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반체제운동
사회가 바뀔 때 희생양을 찾으려고 유난히 집착하는 것은 인간사에서 아주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사람들은 평소에는 일상생활에서 기존의 도덕적 의무를 내버리며 살다가도 사회가 바뀔 때면 늘 그것에 따라 살아야 하는 것처럼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그런 행동은 결국 많은 사회운동을 수반하며, 그러다 법과 질서가 작동하지 않게 되면 더욱 광분한다. -앤서니 F. C. 월리스 세인트클레어St. Car
저기 있는 남자는 여자들이 차를 탈 때 도와주고 웅덩이를 건너도록 손을 잡아 올려주고 어디서나 가장좋은자리를 앉게 해주어야 한다고 말하죠. 그런데 내가 차를 타거나 진흙탕을 건널 때 도와주거나 좋은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난 자가 아닌가요? 나를 보세요! 내 팔을 보라고요! 나는 지금까지 밭을 갈고 씨를 뿌리고 농작물을 수확해서 헛간에 쌓았어요. 어떤 남자도 나를 막을 수 없었어요! 그래서 내가 여자가 아닌가요? 나는 남자들만큼 많은 일을 하고 많이 먹고(그만큼 먹을 것이 있다면 그리고 채색질도 견뎌낼 수 있었죠! 그래서 내가 여자가 아닌가요? 나는 아이를 열셋이나 낳았지만 대부분이노예로 팔리는 것을 보았죠.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울부짖을 때 내 동곡에 귀 기울인 사람은 예수님 말고아무도 없었어요! 난 여자가 아닌가요?) 하느님이 만든 최초의 여자는 혼자서 세상을 뒤집어엎을 정도로 강했죠. 지금 우리 여성들이 힘을 합친다면 틀림없이 그것을 되돌려서 다시 똑바로 세워놓을 수 있울거예요. -소저너 트루스(실버블랙 인용) 『미국의 여성들』 - P630
(전략). 그러나 노동조합과 파업, 민족해방, 시민권, 여권운동, 민병대, 환경운동, 근본주의 종교운동과 같은 종류의 저항운동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렇게 저항하는 다양한 인간집단들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그것을 하나로 개념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말하자면 이런 다양한 운동을 어떤 세계적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까? - P631
이런 저항운동들이 자본주의 세계체계 팽창 때문에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학파는 인류학·사회학·역사학·지리학·정치학에 두루 있다. 그들은 이 같은 이유로 그런 저항운동을 반체제운동이라고 부른다(Amin, 1990). - P631
우리는 많은 사람이 그러는 것처럼 이런 혁신들이 길게 보면 모든 사람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경기변동은 장기적으로 결국 균형이 잡힌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이 그리는 성장곡선의 기복은 일반인들에게는 번영이냐 위기냐 하는 구체적인 삶의 국면으로만 다가온다(Guttmann, 1994, 14쪽). - P632
반체제운동: 두 차례의 세계혁명
1848년 이매뉴얼 월러스틴(1990)은 첫 번째 세계혁명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그 해 유럽의 11개 나라에서 노동자와 농민이 중심이 되어 반란을 꾀했다. 프랑스에서 시작된 일련의 봉기들은 불과 몇 달 만에 진압되었지만 마침내 자신들이 주장하는 개혁의 대부분을 완수하게 한 항의내용을 세상에 알리는 데 성공했다. 두 번째 세계혁명은 1968년에 일어났는데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일본, 멕시코의 노동자와 학생, 농민이 그 대중봉기에 참여했다. - P633
1848년 혁명
1848년 혁명은 2월 24일 프랑스의 노동자들이 보통선거권에 기반을 둔 새로운 공화정을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 (중략). 그 혁명은 심지어 브라질에서도 반란을 일으켰고 1년 후에는 콜롬비아에서 또 다른혁명을 일으켰다(Hobsbawm, 1975, 10쪽). 그러나 1년 반 만에 혁명은 실패로 끝났고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전 정권이 다시 권력을 잡았다. - P633
이 두 가지 유형의 운동은 1789년 프랑스대혁명을 본떠서 ‘자유, 평등, 우애‘를 주창했다. 1848년은 물론 그런 운동의 시발점이 아니었다. - P633
노동운동
1848년 혁명은 프롤레타리아 기반의 정치집단이 정치권력을얻기 위해 등장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월러스틴(1990)에 따르면 그들은 비록 실패했지만 그 혁명은 노동권을 옹호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산업노동자들의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격론을 유발했다. - P634
