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 재단에서 나오는 렉처 사이언스 시리즈.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빛 Light
김성근 외 지음, 재단법인 카오스 / 휴머니스트 / 2016년 10월
21,000원 → 18,9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0년 02월 27일에 저장

화학의 미스터리- 트로피, 주기율표와 분자운동, 분자 관람 그리고 나노, 단백질 구조예측까지 미래를 위한 화학 특강 10
김성근 외 지음 / 반니 / 2019년 9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0년 02월 27일에 저장

모든 것의 수다
고계원 외 지음, 재단법인 카오스 / 반니 / 2019년 7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0년 02월 27일에 저장

미래과학
정하웅 외 9명 지음, 재단법인 카오스 기획 / 반니 / 2018년 4월
16,500원 → 14,850원(10%할인) / 마일리지 82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20년 02월 27일에 저장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End of Physics: The Myth of a Unified Theory (Paperback, Revised)
Basic Books / 199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탄하며 읽었다. 19세기, 고전물리학자들이 물리학의 끝을 말할 때—자연현상이 모두 물리 이론으로 설명되는 것처럼 보였으므로—부터 시작해서 현대 물리학—상대성이론, 양자역학—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물리학의 ‘진화’에 대해 논의한다. 이제 더 이상 실험으로 테스트할 수 없는 영역을 다뤄야만 하는 물리학—좀 더 정확히는 입자물리학—에게 저자는 이제 또 다른 끝이 다가왔다고 말한다. 그래서 책의 제목이 ‘물리학의 끝’이다. 


입자물리학자들에게는 자연의 모든 힘과 입자들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을 만들어서 우주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이러한 이론을 ‘통일 이론(unified theory)’ 또는 ‘만물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이라 하는데, 이미 제안된 이론의 하나가 예측한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으며(양성자 붕괴 실험), 논의하는 에너지 영역이 너무 높아서 더 이상 실험할 수 있는 영역에서 예측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물의 이론으로 논의되는 모든 이론들은 ‘신화’에 불과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여기서 책의 부제—‘통일 이론의 신화’—가 나왔다.


책은 1993년에 나왔는데, 우리말로는 1996년에 <물리학의 끝은 어디인가>라는 제목으로 번역됐다. 책이 나온 이후에도 많이 회자된 주목할 만한 발견들이 있었다. 우주의 가속팽창(1998년), 힉스 보존Higgs boson의 발견(2012년), 중력파의 검출(2015년) 등이 그것들인데, 이러한 발견들도 이 책의 결론을 바꾸지는 않았으며 저자의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진작 읽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입자물리학의 한계와 끝에 대한 여러 책이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로 꼽을만하다. 현대 물리학의 발전을 설명한 부분도 일품이고, 문장도 잘 읽힌다. 기술적 논의는 비교적 간략하지만 핵심을 잘 짚어 물리의 ‘영혼’을 엿본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책의 제일 마지막 문단:

... Modern physics was set on its present course by the pragmatic methods of Newton and Galileo and their many successors, and this effort, three centuries old, has led to the elaborate physical understanding we now possess. But this kind of physics seems to have run its course. Experiments to test fundamental physics are at the point of impossibility, and what is deemed progress now is something very different from what Newton imagined. The ideal of a theory of everything, in the minds of the physicists searching for it, is a mathematical system of uncommon tidiness and rigor, which may, if all works out correctly, have the ability to accommodate the physical facts we know to be true in our world. The mathematical neatness comes first, the practical explanatory power second. Perhaps physicists will one day find a theory of such compelling beauty that its truth cannot be denied; truth will be beauty and beauty will be truth—because, in the absence of any means to make practical tests, what is beautiful is declared ipso facto to be the truth.

  This theory of everything will be, in precise terms, a myth. A myth is a story that makes sense within its own terms, offers explanations for everything we can see around us, but can be neither tested nor disproved. A myth is an explanation that everyone agrees on because it is convenient to agree on it, not because its truth can be demonstrated. This theory of everything, this myth, will indeed spell the end of physics. It will be the end not because physics has at last been able to explain everything in the universe, but because physics has reached the end of all the things it has the power to explain. (p. 255)

