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을 빚어낸 여섯 도읍지 이야기
이유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8년 4월
평점 :
중국은 역사가 제법 길기도 하지만, 우리완 다르게 상당히 많은 수와 왕조들이 자주 명멸해갔다. 한국에선 통일왕조가, 혹은 분열상황에서도 서로 간의 균형이 500년 정도는 가는 반면 중국은 그 기간이 이삼백년 정도로 한국의 절반 수준이다. 여기엔 아무래도 이렇다할 지리적 방어선이 없는 기름진 중원을 침탈해오는 유목세력들의 꾸준함이 한몫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장성도 만들었을 것이다. 별 쓸모는 없었지만.
이 책은 그렇게 많은 왕조가 명멸한 중국의 여섯 도시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도 여러 왕조가 도읍으로 삼은 도시가 있듯, 중국도 역시 그러하다. 여섯개의 도시는 장안, 뤄양, 카이펑, 항저우, 난징, 베이징이다.
1. 장안
장안은 한자 뜻 그대로 길게 오래도록 평안한 곳이라는 의미이다. 왕조가 오래도록 평화롭게 지속되는 염원이 담겼다 할 수 있다. 장안은 중국인들이 중원이라고 일컫는 황하 중상류 지역에 위치하며 이곳은 강으로 둘러쌓여 교통의 요지이면서 방어가 유리하고 여러곳으로 접근하기 쉬운 천혜의 장소이다. 그래서인지 중국 초기 국가들과 문명은 여기서 발생했으며 그래서인지 역대왕조가 가장 많이 도읍한 곳이기도 하다.
중국의 고대국가인 하, 상, 주, 전국시대의 진, 한, 수, 당이 모두 이곳을 도읍으로 삼았다. 장안성의 전성기는 아무래도 국제적 성격이 강했던 전성기 당의 수도로서의 장안이다. 워낙 대단해 발해와 일본의 왕조가 장안을 본따 그들의 수도를 건설했다. 전성기 장안의 인구는 무려 백만에 달했으며 크기는 동서로 9.7km 남북으로는 8.5km의 장방형으로 당시 서양 최고의 도시인 콘스탄티노플의 무려 7배에 달하는 크기였다.
장안에는 방이라는 폐쇄공간이 있었는데 이것들이 108개가 장안성안에 자리하고 있었다. 도시의 가운데는 황제가 다니는 주작대로가 있었으며 주작대로를 기점으로 동시와 서시로 나뉘었다. 도성의 동서남북에는 각각 3개의 문이 있었는데 천지인을 뜻했다. 도성내부에는 방 사이로 9개의 길이 있었는데 고래로 중국은 우리가 전토를 팔도로 나누는 것처럼 땅을 구주로 나누는 전통이 있었으며 이는 그를 의미한다. 거기에 방은 13줄로 배열되었는데 이는 12달과 윤달을 의미하며, 황성 남쪽에 있던 4개의 방은 4계절을 의미한다. 이처럼 장안은 중국 전체와 우리가 사는 세계 전체는 표현하려는듯 철학적으로 완벽한 도시였다.
하지만 문제도 많았다. 일단 도시가 너무 폐쇄적이었다. 장안은 상당한 크기였지만 웅장한 성벽에 둘러쌓여 도시와 확장에 문제가 많았다. 또한 장안 내부의 방들도 폐쇄적이었다. 성도 아니면서 각 방들은 높은 담장에 둘러쌓여있었다. 밤이면 각 방은 문을 닫고 도시경비대가 순찰을 돌았다. 주작대로를 중심으로 동시엔 고관대작과 귀족이 거주하는 반면 서시는 외국상인들와 평민들이 살았다. 공간적으로 분리된 셈이다. 이로 인해 당의 장안에는 대부분의 백성이 세들어 살았으며 당의 국운이 기울었을 댄 가난함이 이루말하기 힘들정도였다고 한다.