(전략)
그 결과, 유럽과 미국에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이 서로 경쟁하며 부상했다. 하나는 투표를 통해 정치권력을 얻고자 하는 사회민주주의 정당들이 주도하는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혁명을 지지하는 공산주의 조직들이 주도하는 전략이었다. - P635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중반까지 미국과 서유럽의 빈민충 숫자는 크게 감소했다. 1949년 미국과 서유럽 노동자들 대다수는 1848년에는 꿈도 못 꿨던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동시에 러시아나 대다수 동유럽 국가들과 같은 혁명국가들의 노동자들은 공산정권 아래서 그들의 목적을 달성했다. 그들은 비록 서방의 노동자들만큼 풍요롭지는 못했지만 기본적인 생활(예컨대 일자리, 식량, 주택)을 영위하는 데서는 더 완벽한 보장을 받았다. 따라서 노동자들은1848년 혁명으로 쟁취한 혜택을 100년 동안 넉넉하게 누렸다. - P635
민족주의 반체제운동 유럽과 미국에서 노동계급의 운동이 민중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투쟁이었을 때, 주변부 국가에서는 민족해방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중심부에서는 산업 프롤레타리아계급이 사회민주주의운동과공산주의운동을 주도한 반면에 주변부의 민족해방운동은 중산층과 지식인 계층이 자국의 반자본주의 세력들과 손을 잡고 주도했다. - P635
2차 세계대전 뒤에 이어진 세계 경제의 엄청난 성장은 환상을 불러일으켰다. 서방 국가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경기침체와 실업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고, 자신들의 세계가 영원한 번영과 성장의 길로접어들었다고 생각했다. 전 세계에서 기아가 사라지고 전염병이 근절되고 계급투쟁이 과거의 일로 기억되리라고 믿었다. 반면에 공산주의 국가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경제를 나정시킬 수 있는 경제 공식을 발견했다고 생각했다. - P636
(전략). 또한 동유럽국가들도 명목상으로는 민족공산주의 정당들을 통해 노동자들이 권력을 잡았다. 그렇다면 첫 번째 세계혁명이 추구했던 많은 목표가 이미 실현되었는데도 왜 또 다른 세계혁명이 일어났을까 하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없다. - P634
1968년 혁명
1968년 혁명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베트남전쟁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시위로 촉발되었다. 대학교 구내로 번진 시위들은결국 잭슨 주립대학과 켄트 주립대학 학생들에 대한 주 민병대의 공격으로 학생들이 사망하는 사건을 초래했다. 프랑스에서는 노동자와 학생들이 파리 중심가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했다. 일본과 멕시코 등 여러 나라에서 이와 비슷한 시위가 일어났다. - P637
미국에서는 베트남 민중의 민족적 열망을 잔인하게 억압하려는 정부의 시도에 맞서 저항했다. 러시아와 동유럽 사람들은 스탈린이 얼마나 무자비한 만행을 저질렀는지 깨달았고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운동이 탄압당하는 것을 목격했다. 주변부 국가에서는 경제발전의 꿈이가난과 정부의 억압, 부패라는 악몽으로 바뀌었다. 이런 상황 전개는 돌아갈 곳조차 없는 구제받지 못한 사람들을 남겨놓았다. - P638
주변부 국가의 사회적·경제적 개혁들이 국민에게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새로운 특권층을 양산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권력자들이기존의 경제조건의 지속(대개는 악화)과 신식민주의적 종속, 새로운 엘리트층의 등장을 초래한 경제개혁과 관행을 장려하거나 적어도 채택하는것을 묵인했다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1848년에 탄생한 반체제운동은 1968년에 탄생한 새로운 반체제 운동을 만났다. - P638
반체제운동은 두 차례의 세계혁명에서 나왔다. 우리는 이 장에서 검토하는 반체제운동들이 자본주의 문화의 다양한 특징에 반발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운동이 다 그런 방식으로 자신들의 항의를 개념화한 것은 아니다. 대개는 아니었다. - P639
노동자의 항의: 19세기 펜실베이니아의 광산노동자.