... 뉴턴과 갈릴레오, 그리고 여러 후계자들의 실용적 방법이 현대 물리학의 진로를 결정해 왔으며, 3세기가 지나 이러한 노력은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정교한 물리적 이해를 낳았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물리학은 이제 그 수명이 다한 것처럼 보인다. 근원적 물리를 시험하기 위한 실험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고, 현재 진보라고 여겨지는 것은 뉴턴이 상상했던 것과는 많이 다르다. 만물의 이론을 좇는 물리학자들에게 그 이론은 범상치 않은 깔끔함과 엄격함을 갖춘 수학적 시스템이다. 만약 모든 것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그 이론은 이 세상에 대해 우리가 옳다고 알고 있는 물리적 사실들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수학적 깔끔함이 우선이며 실제적 설명 능력은 두 번째이다. 물리학자들은 너무 아름다워서 그 옳음을 거부할 수 없는 이론을 언젠가 찾을지도 모른다. 진리는 아름다움이 될 것이고 아름다움이 진리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실제적 시험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므로 아름다운 것이 결국 진리로 선언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만물의 이론은 글자 그대로 신화일 것이다. 신화란 그 체계 내에서 그럴듯한 이야기이며, 우리 주변의 모든 것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만, 시험되거나 반증될 수 없다. 신화는 동의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모든 이들이 동의하는 설명이다. 그 진실성을 증명할 수 있어서가 아니다. 이러한 만물의 이론, 이러한 신화는 진정 물리학의 끝을 쓸 것이다. 그것이 끝인 것은 물리학이 마침내 우주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 아니다. 물리학이 설명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끝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쓰기가 뭐라고 - 강준만의 글쓰기 특강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이 있어 쓰는 게 아니라 써야 생각한다˝ 이 부분이 제일 마음에 와 닿는다. 그 외 이런저런 현실적 조언들. 일단 많이 써보는 게 중요할 것 같다. 부담 갖지 말고 일단 쓰기 시작하자. 어떻게 잘 쓰는가는 그 다음 문제. 이 책은 잘 쓰기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의 얘기도 많이 다룬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02-19 1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쓰자-는 글쓰기 책의 공통 조언 같네요 ㅎㅎ일단 씁니다. ㅎㅎㅎ

blueyonder 2020-02-19 19:29   좋아요 1 | URL
네 일단 쓰는 것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그리고 시작이 반입니다. 화이팅! ㅎㅎㅎ
 


2월 9일 (우리 시간으로 2월 10일) 진행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기생충>과 경합을 벌였던,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국 샘 멘데스 감독의 <1917>이 2월 19일 우리나라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은 현대 과학이 만든 잔혹한 살상무기들이 투입되어 전쟁의 면모를 바꾼 격변이었다. 탱크가 이 때 처음으로 전선에 투입됐고, 비행기도 제한적이지만 그 쓰임새를 증명했다. 그 외, 잠수함, 독가스, 기관총, 새로운 전함, 대규모 포격 등등 전쟁은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시험장이었다. 치명적 무기 때문인지 전선은 곧 정체되어 쌍방 모두 깊은 참호를 파고 대치했으며, 이러한 비인간적 참호전은 1차 세계대전의 집단적 트라우마로 인류에게 남아 있다. 4년 3개월 2주간의 전쟁을 통해 쌍방 합쳐 약 천만 명의 군인이 죽고 2천만 명의 군인이 다쳤다. <1917>은 독일군이 전선을 단축하기 위해 행했던 퇴각(알베리흐 작전Operation Alberich)을 배경으로 한 가상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참상을 보여준다. 


함정에 빠질 공격을 취소하라는 명령을 1,600명으로 이루어진 대대에게 전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두 영국군 병사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 영화의 주요 줄거리인데, 실제 이러한 상황이 가능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이 있다. 1,600명 정도의 손실에 고급 지휘관들은 눈도 깜빡하지 않을 정도로 당시 전쟁이 비인간적이었다는 것인데, 어찌 보면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영국판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나 <1917>이나, 누군가를 구하기 위해 사투하는 모습은 전쟁의 참혹함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일 뿐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이건 좀 기술적인 얘기인데, 당시 총공격은 반드시 대규모 포격 뒤에 이루어졌으므로, 만약 포격이 없다면 당연히 부대는 공격 취소를 의심했을 것이라서 굳이 이렇게 힘들게 공격 취소를 알리러 갈 필요가 없다는 비판도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혹함을 알린 책 한 권을 다음에 리스트한다. 19살의 나이로 자원하여 참전했던 독일의 에른스트 윙어Ernst Jünger의 회고록이다. 





























원저는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20년 출간됐는데, 위의 제일 왼쪽 영문판은 Basil Creighton의 1929년 번역본으로서 2019년 출간됐다. 그 오른쪽 두 권은 Michael Hofmann의 번역본으로 2004년, 2016년 출간됐다. Michael Hofmann의 번역이 더 생동감 있는 번역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attle of Midway (Paperback)
Craig L. Symonds / Oxford Univ Pr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말 개봉한 영화 <미드웨이>를 보고 바람이 불어서 미드웨이 해전에 대한 책들을 찾아보며 읽고 있는데, 마지막으로 Craig Symonds의 책에 대한 평을 적는다. 이 책은 미국에서 2011년에 출간됐는데, 최근 우리말로 번역된 <Shattered Sword>(미국에서 2005년 출간)의 연구까지 포괄하여 미드웨이 해전에 대해 아주 균형 잡힌 설명을 해준다. <Shattered Sword>가 일본측 자료를 연구하여 전투에 얽힌 여러 신화를 깨는 주춧돌을 놓았다면, 이 책은 미드웨이 해전 자체에 대한 논의는 <Shattered Sword>만큼 자세하지 않지만, 그 이전의 둘리틀 공습이나 산호해 해전 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보여준다. 또한, 해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암호 해독에 대해서도 한 개 장을 할애하여 설명한다. 논의가 전반적으로 간략한 편이지만 해전에 얽힌 여러 면모를 종합적으로 조망하게 해주며, 특히 미국 항공모함 호넷에서 발진한 공격기들의 항로에 대해 여러 자료를 검토하여 논란을 잘 정리하고 있다. 미드웨이 해전에 대한 또 하나의 훌륭한 참고도서라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