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머무는 것은 성장이다. 성장은 삶의 본질과삶의 주체성에 의해 그리고 그것 안에서 완성되는 삶의 운동이다. - P83

삶을 만남으로 던지는 것이 항상 감정의 힘 2이라는 것을, 그리고 삶이 던져지는 만남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항상 감정의 힘이며, 그것의 가능성과 정감을 취할 때까지 강화하고 성장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지각하지 못할 때, 삶 전체는 그발바닥에서 머리끝까지 변질되며 삶의 의미는 상실된다. - P85

물질 현상학이 근본적인 방식으로 문제 삼는 것은 ‘최초의내용‘이 된 물질, 형상과 상호작용하는 물질, 지향적 인식 작용이된 물질의 개념이다. - P87

질료 현상학과의 대립에서 이해되는 물질 현상학의 ‘물질‘은 더는 현상성과 다른 것이 아니라 그것의 본질을 지시한다. 물질 현상학은 그것이 순수한 증여 안에서 자신의 자기-증여를 주제화하고그것을 설명하는 한에서, 근본적인 의미에서의 현상학이다. - P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 - 세계적 작곡가의 음악 사용 설명서 음악의 글 3
에런 코플런드 지음, 이석호 옮김 / 포노(PHONO)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멜로디는 음악이라는 창공을 이루는 요소 가운데 리듬 다음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합니다. 어떤 평론가의 말마따나, 리듬이 우리 몸동작과 관련된 상상력의 산물이라면 선율은 감정 및 정서 상태와 연관됩니다. 리듬과 선율이라는 두 가지 가장 기초적인 요소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신비합니다. 훌륭한 멜로디가 우리를 감동시키는 힘을 가진 이유는 지금까지 그 어떤 분석과 연구도 속 시원히 설명해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니, 이유는 고사하고, 심지어는 ‘홀륭한 멜로디란 이런 것이다‘ 하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형편도 되지못합니다. - P96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선율이 가진 표현적 특징이 듣는 이의 감정을 움직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선율에 있어 가장 예측하기 힘든 자질, 그 어떤 지침으로도 가르칠수 없는 자질이 바로 이것입니다. 단순히 골격만을 놓고 볼 때, 모든 훌륭한 선율은 ‘없어도 좋은‘ 음표를 덜어낸 뒤에 남는 핵심적 음표라는 골조를 가집니다. - P99

드뷔시는 가닥을 잡기 힘든 파편적인 선율적 재료를 바탕으로 음악을 지어 올렸습니다. 스트라빈스키의 멜로디는 그 자체만 놓고 보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떨어져 보입니다. 초기작의 선율은 러시아 민요 스타일이 지배적이고, 후기작의 멜로디는 고전시대와 낭만시대의 모델을 따른 경향이 짙습니다. - P105

게다가 선율을 써내는 재능 역시 작곡가별로 천차만별입니다. 멜로디가 훌륭한가의 여부가 작품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도 곤란합니다. 흡사 선율이 끊임없이 샘솟는 화수분이라도 가진 듯 보였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Sergei Prokofiev (1891-1953)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스트라빈스키보다 더 심원한 음악을 쓰는 작곡가라고 말할 수 있는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경험은 본래적으로 그리고 그 자체로 자기에의 고유한 도래이며, 드러난 모든 것이 자신의 본성, 자신의 법칙들, 그리고 결국 그것들의 존재 이유를 빚지고 있는 어떤 최초의 나타남이다. - P52

시간의 현상학은 계시의 힘을 전적으로 탈자적 증여에 맡기기위해, 인상에서 그 힘을 제거하는 인상의 현상학이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 - 세계적 작곡가의 음악 사용 설명서 음악의 글 3
에런 코플런드 지음, 이석호 옮김 / 포노(PHONO)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점은 작곡가에 따라 구사하는 음향의 요소가 다르다는 것, 그리고 음향을 사용하는 방식이 여러 작곡가의 서로 다른 스타일에 있어서 중대한부분을 차지하므로 감상하는 입장에서도 그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것입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음악 감상의 가장 일차원적인 층위에 대해서도 더욱 의식적인 접근을 하는 편이 도움이 되는 일임을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 P55