석탄산업과 노동자의 삶
1820년대와 1830년대 필라델피아와 뉴욕의 투자자들은 펜실베이니아의 탄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중략) 대부분의 산업과 마찬가지로 탄광의 작업조직은 계층구조를 이루고 지하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지상에서 일하는 사람들로 나뉘어 있었다. 탄광에서 가장 낮은 단계의 노동자는 8~12세의 사내아이들로 광부와 노새, 장비들이 갱도를 들락날락할 때 공기를 유통시키는 환기장치를 조작하는 일을 했다. 그다음으로 높은 단계의 노동자는 10대소년들로 수레에 석탄을 가득 담은 노새를 모는 일을 했다. - P670
1840년대부터 1870년대까지 세인트클레어의 탄광산업은 비록 돈을번 사람은 별로 없고 오히려 많은 사람이 손해를 보았지만 그런대로 패성장했다. 석탄 1톤을 채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1달러 56센트에서 3달러 16센트까지 다양했다. 여기에는 주민세, 운하나 철도 운송비용, 중개상 수수료, 고정자산 상각비용, 대출이자 같은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철도 운송비용은 1톤에 평균 1달러 60센트를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했다. 따라서 실제로 석탄 1톤을 채굴하는 데 드는 비용은 최소 3달러 16센트에서 4달러 16센트에 이르렀다. - P641
그러면 세인트클레어와 그 주변 지역의 탄광업은 왜 이익을 내지 못했을까? 거기에는 명백한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 하나는 그 지역의 지리적조건이고, 다른 하나는 각종 사고로 채굴 작업이 자주 중단되었다는 것이다. - P642
탄광 경영자들이 그 지역의 탄광이 수익성이 없다고 결론을 내린 지질학자들의 보고서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면 그런 손해는 보지 않을 수도있었다. 그러나 땅 소유주와 탄광 경영자들은 보고서를 무시하고 오히려과학적 근거들을 공격하며 이미 이루어진 투자들이 바로 수익성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말을 믿었다. - P632
석탄 채굴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갱도붕괴와 지하수 범람, 컨베이어 벨트로 된 쇄탄기에서 이루어지는 위험한 작업 말고도 끊임없는 폭발의 위험이 상존했다. 또한 석탄은 메탄가스를 내뿜는다. 산소와 섞이는 메탄의 양이 5~12퍼센트에 이르면 자연스럽게 불꽃이 점화될 수 있다. 당시 광부들이 쓰는 헬멧에는 덮개가 없는 백열전구가 부착되어 있어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치명적인 메탄가스의 발생을 막을 한 가지 방법은 갱도를 통해 꾸준하게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환기시설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런 설비는 비용이 많이 들었다. - P634
철강산업이 성장하지 못하면 탄광산업도 성장할 수 없었다. 그러나 영국산 철강은 미국산 철강보다 더 싸고 품질도좋았다. 영국산 철강이 높은 수입관세로 가격이 올라가면 미국의 철강산업과 석탄산업이 성장하면서 이익도 늘어날 거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 P643
월러스가 당시의 사고 보고서들을 살펴본결과에 따르면 사고의 원인은 거의 모두 광부들의 태만 때문이었다. 따라서 탄광 소유주는 경제적 손실에 대한 비난을 모면할 수 있었고, 탄광경영자는 사고에 대한 어떤 경제적 책임도 지지 않았다. - P643
