蛺蝶 협접
 
                                                              罗邺  나업


                  草色花光小院明 (초색화광소원명)
                  이름 모를 화초들이 가득한 따사로운 작은 정원


                   短墻飛過勢便經 (단장비과세편경)
                   나비 한마리 담장을 사뿐히 넘네


                   粉蝶高高別有情 (분접고고별유정)
                   분홍 나비 사뿐사뿐 다정도하다


                   俗說義妻衣化狀 (속설의처의화상)
                   속설로는 절개지킨 여인의 옷이 변하였다 하고


                   書稱傲吏夢彰名 (서칭오리몽창명)
                   책에서는 지체 높은 관리가 표창하였다 하네


                   四時羨爾尋芳去 (사시이이심방거)
                   오래도록 그 여인을 사모하여 찾아다녔는데


                   長傍佳人襟袖行 (장방가인금수행)
                    그 여인이 저 멀리 소매 날리며 날아가네


※ 이 시는 당나라의 시인 나업의 작품인데 희안하게도 중국의 시집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고, 우리나라의 시선집에서만 전해온다고 한다.





간혹 남녀간의 러브스토리에  나비가 등장한다. 
男이 나비가 되기도 하고 女가 나비가 되기도 한다. 

국내 가요 중 하나에서는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나비되어', 뭐 이런 가사가 있다. 여기서 나비는 男이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게이샤와 미국인 장교간의 사랑을 주제로한 '나비부인' 이라는 제목의 예술이 탄생했다. 곡을 쓴 냥반은 푸치니라는 서양인이지만 말이다.
서양에서 나비는 '불멸' 혹은 '영혼' 을 상징하고, 동양에서는 '부귀, 장수'등을 의미한다고 한다.
푸치니가 여주인공에게 '나비' 라는 이름을 준것은 아마도 서양의 예술이 가지는 나비의 상징성에 있지 싶다.


어째거나 한국이나 일본의 러브스토리를 얘기 하려던 것이 아니라 듕국의 그것을 이야기하려다가 이지경이 되었다.

듕국에는 서양의 '로미오와 줄리엣' 못지 않은, 
어쩌면 훨씬 더 숙성된 러브스토리가 전해온다. 
다른 표현이 영 떠오르질 않아 이렇게 쓰고 만다. 

 
ㅡ 사건 당시 나이
줄리엣 13세, 로미오도 10대
영대씨 19세, 산백씨는 모름
(서로 만난 것은 영대씨가 16세 되던 해)

ㅡ 연애기간 
로미오, 줄리엣, 4박 5일
산백씨, 영대씨,  만 3년

ㅡ 만남의 계기
로미오 줄리엣, 놀러가서
산백씨 영대씨, 공부하러가서

(그러고 보니 성춘향의 나이도 16세 였다. 여기는 몽룡씨와 부부의 연도 맺는다.
전설의 리브스토리는 그러고 보니 요즘으로 치면 죄다 중학생, 고등학생인 셈이다. 
아 글쎄 영주와 현이도 서로 사랑하여 아이를 가졌는데 고등학생들이 아니던가?) 


그 주인공들은 양산백과 축영대, 라는 인물들이다.

서극감독이던가? 아마도 그런것 같은데, 
서극은 이 두 사람이 주인공인 '양축' 이라는 영화도 만들었던 것이다. 
아, 이 영화는 보지 않는 것이 차라리 낫다. 

또 어째거나 양산백과 축영대는 일단 서로를 알게된 기간이 3년 인데다가, 
연모의 마음을 제대로 전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가진 스토리다.

스토리가 그러하듯
양산백은 집안이 변변치 못한 탓인지 영대씨에게 청혼을 못했고, 
영대씨가 다른 집으로 시집가게 된 사실을 알고는 시름시름 앓다가 그만 죽고만다.


동양과 서양의 감정 표현기법이 이렇듯 다르다. 
서양의 사랑은 적극적이며 
그야말로 죽음도 두려 워하지 않고, 또 불꽃처럼 타오른다.
반면 동양은 은근한 장작불을 지피듯 하다가는, 
그만 병이들어 죽고마는 식이다.


혼례를 치르러 가던 날, 스토리가 또 그러하듯 영대씨는 하필이면 산백씨의 무덤을 지나게 된다. 황진이도 자신때문에 상사병에 걸려 죽은 사내의 무덤을 지나다가 결심한 바가 있다고 전한다. 


영대씨도 결심하기를 산백씨의 무덤에 뛰어들기로 한것이다. 왜냐면 비바람이 몰아치면서 산백씨의 무덤이 갈라졌기 때문이다. 이에 영원히 함께하자던 둘의 약속을 지키기라도 하듯 죽은 산백씨에게 다가갔고 둘이는 곧 나비가 되어 세상밖으로 날아가버렸다.


