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 우치다 타츠루⭐
철학자. 무도인. 작가
📚 주요 저서: <하류 지향>, <교사를 춤추게 하라>, <스승은 있다>,<푸코, 바르트, 라캉 쉽게 읽기>, <어른 없는 사회>..
* 심리학자, 철학자들의 이론을 제시하며 커뮤니케이션의 의미를 풀어낸다.
■ 단상
이 책의 저자는 40여 년 동안 합기도 수련. 레비나스 철학 연구. 100권의 책 저술. 신체와 윤리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해오고 있다. 2개월 전에 <하류 지향>이란 책을 읽고 인상에 남아있다. 일본 청년들이 공부와 노동으로부터 도피하는가?라는 주제로 쓴 책이다. <소통하는 신체>는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필자의 사상이 빼곡히 적혀있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는 1장과 2장 즉, 독서와 관련된 부분이 마음에 와닿았다. 신체로 책 읽기라는 어구는 생소하면서도 몸의 철학자 퐁티를 생각나게 하였다. 머리로만 쓴 책은 감흥이 없다는 대목에서는 공감하는 바가 컸다. 3-5장은 다소 철학, 심리, 종교에 관한 부분으로 심적 거리가 멀었다. 신체의 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겠다.
신체로 책 읽기 - 텍스트의 신체에 나의 신체가 반응하고 있는 것이지요. 읽는다고 하는 행위는 진실로 거기서 시작합니다. 호흡, 리듬, 촉각 같은 텍스트의 신체성을 경유하여 이윽고 의미성에 다다르는 것입니다. 훌륭한 텍스트는 그런 것을 경험하게 해 줍니다. 거꾸로 말하면, 범상한 텍스트는 신체성이 없는 텍스트라는 말이 됩니다. 메시지가 선명하고 멋진 말들이 정연하게 쓰여 있는데도 읽고 나서 마음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은 '신체'가 없는 것입니다. 글을 쓴 사람이 자신의 몸으로 쓴 것이 아니라 머리로만 쓴 것입니다. 그래서 읽는 사람도 머리로 읽게 될 뿐입니다.(p.94)
지적 직관-소설을 읽을 때, 등장인물의 외모나 심리 묘사가 아주 세밀한데도 그 인물상이 전혀 그려지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반대로 묘사다운 묘사가 없는데도 단 하나의 동작, 하나의 형용사로 인해 그 인물의 체감과 호흡, 감정의 기복까지 생생하게 떠올라 거기에 동조하면서 마치 그 사람의 인생을 내가 사는 것 같은 현실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베르그송은 이런 경험을 '지적 직관'이라고 불렀습니다.(p.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