2. 뤄양
우리가 낙양으로 알고 있는 도시다. 한자로 양은 강의 북쪽을 의미하므로 뤄양은 낙하의 북쪽에 있는 도시라는 뜻이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한양도 한강의 북쪽이란 뜻이다. 뤄양은 동주, 후한, 조위, 서진, 북위, 수, 당, 후량, 후당의 아홉왕조가 도읍한 곳으로 장안 만큼은 아니지만 만만치 않은 위용을 자랑한다.
뤄양은 장안에 비해 뚜렷한 장점이 있었는데 장안이 기후가 건조해 농사가 잘 되지 않아 식량수급에 문제가 많았던 반면 뤄양은 식량 공급이 매우 원활했다는 점이다. 이는 기후탓도 있지만 좀더 하류에 위치하고 낙하의 존재로 조운에 매우 유리했기 때문이다. 특히, 수나라때 대운하가 건설된 이후로는 뤄양은 조운의 중심지로 사용되어 매우 많은 곡식창고가 건설되었다.
3. 카이펑
카이펑은 후량, 후진, 후한, 후주, 송이 도읍한 도시다. 카이펑은 장안이나 뤄양에 비해선 좀 덜알려진 편인데 아무래도 중국 왕조중 군사적인 면에서 가장 맥을 못춘 송왕조의 도읍이어서가 아닌가 싶다. 카이펑은 주변 지세가 낮고, 주변에 이렇다할 산 하나 없어 방어에 매우 취약했다. 하지만 이를 만회할 만한 장점이 있었는데 바로 드넓은 평지와 더불어 주변 수로가 도시에 촘촘히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중국의 왕조들은 카이펑 인근에 인공운하인 변하를 건설하고 황하와 회하를 연결하는 수상교통의 요지를 건설했다.
카이펑은 주변하천이 많고 지세가 낮아 교통엔 유리했지만 이로 인해 수공을 자주당했다. 카이펑은 점령한 적들은 대부분 변하를 막아 물을 모아 터뜨리는 형태로 카이펑을 침수시켜 점령하는 방법을 자주 택했다. 역설적으로 이는 방어에도 사용된 적이 있는데 중일전쟁시절 일본군의 진군을 막기위해 변하주변의 제방을 국민들군이 터뜨린적이 있다고 한다.
카이펑은 수도로 삼은 송을 세운것은 조광윤이다. 그는 조선의 이성계가 고려의 장수였던 것처럼 후주의 신하였다. 후주의 7살황제 공제가 다스리던 시절 갑자기 북방의 요가 후주를 침입한단 소문이 들렸고 이에 절도사 조광윤은 대군을 이끌고 출정한다. 원정중 천막에서 잠든 조광윤이 일어나자 자신의 몸엔 어느새 황포가 덮여있었고, 주변 사람들은 만세를 외치고 있었다. 이에 조광윤은 천명을 깨닫고 회군하여 왕위를 찬탈한다. 우리의 위화도 회군과 참 많이 비슷하다.
조광윤은 북벌을 하기 보다는 보다 쉬운 남쪽의 왕조들을 먼저 정벌하였으며 사대부를 중시하였다. 조선과 많이 비슷한 점인데 조선의 성리학의 토대인 주자학인 송대에 발전하였기 때문인듯 하다. 그래서인지 송의 황궁은 중국의 매우 화려한 다른 궁에 비해 매우 적은 규모였다. 또한 송은 백성을 위한 복지제도가 발전하고, 상업이 발전하는등 현대적 관점에서 상당히 선진적인 국가를 건설했다. 당의 장안과는 다르게 폐쇄적인 방도 없었으며 야간 통금도 없었다. 하지만 북벌을 결국 해내지 못한 점과 문치주의로 군사력이 약해 결국 금에 의해 남으로 쫓겨나 남송이 되며 원의 쿠빌라이에 멸망당하고 만다.
나라의 근본인 같은 성리학이어서인지 백성을 위하는 민본정치를 이념으로 삼고, 집권층이 사대부로 검약하고 군사력도 약해 외침에 크게 당했다는 점에서 송과 조선은 상당히 비슷했다.
