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문학 리스타트 - 생각이 열리고 입이 트이는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인문학은 어렵다. 그렇지만 버릴 수 없는 학문이고, 필수가 되어버린 학문이다.
수많은 인문학 서적을 접하게 되지만 그것을 읽기에는 나름의 다짐의 다짐을 해야 겨우 읽어야 하는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는 학문이다.
인문학이 왜 필요한가? 인문학이 왜 현대인의 필수라고 하는 것일까?
간단히 답하자면 인문학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서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수많은 고민을 하면서 살아간다. 삶을 이어가기 위해 인간은 여러 지혜를 습득하고 응용하고 또 다른 지혜를 만들어 낸다.
그렇다면 어디서부터 지혜를 얻을 수 있을까? 위기와 맞딱들였을때 인간은 어떤 지혜를 적용시켜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이 인문학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인문학이 어렵다. 쓰는 단어도 어렵고 맥락도 어렵다. 읽다 보면 알 것 같은데 뒤돌아서면 무슨 말이었나 기억에 남지 않는다. 읽고 있는 내용이 다 중요한 것 같은데 막상 적용하려면 이게 맞는가 싶기도 하다.
<한 권으로 읽는>시리즈의 박영규 저자는 "어렵고 골치 아픈 인문학의 시대가 저물었다"라고 한다.
인문학에 대한 편견과 고리타분함을 벗어나서 재미있고 새롭게 읽히는 것이 <인문학 리스타트>이다.
삶에서의 restart는 정말 어렵다. 처음을 시작할 때는 무엇을 알게 되는 뿌듯함과 설렘이 있지만, 굳어져 있는 것에 다시 새로운 것을 덮게 되는 restart는 변화를 느낄 수 없고, 알고 있는 것을 반복한다는 안일함이 생긴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에 젖어있는 독자라고 해도 <인문학 리스타트>는 매 챕터마다 새롭게 읽히는 흥미를 느끼게 된다.
필자는 늦은 공부를 하고 더구나 전공과목을 공부하면서 인문학의 필요성이 누구보다 절실하였는데, <인문학 리스타트>는 책을 펴자마자 흥미진진함으로 책에 빠져들게 되었다.
인문학이란 무엇일까? 바로 인간의 삶을 말하는 것이다.
자연과학에 반하여 인간의 가치 탐구와 표현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영역을 말하는데 여기에는 경제, 정치, 역사, 종교, 철학의 모든 부분을 일컫게 된다.
인문학이라는 학문이 왜 필수가 되어야 하는가? 인문학을 꼭 습득해야 삶의 질이 달라지는 게 맞는 말일까?
이는 인문학에 대해 잘 몰라서 하는 말이다. 저자는 인문학이 우리의 생존에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된다고 한다. 인간의 과거 역사를 보면 역사, 철학, 종교 등의 인문학은 소수의 권력층의 특권처럼 여기던 지식이었다.
이들은 왜 인문학을 유지하고 익히려고 했을까? 인간의 경쟁상대는 인간이다. 인간의 경쟁속에서 지식의 우위는 경쟁의 우위로 나타나게 되고, 이를 좌지우지하는 지식의 기반이 되는 것이 인문학이기 때문에 인문학 공부가 필수하는 것은 현대인이 안고 가야 하는, 그리고 반드시 적응해야 하는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4차산업혁명의 시대의 최첨단 현실에 살면서도 인문학을 습득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관계를 주도하면서 기회를 선점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류에게 인문학이라는 것은 '생존도구'로 존재하였듯이 지금의 혼란하고 빠르고 변화 있는 시대에도 필수이어야 한다. 하지만 인문학에도 변화는 있다. 언급했듯이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인문학은 지양된다. 2020년은 뉴노멀 시대이다. 시대 변화에 따라 새롭게 떠오르는 기준이나 표준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식도 뉴노멀 시대에 맞게 변화를 갖게 되는데 이는 '앎'의 지식에서 발전하여 '삶'에 적용하는 지식으로의 변화를 뜻한다.
<인문학 리스타트>는 경제, 사회, 종교, 철학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고. 이 모든 것이 서로 얽힌 관계를 아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인류 생존의 세 가지 도구는 경제, 정치, 역사라는 주제로 저자는 설명을 하는데 경제와 정치를 모르고서 인문학의 본질을 이해할 수 없다. 경제는 인류 생존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되는 학문의 뿌리이고. 정치는 이 경제를 조정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그리고 경제와 정치가 얽혀서 나타나는 것이 역사이다. 1장에서는 경제, 정치, 국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정부의 형태, 보수와 진보에 대한 설명을 한다.
2장은 세계사를 다루고 있는데 역사는 인간의 삶 자체이고 그 삶의 기록을 말한다. 역사는 인류의 생존을 바탕으로 기록되는 것이고. 이 생존은 경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가 경제에 바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채집 시대부터 시작하여 농업시대를 기반으로 하는 영토 확장과 대제국의 이야기, 공업시대를 바탕으로 나타난 제국주의와 식민시대, 상업시대를 거쳐 지식 시대, 제4차 산업시대까지 아우르는 세계사를 설명한다.
3장은 인류가 생존하기 위한 행동지침을 위해 필수로 접해야 하는 종교와 철학의 관점을 설명한다. 인간은 사회를 생성하고 유지해야 하는 필연 속에 산다. 그렇다면 사회를 유지하는데 우선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사회구성원이 믿고 따를 수 있는 행동지침이 있어야 하며 이 행동지침을 통해서 제각기의 구성원들을 하나의 목표로 이끌어 내는데,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 행동지침은 변하지 않아야 하는, 어떤 상황에서도 보편적이어야 하는, 그리고 절대적이어야 하는 진리를 말하게 되며, 이러한 진리에 대한 열망이 종교와 철학의 근본이 되었다. 여기에서는 종교의 탄생부터 시작하여 유일신을 신봉하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이야기와 다신교인 힌두교와 불교의 이야기, 논리적 행동지침이 되는 철학,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노자, 공자의 사상 이야기가 있다.
4장 종교는 생존력의 강화를 위해 철학과의 결합, 결별을 반복하는데 이 근본에는 종교의 절대성과 철학의 이론 제공이라는 공식이 숨어있다. 이러한 종교와 철학의 결합과 결별의 이면에는 대제국의 정치적 목적이 깔려 있어서 결국 정치. 종교, 역사의 삼합의 이야기가 된다. 그리스철학과 기독교, 불교와 유학, 종교과 결별한 철학의 여러가지 사상, 헤겔, 칸트, 니체, 키르케고르, 하이데거, 사르트르, 마르크스, 비트겐슈타인, 듀이까지의 철학자와 그들이 사상을 살펴보면서 현재의 역사와 어떻게 이어지게 되는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