지고한 사랑에 감동을 받았는지 당나라 시인 나업은 이들의 사랑에 관한 시를 남겼던 것이었다. 부디, 다시 태어나거든 부부로 태어나시오....

어쩌면 몇번을 다시 태어나 부부로 만났을 것이다. 
고유의 성별은 장담 못하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한민국이 가파르게 무너져가고 있다고 한다. 
급격한 인구절벽, 그 기세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신속하다. 
역시나 대한민국은 뭐든지 빠르다.


결혼도 안하려고 하고(아니 못하고 있는 것일수도 있다),  혹 혼인을 해도 자녀를 두지 않으려한다. 나의 후손이 나와 같은 삶을 살아가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한다. 일이 이렇다보니 인구의 급격한 절벽현상이 온것이다.


인구절벽의 원인은 다양하겠으나 전문가들은 크게 다음과 같은 몇가지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소득의 불균형
넘사벽 부동산 가격
너무나 부담스러운 자녀 교육비등 
이 세 가지가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라는 것이다.
 

기성세대는 오로지 '부를 축적하고 권력을 쥔다'는 단 하나의 목표를 위해 살아왔다. 그 결과 남에게는 덜주고 나는 더 갖으며,  부동산 투기등으로 자신의 부를 축적해온 것이다.

자본주의라는 개념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집단은 돈이 있는 자와 없는 자, 권력이  있는 자와 없는 자로 양분되었다. 갑오개혁이 이루어 질 때까지 지속해왔던 조선의 양천제(良賤制)는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대표적인 우리 역사이다. 

良人만이 벼슬길에 올랐고, 나머지(賤)가 권력과 돈을 쥘 수있는 기회를 원천봉쇄, 박탈해왔던 것이다. 심지어 자신들의 자녀조차도 엄마가 良人이 아니면 서자 혹은 얼자로 분류하여 자신들의 입지를 더욱 탄탄하게 구축했다. 정말 최악이다.


그리고 이 두가지, 돈과 권력을 가진 자들은 가지지 못한 자들 위에서 군림하고 그들의 것을 빼앗고 부리며 그들을 지배했다.

그들에게 차별은 자신들의 지위와 권력 그리고 부를 획득하는 하나의 필수적 장치였던 것이다.


사람들은 심지어 죽어서도 서로를 차별했다. 
아니, 자신들을 드높였다.
죽으면 다 같은 줄 알겠지만 알고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천자ㅡ崩 붕
제후ㅡ薨 훙
대부ㅡ卒 졸
선비ㅡ不錄 불록
기타인 즉 庶人ㅡ死 사

이를 死之五等(사지오등) 이라고 한다.


卒(졸)이라는 말을 흔히 쓰던 시절이 있었다.
사실은 대부분의 죽음은 기타에 해당하는 것이었고, 그 죽음은 死였던 것이었다.


동양인들이, 특히 동아시아인들이 죽음 마저도 등급을 이토록 세련되게 매겨놓은 줄을 웬만한 서양인들은 아마도 까맣게 모르고 있을 것이다.
(동양좀 보고 배워라 서양아!!)

외계인들이 이 사실을 알게된다면,
피식~ 하고 웃을지도 모른다.


말만 없어졌지 현대 대한민국에는 양천제가 존재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현대의 良人이 아닌, 賤에 속하는 대다수는 자신의 보금자리를 마련하여 혼인을 하고 자녀를 낳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했다.

뼈 빠지게 노동을 하고 시급을 받으며 일하는 다수의 젊은 노동자들은 그렇게 자신의 목숨을 유지하는 정도의 삶을 살며 겨우 숨만 쉬고있다.

한달 노동의 댓가로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제하고나면 저축도 하기 힘든 노동자들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성세대가 국가를 망쳐놓은 것인가, 인간의 탐욕이 인구절벽을 불러오는 것인가. 

최근 프랑스와 영국의 출산율이 늘어 약 2.0에 가깝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기성세대들이 꼭 알아야두어야할 사실이다.

갑자기 독일의 정치인들이 일구어놓은 '사회적 시장경제' 라는 말이 떠오른다.
독일이 해온 일을 대한민국은 해낼수 없단말인가?

추신ㅡ 책을 읽는 者들이라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제 

                                                  李商隱   이상은

                  八歲偸照鏡  (팔세투조경)
                  여덟살 때 남몰래 거울을 들여다 보았어요


                  長眉已能畵 (장미이능화)
                  눈썹을 길게 그렸어요


                  十歲去踏靑 (십세거답청)
                  열살 때 꽃놀이 갔어요


                   芙蓉作裙衩 (부용작군차)
                   치마에 연꽃을 수놓아 입었어요


                   十二學彈箏 (십이학탄쟁)
                   열 두살때 쟁 타는 법을 배웠어요


                   銀甲不曾卸  (은갑부증사)
                   손에서 은갑을 놓지 않았어요


                  十四藏六親 (십사장육친)
                  열 네살 때 부모님 뒤에 숨었어요


                   懸知猶未嫁 (현지유미가)
                   아직 시집 못갔다 생각할까 조심스러웠어요


                    十五泣春風 (십오읍춘풍)
                    열 다섯 살때 봄 바람이 왠지 슬펐어요


                    背面楸韆下 (배면추천하)
                    그네 아래서 얼굴 돌려 눈물 흘렸어요

 

이상은의 시는 푸르다. 
때로는 맑은 물과도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친근하게 다가온다.
느낌이 그렇다는 것이다.