1869년 광산안전법이 통과되기 전 상황에 대해 일관된 기록은 없지만『광부 저널』(광산업계의 주요 잡지)에 게재된 기사들을 검토한 결과, 윌러스는 지상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포함해 해마다 탄광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6퍼센트가 죽었고, 다른 6퍼센트는 평생 불구가 되었으며, 또 다른6퍼센트는 중상을 입었다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탄광에서 일하는 사람은 12년 동안 살아 있을 확률이 절반도 안 되었으며 6년 안에 죽거나 평생 불구가 될 가능성이 컸다(Wallace, 1987, 253쪽). - P644
(전략). 그러나 계약직 광부들은 이들과 다른 대우를 받았다. 그들이 터널 뚫는 일을 하면 얼마나 많은 수레로 흙을 실어 날랐는지에 따라, 얼마나 깊이 터널을 뚫었는지 그 길이(야드)에 따라 대가를 받았다. 그러나 계약직 광부들은 여기서 일부를 조수들에게 급여로 지급하고 전구나 양초심지 비용도 내야 했다. - P645
한 사람이 1년에 버는 돈은 기껏해야 150~200달러에 불과했다. 그래서 어떤 집에서는 하숙을 치기도 하고 일부 여성은 침모나 식모 가정부로 일해야 했다. - P645
반면에 식비는 쌌다. 옥수수는 1부셸에 50센트, 달걀은 12개에 11센트, 밀가루 1배럴에 5달러, 버터 1파운드에 18센트, 베이컨 1파운드에 7센트, 소고기 1파운드에 8센트였다. 주거비도 쌌다. 따라서 아내와 자녀 둘을 둔 노동자는 한 달에 평균 20달러만 벌면 먹고살면서 약간의 저축까지 할 정도가 되었다. - P645
노동자 저항과 항의
노동자들은 어떻게 자신들의 이익을 지킬 수 있었을까? 그들이 탄광에서 직면하는 각종 위험과 저임금, 해고, 채굴 중단으로 야기된 경제적 불안에 대해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어떻게 항의할 수 있었을까? 광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저임금과 위험한 노동조건에 대해 항의했다. 일시에 작업을 중단하기도 하고 광업소에 맞서 파괴행위도 하고 시위와 행진, 태업도 했다. 이런 저항행위들은 대개 경찰이나 주 민병대와 무력 충돌을 일으켰다. - P646
실질적인 최초의 파업은 1868년에 일어났다. 펜실베이니아 주의회가 법정 하루 노동시간을 8시간으로 정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이 삭감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광부들은 임금 삭감이 없는 8시간 노동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 P646
또한 작업장 안팎에서 극심한 차별을 당하는 아일랜드계 광부들의 항의의 중심에는 몰리머과이어Molly Maguires라는 비밀조직이 있었다. 몰리머과이어라는 용어는 본디 아일랜드 남부 지역에서 생겨났는데 지주와 치안판사처럼 가난한 아일랜드 가정을 못살게 구는 사람들에게 보복하기 위해 조직된 농민집단을 일컫는 말이었다. - P647
아일랜드계 탄광노동자와 탄광 소유주 또는 경영자들 사이의 투쟁에서 탄광 소유주와 경영자들이 광부들의 조직을 파괴하고, 다른 노동자조직들에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것을 국제적 음모와 연결시키려는 시도의 초점이 몰리머과이어에 맞춰져 있었다는 것은 당시에 그 조직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 P647
1875년 9월 살인과 살인미수 사건들이 여기저기서 발생했다. 희생자들은 대개가 과거에 아일랜드인을 공격했거나 아일랜드계 노동자들을 해고하거나 취업을 막은 사람들이었다. 월러스(1987, 374쪽)가 말한 것처럼몰리머과이어에 속한 사람들은 "정부 당국이 인종차별을 하는 분위기에서 보복을 통해서라도 정의를 구현하고자 하는 요구와 자신들의 권리를 철저하게 거부당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증오에 찬 분노"에 따라 행동했다. - P648
노동자 저항의 파괴
