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정신현상학 - 정신의 발전에 관한 성장 소설 청소년 철학창고 38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 풀빛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겔에 따르면 노동으로 인한 자기의식에 대한 확인은 바로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을 의미한다. 반성은 스스로 거울에 비추어 보듯 자기를 아는 행위이며, 자기가 무엇이라고 정립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3

노동은 타인을 이해하고 타인과 관계 맺는, 상호 인정의 토대를 마련한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4

노예의 자기의식의 운동성은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노동은 인정을 추구하던 자기의식을 주인과 노예의 관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5

진정한 인정은 각기 자유로운 존재가 되는 사회적 공동체가 규명되었을 때 참으로 실현된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8

사회적 관계의 기반을 마련한 노동이 인간 간의 자유로운 관계, 즉 인간 간의 상호 인정의 기반을 만든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8

모든 인간이 자유로울 때 평등할 수 있고 모든 인간이 평등할 때 자유로울 수 있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정신현상학 - 정신의 발전에 관한 성장 소설 청소년 철학창고 38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 풀빛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식은 경험을 통해 성장한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9

정신은 유아기, 사춘기,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를 거쳐 일종의 완성 상태인 정신에 이를 수 있다. 이 점에서 《정신현상학》은 의식의 성장사라 할 수도 있는데, 의식이 정신으로 성장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경험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9

정신은 유아기, 사춘기,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를 거쳐 일종의 완성 상태인 정신에 이를 수 있다. 이 점에서 《정신현상학》은 의식의 성장사라 할 수도 있는데, 의식이 정신으로 성장하기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경험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31

끝까지 자기 존립을 고수하는 자립적인 의식과 비자립적인 의식으로 각기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자립적 존재는 주인이며, 비자립적 존재는 노예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11

주인은 자립적 존재며, 노예는 주인에 복속하는 비자립적 존재다. 주인의 자립성은 인정 투쟁의 결과이기도 하다. 주인은 생명을 별것이 아닌 것으로 여겨 독립성과 자립성을 인정 투쟁을 통해서 성취했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두려움 없는 조직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 심리적 안정감은 어떻게 조직의 학습, 혁신, 성장을 일으키는가
에이미 에드먼슨 지음, 최윤영 옮김 / 다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m.blog.naver.com/syeong21/223770835138
조직에서는 새로운 변화에 대한 저항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애드먼슨이 말하는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 은 구성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나는 지금 팀장이 아닌데도 팀장 역할을 맡으며 ‘가시방석’ 같은 심리적 불안정을 겪고 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위계와 텃새 속에서 오는 압박감이 더 크다. 어떻게 하면 이 가시방석 같은 느낌을 줄이고, 심리적 안전감을 확보할 수 있을까? 애드먼슨이 말한 대로라면, 조직에서 신뢰와 개방적인 소통이 필요하겠지만, 현실에서는 쉽지 않다. 결국, 이것은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알랭 바디우의 영화 - 영화에 대한 철학적 사유란 무엇인가?
알랭 바디우 지음, 김길훈 외 옮김 / 한국문화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m.blog.naver.com/syeong21/223702252830

이 과정에서 문득 알랭 바디우의 말이 떠올랐다. 바디우는 『알랭 바디우의 영화』에서 “영화의 유일한 경쟁자는 소설일 수 있지만, 영화는 유연성, 유동성, 훨씬 생생하게 포착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방송 제작 현장에서의 이러한 유연성과 유동성은, 계획을 넘어 ‘순간‘의 최선을 모색하며 가장 적합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힘을 보여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정신현상학 - 정신의 발전에 관한 성장 소설 청소년 철학창고 38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 풀빛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현상학》은 한 방향으로만 읽히는 책이 아니다. 그에 접근하는 길은 다양하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해석되고 풀이되기도 한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8

절대 이성은 어떤 것과도 비교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절대와 이를 논리적 체계로 완성하는 힘이라는 이성의 통일이다. 이러한 절대 이성은 변증법에 의해 도달하는 최고의 지점이며 더 이상의 변화가 필요 없는 최고의 위치다. 이성이 지향하는 목적의 완수가 절대 이성인 것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19

지양은 변증법적 운동과 변화 과정에서 사물 스스로가 부정하면서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1

1764년에 《신기관》이라는 저서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다. 현상학은 인간이 세계를 감각하고 이를 인식하는 구조를 탐색하고, 인식 구조에 의해 나타난 사상(事象, 사물과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3

헤겔에 따르면, 정신은 총체적이고 전체적인 것이다. 이러한 정신의 능력이야말로, 역동적인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지식과 경험을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6

《정신현상학》은 인간이 위대한 정신을 갖게 되기까지 어떤 과정과 경험을 하는가를 다룬다. 헤겔에 따르면 철학의 과제는 어떻게 인간이 이 위대한 정신을 갖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이며, 《정신현상학》은 이러한 철학적 과제를 탐구하는 과정을 다룬 책이라 할 수 있다.

-알라딘 eBook <정신현상학>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원작, 김은주 풀어씀) 중에서 - P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