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의 위안 - 불안한 존재들을 위하여
알랭 드 보통 지음, 정명진 옮김 / 청미래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책은 불안과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그리고 단독 저술은 아니지만 사피엔스의 미래에서 접해보았다. 우리 인간은 당연히 뭔가 부족한 존재이기에 보통씨는 이 책에서 인기가 없고, 가난하고, 좌절했으며, 부적절하기까지 하고, 상심했고, 어려움에 처한 인간들의 고민에 과거 철학자들의 힘을 빌려 철학적 위로를 전하고 있다. 이게 이 책의 집필이유인듯하다. 책을 읽으면서 각 철학자들에 대한 보통씨의 해석과 나름 사안에 대한 철학적 위안을 느끼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위의 감정들은 살면서 누구나 여러번은 느낄만한 것들이다.
인기없는 자들에서는 소크라테스를 다룬다. 소크라테스야 말로 인기가 없어서 죽지 않았는가? 소크라테스는 3명의 사람이 고발하여 배심원재판끝에 그야말로 인기투표에서 져서 죽었다. 훗날의 인간들이 보기에 소크라테스는 옳았지만 사람들은 그의 곁에 있지 않았다. 당시 아테네는 이웃경쟁국가의와 전쟁에서 패하며 쇠락의 길로 진입하고 있었고, 이에 대한 희생양이 소크라테스였다는게 보통씨의 설명이다. 살면서 진리와 소신을 가진 많은 이들이 어리석은 대중과 다른 사람에 의해 실패하게 죽음을 맞이하며 살아간다. 수많은 예술가들과 혁명가들 정치인들이 그렇다. 우리 개인들 역시 일상생활과 회사 및 조직내에서 그러할 것이다. 그럼에도 당신의 소신과 진리가 중요하다는게 소크라테스와 보통씨의 위로다.
다음은 가난이다. 자본주의 사회인 현대와 가장 관련이 깊다고 볼수 있는데 여기선 에피쿠로스가 등장한다. 에피쿠로스는 행복은 물질에 있지 않으며 행복을 위한 반드시 필요한 것들로 기본적인 의식주, 우정, 사색, 자유를 말한다. 실제로 현대사회의 많은 연구들은 기초적인 물질조건이 해결되면 그 이후의 행복은 그것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매슬로우의 욕구이론도 그러하며 얼마전 읽은 행복의 기원역시 행복의 근원을 인간관계에서 찾았다. 하지만 이 모든 것에도 에피쿠로스가 물질적 쾌락의 추구를 완전 부인한건 아니다. 그 한계를 알고 적절히 느낄 능력이 된다면 그래도 상관없다.
좌절에서는 로마의 세네카를 소환한다. 세네카는 네로 황제의 가정교사 출신으로 결국 네로에 의해 모함받아 죽음을 당한다. 이 때보여준 세네카의 좌절과 운명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배울만한 점이라고 보통씨는 생각한듯 하다. 살다보면 실제로 어쩔수 없는 일이 많다. 당장 아마게돈 영화처럼 소혹성이 떨어져도 지구를 탈출할수 없으며 아무리 발버둥쳐도 수명은 120을 못넘는다. 지금 당장은. 거기에 폴워커처럼 근육질의 완벽 건강체도 암덩어리에 의한 갑작스런 요절을 피하진 못했다. 이런 인간의 상황을 세네카는 인간이 어디로 나아갈지 모르는 짐마차게 약간의 여유가 있는 사슬에 묶인 개와 비슷하다고 한다. 숙명의 방향은 어디로 갈지 모르는 짐마차가 정하며 우리 인간은 그 안에서 자신의 의지와 능력으로 약간의 변화를 줄수 있을 뿐이다. 마땅히 내가 할수 있는 불의엔 저항하고 나아가야 겠지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좌절은 숙명으로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부적절한 존재들을 위로하는 사람은 몽테뉴다. 그는 대부분의 부적절이 상당수의 사람들이 숙고조차 하지 않고 받아들이고 내면화한 관습에 의지함을 지적한다.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음식과 의복문화, 예절과 법등 많은 것들이 그렇하다. 그리고 사소한 유럽의 그런 것을 잣대로 아메리카 토착민들을 잔혹하게 도륙한 스페인 침략자들을 강도높게 비난한다. 이런 부적절함에서 벗어나고 또한 부적절함의 잘못을 잘 판단하기 위해 몽테뉴는 꾸준히 공부해야 함을 말한다.
상심에 대한 위로철학자는 쇼펜하우어다. 쇼펜하우어는 사람을 움직이는 근본적인 생의 의지로 생존에 대한 욕구와 자손 번식에 대한 욕구를 제시한다. 이는 철저한 무의식의 자리한 것으로 의식은 이것을 자각하지도 못하며 자신이 이걸 위해 움직이고 노력하고 괴로워함을 알지 못한다. 때문에 이런 생의 의지를 위한 자신의 상심은 부질없는 것이 된다. 이것은 합리적인 것도 아니고 결국 이룰수 있는 것도 아니며 설사 이룬다 해도 금방사라지는 그런 성격의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어려움에 처한자들의 상담자는 니체다. 초기의 니체는 쇼펜하우어에 크가 감화되 삶을 무의미한 것으로 보는 성향이 짙었다. 하지만 서서히 변화하여 오랜 고통을 동반한 노력끝에 산의 정상위에 올라 초인이 되는 철학을 제시했다. 그의 초인은 전체주의에 의해 이용되기도 했지만 그건 그의 탓이 아니었다. 이런 초인이 되기 위한 과정에서 니체는 적절한 위안이나 노력을 방해하는 종교나 술등의 배척한다. 니체에게 진정한 어려움의 극복은 적절하면서도 매우 어려운 고통을 이겨내고 무언가를 이루어 내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인간의 고충에 대해 철학자들의 이론을 제시하고 나름의 해결책을 붙인 것 책의 좋은 시도 같다. 개인적 어려움과 철학을 모두 즐길수 있지만 사실 이도저도 아닌 느낌도 적잖다. 오히려 이런 류의 책이라면 강신주의 책이 더 나은 것 같다. 또한 철학자 의견을 주로 제시하다 보니 보통씨의 생각이 별로 없는 부분이 책의 아쉬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