없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지만 그로 인해서 생긴 아이의 행운이 행복하게 느껴졌다.

 

 

* 알라딘 도토리 통신의 서평단으로서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민의 외딴섬 여행 무민 그림동화 14
토베 얀손 글.그림, 이지영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무민 가족들의 단란한 여행


시기가 시기인 만큼 많은 생각들이 떠올랐다. 시간이 조금씩 지나고 있지만 아직 우리들은 아픈 상처 속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동화책을 순수하게 동화로 받아들일 수 없는 현실이 슬프기그지 없다.

무민이는 시리즈로 나와 있는 것으로 토베 얀손이 창조해 내었다. 1934년에 최초로 '무민' 시지즈를 발표해 1966년 어린이 문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상'을 수상하고 핀란드 최고 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무민 시리즈는 텔레비전 만화영화 및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타요나 번개맨처럼 어린이들의 엄청난 인기를 누렸을 것 같았다.

그리고 동화의 무대인 핀란드 난탈리에는 무민 테마파크가 세워져 있다고 하니, 조카들이 간다면 정말 좋아할 모습이 상상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서울이나 전국 각지에서 진짜 타요 버스가 돌아다니고 그걸 타는 어린이들이 즐거워하는 것처럼 말이다.

'무민'은 곰돌이나 하마를 닮기도 했는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예부터 전해 내려온 전설 속의 동물이라고 한다. 이것처럼 우리나라에서나 동양에서 예전부터 내려오는 동물들을 오늘날에 맞게 재탄생시켜 봐도 재미있을 것이다.


외딴 섬에서 단란하게 놀던 무민이 가족들은 배가 떠내려가 버려서 결국 뗏목 배를 만들어 바다에 나선다. 


바다에 나갔다가 큰 파도를 만나 위험에 처하지만 결국 그들은 무사히 외딴 섬으로 다시 되돌아 왔다.


그 덕분에 무민이 가족들은 떠내려가 버린 줄 알았던 배를 찾게 되었다. 그리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들은 배를 잃어버렸다가 배에서 조난을 당할 뻔도 하지만 결국 집으로 돌아가게 되어서 무척 기뻐한다. 그리고 다음을 향한 모험을 기대하기도 한다.

문득 세월호 사건에서도 이 동화책에서 나오는 것처럼 다들 어디선가 조난을 당하고 있는 것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 본다. 이렇게 간단하게 바다에서 살아나올 수 있는 동화 속의 얘기가 너무나 아프게 비참한 현실을 깨닫게 만든다. 현실은 현실이라고.

하지만 어린이들에게는 이런 현실을 가르쳐주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듯 하다. 아직은 현실을 모르고 이렇게 동화 속 세상에서 재밉고 즐겁게 지낼 권리가 있으니까. 아니, 어른의 잘못만 아니라면 당연히 누려야 할 의무일 것이다.

현실도 현실이지만 집으로 다시 돌아올 희망에 부풀어야 하는 어린이에게 이 동화책을 읽어주고 싶다. 그리고 다른 무민이 시리즈도 찾아서 읽어보고 싶어졌다.



* 알라딘 도토리 통신의 서평단으로서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 고양이 봄이 그림책은 내 친구 37
이호백 글, 정경진 그림 / 논장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어렸을 때 자주 하던 놀이가 있었다. 단어의 끝말을 잇는다던가, 단어와 연관되는 것들을 얘기하는 놀이를 했던 기억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길면 기차~~'라는 노래를 흥얼거리며 불렀던 추억들이 있을 것이다.

<우리 집 고양이 봄이>는 그런 추억을 떠올리게 만드는 동화책이었다.

'봄이'는 순해 보여도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숨기고 있다며 가까이에서 보면 호랑이 같다며 '봄이'와 관련되어 떠오르는 영상을 즐겁게 따라가고 있다. 호랑이처럼 큰 눈을 가지고 있는데, 이 큰 눈과 맞먹는 건 '부엉이'이고 봄이와 다르게 더 큰 것은 '날개'를 떠올리면서 그 다음에 날개와 연관되는 이미지를 상상하고 있는 것이다.

봄이에서부터 시작된 상상은 부엉이의 날개에서 밤하늘의 별, 별나라 슈퍼마켓, 슈퍼마켓에 없는 단 하나인 '생선'을 제일 좋아하는 것이 우리 집 고양이 봄이라며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었다.

 

 

우리 집 고양이 봄이는 수풀에 있으면 정말 무서운 호랑이처럼 보이기도 한다. 동화책을 보던 조카도 호랑이라며 '어흥'거리며 좋아했다.

 

 

우리 집 고양이 봄이보다 더 큰 눈망울을 가진 부엉이가 날개를 펼치고 밤하늘을 날아다니고 있다. 이걸 보면서 잠든 조카가가 꿈속에서 아름다운 밤하늘을 훨훨 달아다니며 즐거워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밤하늘의 별이 유성으로 떨어져 모인 곳이 별나라 슈퍼마켓이다. 별로 만든 먹을거리가 가득한 곳에서 조카와 먹고 싶은 간식을 잔뜩 얘기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어렸을 때 뛰어놀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던 때가 무척 그리워지는 시간이었다. 조금 더 어린아이들만의 세계에 있고 싶은 기분이 들었다.

 

 

* 알라딘 도토리 통신의 서평단으로서 해당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