4. 항저우와 난징
항저우는 금에 카이펑을 잃은 송이 도읍한 곳이다. 유명한 중국음식인 동파육이 기원한 곳이고 상당히 유명한 자연환경과 문화가 가득했다. 책을 읽다보니 중국의 지배자들은 강남의 높은 문화수준와 생산력, 자연환경을 동경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러면서도 정작 이곳은 도읍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북방왕조의 침입에 의해 마지 못해 도망간 경우거나 왕조자체가 이곳에서 창업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아무래도 문화의 중심과 한족의 정통성이 중원에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하였다.
난징은 베이징과 더불어 '경'을 유지하는 곳이다. 북경과 남경인 것이다. 오와 동진, 송, 제, 양, 진의 육조가 도읍하였다. 특히, 난징은 명의 초기 수도였는데 명을 세운 주원장이 수도로 삼았다. 주원장의 본명은 주중팔이었는데 주살안다는 의미의 주와 원나라의 원을 써서 원을 멸하는 인물이라는 뜻을 가진 주원장으로 개명하였고 이를 이루어낸다.
주원장은 난징에 도성을 쌓고 13개의 문을 만들었는데 남쪽은 남두육성을 본따 북쪽은 북두칠성을 따라 만들었다. 남두육성은 삶은 관장하고 북두칠성은 죽음을 관장한다는 의미에서 인간의 삶전체를 관장한다는 뜻으로 도시를 만든듯 하다.
난징은 매우 좋은 도시였지만 중국전체를 다스리기엔 무리가 있는 도시였다. 이에 주원장은 다른 지역으로 천도하고자 했지만 죽어 뜻을 이루지 못한다. 명은 지금의 북경으로 천도하는데 이는 주원장의 아들 주체가 왕위를 찬탈하였고, 연왕이었던 주체가 자신의 근거지로 수도를 옮겼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주체는 조선의 이방원과 상당히 유사하다. 서열도 각각 넷째와 다섯째이며, 엄청난 견제를 받았으며 동생으로부터 나라를 빼았았다는 점도 같다. 이런 주체를 견제하기 위해 주원장은 공신세력을 엄청나게 숙청하였는데 이로 인해 정작 황태손을 지킬 세력이 없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5. 베이징
지금의 중국 수도인 베이징은 명, 원, 청등 가장 최근이면서도 굴직한 왕조들이 도읍한 곳이다. 그리고 명을 제외한다면 주로 유목 정복왕조가 도읍한 곳이기도 하다. 여기엔 이유가 있는데 베이징은 바로 남쪽의 농경과 북쪽의 유목의 점이지대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을 따라 중국의 만리장성은 15인치 등우선과 거의 일치한다. 15인지는 연간 강수량 381mm로 농경의 한계지대이다.
따라서 베이징은 유목민족이 자신의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농경민족인 한족은 지배관리하는 최적이자 한계지역이 된다. 베이징은 대부분의 도읍이 장방형인것과는 다르게 요철모양을 하고 있다. 이는 베이징이 발전하면서 남부지역의 인구가 늘자 외성을 더 크게 축조하게 되었는데 남쪽부터 시작하여 그 쪽은 크게 짓고 도중에 비용이 모자로 역지로 연결하다보니 남쪽만 커졌기 때문이다.
만리장성은 중국인에게는 하나의 큰 상징이자 자부심이며 한계이다. 그만큼 역설적인 곳인데 진시황이 처음 축조한 이유가 통일된 중국을 하나라 묶고 정립한 세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며 더불어 북방으로부터의 방어를 위해서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장성은 그후로 계속 중국의 확장과 고립 및 공포와 폐쇄성의 양면을 갖는다. 장성은 수세시엔 방어와 폐쇄의 역할을 공세시엔 확장의 그 지역의 식민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공세인 요즘은 장성을 함부로 한반도 북쪽까지 연장하려는 속셈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 책에 기대한 건 중국의 여섯도읍지와 수도로서의 지리적 이점등을 알고 싶어서였지만 사실 이 부분은 책의 일부이고 대부분이 역사적 문화적, 관련 인물 내용들이다. 중국의 역사를 좀더 알게 된 면도 있지만 아쉽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