저는 일반적인 개념 정도에서 선을 그어야 한다고 봅니다. 음악은 변화무쌍한 것이어서 평온함과 활기참을 나타낼 수도 있고, 후회와 승리감을 노래할 수도 있으며, 분노와 기쁨의 표정을 지을 수도 있습니다. 음악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다양한 미묘한 차이를 통해 이 외에도 수많은표현의 대상을 거느립니다. 심지어는 세상 그 어느 언어로도 안성맞춤의단어를 찾을 수 없는 그러한 뜻마저 품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음악입니다. - P57

반면 베토벤은 그가 음악을통해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꼬집어 말하기가 쉽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음악가들이 열이면 열 베토벤이 차이콥스키보다 더 위대한 작곡가라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언제 들어도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만 같은 음악은 머지않아 지루한 음악이 되고 맙니다. 그렇지만 들을 때마다 의미가 조금씩 바뀌는 것 같은 음악은 그만큼 긴 생명력을 유지할수 있겠지요. - P58

자기가 쓰고 있는 음악에 황홀해하면서도 동시에 냉정하게 평가하는자세를 잃어선 안 되니까요. 주관적 태도와 객관적 태도는 음악을 만드는 입장에서도, 음악을 듣는 입장에서도 반드시 고루 겸비해야 할 자세입니다. - P63

인식의 폭을 넓히기 위해 깨어 있는자세를 가질 때만이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가 가능하니까요. 그저 듣는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들어 내려 노력해야 합니다. - P64

다만, 어쨌든 결국 작곡 방식을 결정하는 건 작곡가의 몫입니다. 어떤 방식을 택했느냐가 중요한 건 아닙니다. 중요한 건 결과물이니까요. - P67

주제는 잇따르는 음표의 집합체라는 사실을 언제나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셈여림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그러니까 당당한 듯 세차게 연주하거나 주눅 든 듯 여리게 연주하는 것만으로도 같은 주제의 정서적 느낌이 바뀌곤 합니다. 곁들이는 화음을 바꿔서 주제에 새로운 느낌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리듬 처리를 달리하면 자장가였던 것을 출정의춤곡으로 탈바꿈시킬 수도 있습니다. 모든 작곡가가 주제의 변형 가능성을 유념하고 곡을 씁니다. 우선은 주제의 본질적인 특성을 간취하려 하고, 그러고는 주제에 어떤 수작을 부릴 수 있을지, 그럼으로써 어떻게 주제의 본질적인 특성을 잠깐이나마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 P70

작곡가가 낙점한 구조와 형식이 어떤 것이건 간에 한 가지 절대로잊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제가 작곡을 배우던 젊은 시절만 하더라도 ‘거대한 라인la grande ligne‘이라는 명칭으로 통했던 바로 그것이 형식 전체를 관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 ‘거대한 라인‘이 정확히어떤 의미인지 일반인이 납득하도록 설명하는 건 무척 까다로운 일입니다. 음악 작품이라는 맥락 속에서 거대한 라인은 우선 느낌으로 다가와야 제대로 이해가 가능합니다. 굳이 말로 하라면 부족하나마 이렇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잘 쓰인 곡은 음악의 흐름-최초의 음표에서부터 시작해 최종 음표까지 이어지는-이 뚜렷하게 느껴진다고 말이지요. - P77

제 이해가 틀리지 않는다면, 예술 음악에 있어 거의 모든 리듬적 윤곽은 박자와 리듬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질 현상학 뉴아카이브 총서 6
미셸 앙리 지음, 박영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질 현상학은 질료적 혹은 인상적 ‘구성요소‘로서 아래-놓여있는 것, 즉 모든 초월성에 대한 근본적인 환원으로부터 유래하는주체성의 본질의 해방을 의미한다. - P29

제화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철학적 의미에서 현상학의 대상은 현상이라는 말의 일상적인 의미에서 구성되지 않는다. 현상학의 대상은 현상으로, 더 자세히 말하면 이 순수한 현상성이 스스로를현상화하는 본래적인 양태이다. 현상학의 대상은 "어떻게 안에서의대생‘objet dans le comment " 그것의 증여의 ‘어떻게‘ 안에서 대상, 즉 ‘어떻게‘ 그 자체이다. - P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