탄광 소유주와 경영자들은 탄광의 작업안전 기준을 높이거나 노동자들의 단체교섭권을 인정하는 어떤 법률 제정에도 격렬하게 반대했다. 그들은 작업안전 기준을 더 높이면 경제적으로 탄광 운영이 어려워지며, 단체교섭을 인정할 경우 탄광 경영에 대한 노동자들의 발언권이 지나치게커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펜실베이니아 주의회가 1869년 작업안전 기준을 높이는 법률을 통과시켰지만 겨우 다섯 달 만에 펜실베이니아 애본데일에 있는 한 탄광 폭발로 108명이 죽었다. - P649
고웬은 노동자공제협회와 고대아일랜드인회를 몰리머과이어의 일부조직이라고 몰아붙여 몰리머과이어가 저지른 실제 또는 꾸며진 범죄행위의 희생양으로 삼는 전략을 썼다. - P650
토머스의 고소와 핑커턴에서 침투시킨 첩자가 제시한 증거를 근거로 범인 체포에 들어갔다. 고웬은 고대아일랜드인회와 노동자공제협회를 재판에 붙였다. 따라서 그조직들의 회원이라는 것 자체가 오명이라는 식으로 음모를 꾸몄다. 이어지는 재판으로 20명이 살해를 공모한 혐의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결국 그 재판은 탄전의 경제적 실패를 광부들과 그들의 조직탓으로 돌리며 광부들을 희생먕으로 만드는 데 결정젇 역할을 했다. - P650
실제로 월러스(1987)에 따르면 아일랜드 가톨릭이 자신들을 적대시하는 세계에 대해 보복으로 정의를 구현하는 도구로서 몰리머과이어가 일정부분 역할을 한 것은 맞지만, 노동자공제협회와 고대아일랜드인회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더 흥미로운 것은 고웬의 대응이 마우마우단에 대한 영국인들의 대응을 연상시킨다는 것이다. - P651
고웬은 마침내 사람들이 이미 붕괴된 노동조합을 더는 신뢰하지 않도록 만들었으며 석탄업계 자체의 문제들에 대한 비난을업계 바깥의 영향력들, 즉 영국 철강에 대한 수입관세의 부재와 노동자들 탓으로 돌리는 데 성공했다. 월러스가 기록한 세인트클레어의 이야기는 오늘날 전 세계 산업 현장에서도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는 노동분쟁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P651
국제자유노조연맹ICFTU은 2006년에 펴낸 연차보고서(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2003)에서 2005년 전 세계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 살해된 노동자가 115명이나 되고 급습을 당한 노동자는 1,600명이 넘으며 경찰에 체포된 노동자는 9,000명에이른다고 전했다. 또한 노동조합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해고된 노동자가 1만 명 가까이 되며 감금된 노동자도 1,700명에 이른다. - P652
전 세계 여성해방운동
1995년 9월, 중국 베이징에 전 세계 비정부기구의 대표들이 모였다. 그들은 4차 세계여성대회에서 대회 참가자들이 ‘전략적 자매관계‘라고 부른, 주변부 국가의 여성운동과 중심부 국가의 여성운동을 통합하는 국제단체를 만들기로 했다. 오늘날 여권운동의 모델은 1848년 세계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P652
오늘날 여성운동은 적어도 서양에서는 여성의 신분 상승에 도움을 주었지만 나머지 세계의 여성들은 여전히 경제적·정치적·사회적으로 주변부에 머물고 있다. 마사 워드가 『여자로 가득한 세계』A World Full ofWomen (1996, 221쪽)에서 특별히 언급한 것처럼 전 세계 여성들은 주로 "가판, 공장 조립라인, 삯일, 환금작물 재배와 상업농사, 매춘, 가사노동, 호텔의 침대시트를 갈아주는 청소부 같은 일을 하고 있다. 여성들은 전 세계 농작물의 75~90퍼센트까지 생산하는 동시에 가사를 책임지고 있다. 유엔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어느 나라도 남성이 가사에 소비하는 시간이 여성의 가사활동 시간과 비슷한 나라는 없다. - P653
. 여성을 위한 10년(1975년 12월 유엔총회에서 전 세계 여성의 사회참여, 남녀평등 촉진, 권익 향상을 위해 1976~1985년을 여성을 위한 10년으로 지정하고 각종 지원과 회의를 개최했다-옮긴이)의 비공식 표어는 "여성은 전 세계 노동의 3분의 2를 감당하지만 소득은 전체의 10퍼센트밖에 차지하지 못하고, 생산수단 소유는1퍼센트에 불과하다"(Ward, 1996, 224쪽 인용)였다. - P653