두보도 좋고, 
이백도 좋으나
이상은은 그보다 훨씬 더 좋다.
그냥 그렇다는 것이다.

백거이는, '내가 죽어 그대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고 싶다' 라고 말 했다고 한다.

47세에 불록했다하니, 아쉽고 또 아쉬운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효봉은 1년 6개월 동안 토굴에 들어가 용맹정진 했다.  
드디어 나와서는 스승에게 오도송을 전해드렸다. 

스승인 석두 스님은 그자리에서 전송을 읊는다.
그 전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春室百化爲開誰 (춘실백화위개수)
                온갖꽃 누구를 위해 피는고


                東行不見西行利 (동행불견서행리)
                동으로 가면서 서쪽으로 가는 이익보지 못하네
 

                白頭子就黑頭父 (백두자취흑두부)
                흰머리 자식이 검은 머리 아비에게 나아가니


                兩個泥牛戰入海 (양개니우전입해)
                두마리 진흑소가 싸우다 바다에 들어간다

                    (사적으로, 위의 利의 뜻을 알 길이 없다)



효봉이 토굴안으로 들어가기 전,
사미승에게 공양은 하루 한끼니만 가져다 달라고 부탁 했다.
 
겨울이 지난 어느 봄 날, 
공양을 가지고 갔던 사미승은 깜짝 놀랐다. 
어제의 공양이 그대로 있었던 것이다.

놀란 사미승이 말했다.
왜 공양을 드시지 않으셨습니까 스님, 예?

그러나 토굴안에서는 아무런 대답이 없었다.

들리시옵니까요 스님?
왜 공양을 한술도 뜨지 않으셨습니까요 스님?
예, 스님? 스님? 스님~~~!!

그러나 안에서는 대답도 인기척도 없었다.
사미승의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불길한 생각이 들었던 사미승은 돌로 벽을 치며 스님을 불렀다.
스님, 스님!!! 대답좀 해보세요 스님!


그때,
어허ㅡ 오늘은 왜 이리 야단인고? 
스님의 말소리가 들려왔다.

안도한 사미승이 말했다.
아이고, 살아 계셨군요 스님!
어찌 공양을 한 술도 드시지 않으셨습니까요 스님?

그게 무슨 말이던고?

어제 공양이 그대로이니 어찌된 일인지 여쭙는 것이옵니다 스님.

공양은 하루 한끼면 된다고 했거늘, 
어쩌자고 하루에 두번 올라와 소란을 피우는고?

아닙니다요 스님, 
이 공양 그릇은 분명 어제 가져다 놓은 것입니다!


그러자 스님이, 
아니다 오늘 너는 두번 왔을것이다, 라고 하셨다.


효봉의 상태가 걱정이된 사미승은 이 소식을 석두스님께 아뢰었다. 
스님께서 저러시다가 정신이 바르지 않게되는 것은 아닐까요?


아니다. 걱정할 일이 아니다. 
선정 삼매에 들면 해가 뜨는 것도 모르고 해가 지는 것도 모르게 되나니, 
이런 경지에 이르러야 참선 삼매에 들었다 할 것이니라.
그러니 기뻐 해야할 일이니라... 
라고 석두스님은 말씀 하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야기는 짧지 않지만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옛날, 
천축국의 시비라는 왕은 
고행으로 깨달음을 얻고자 했다. 

하루는 매에게 쫒기던 비둘기가 시비왕에게 날아들었다. 

매가 시비왕에게 말했다. 
'그 비둘기는 나의 것입니다.
그리고 왕께서 비둘기를 살리시면 매는 굶어 죽습니다.' 

시비왕은 칼을 꺼내 본인의 허벅지 살을 매에게 잘라주었다. 

매가 말했다. 
'비둘기의 무게와 같게 잘라주셔야 합니다.' 

시비왕은 저울을 가져와 비둘기와 살점을 각각 올려놓았지만 
아무리 잘라내도 비둘기가 더 무거웠다. 

시비왕은 멈추지 않고 가슴, 등, 옆구리를 더 잘라냈지만 
끝내 비둘기의 무게에는 미치지 못했다. 

결국 시비왕은 자신이 직접 저울에 올라갈수 밖에 없었다. 




나무관세음보살 ㆍㆍㆍᆢ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