(전략)
그러나 오늘날 지구촌 여성의 경제적 지위는 어느 정도 향상되었음에도 전체적으로 볼 때 여전히 남성들의 주변에 머물러 있다. 예컨대 하루수입이 1달러 이하인 10억 명 정도의 극빈층 가운데 60퍼센트가 여성이다. 그렇다면 전 세계 여성들의 지위를 열악하게 만든 요인들은 무엇일까? 그들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쓸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 P654
자본주의 문롸에서의 성의 관계
리콕은 자본주의가 여성들을 가사에 얽매이게 만들어 결국 여성이억압당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매우 가부장적인 생산양식이라고 주장한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논리에 동의했다. 그렇다면 여성의 주변화와 그것이 유발하는, 특히 주변부 국가에서의 저항이 자본주의 문화의 팽창에 따른 결과라는 증거가 있는가? - P655
18세기와 19세기 자본주의의 팽창은 그것이 확산된 사회들의 두 가지 사회관계를 바꾸었다. 첫째, 자본주의는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에게서 생산수단을 빼앗아갔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의 노동력에 의지해 살 수밖에없게 되었다. 둘째, 자본주의는 대가족집단을 무너뜨리고 사람들을 개인이나 핵가족 단위로 분리했다. 그렇게 분리된 각 경제 단위는 남성 가장의 지배를 받았다. 리콕 (1983. 268쪽)은 이런 상황 전개가 결국 오늘날 여성들이 남성들에게 억압받게 된 배경이라고 주장한다. - P655
리콕, 보스럽, 색스 같은 학자들의 연구는 한 가지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다(Silverblatt, 1988). 근대화가 가져다준 이익과 그 불가피성을 주장하는 근대화론자들은 대개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대가족이 쇠퇴하고 핵가족이 부상한 것을 사회진보의 중요한 예로 든다. 하지만 여성운동가 대다수는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게 된 것이 어느 정도 핵가족제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이런 변화가 ‘근대화‘와는 아무 상관이 없고 오히려 자본주의 문화의 등장 그리고 팽창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제 대가족은 왜 자본주의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양립할 수없었을까 하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 P657
자본주의 관점에서는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정서적 유대를 축소하고 노동력이 필요할때 어디든 쉽게 재배치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편하다. 자본주의 문화가 더 선호하는 가족 단위가 핵가족이라고 한다면 핵가족은 어떻게 해서 여성의 지위를 열등항 수준으러 떨어뜨릴까? - P657
첫째, 핵가족의 등장으로 남성들은 대가족의 굴레에서 벗어나 좀더 자율적인 존재가 되었고 각종 자원과 자기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지배력이 높아졌다. - P658
산업 생산이 중심부 국가에서 주변부 국가로 확대되면서 여성들이 생산수단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차단되고 남성 중심의 핵가족이 사회를구성하는 기본 단위가 되었으며 여성들은 결국 경제의 주변부로 밀려났다. - P6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