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녀가 머리를 숙이면 부끄럽다는 것이고, 턱을 고이면 한(恨)을 나타내는 것이다. 혼자 있으면 생각에 잠긴 것, 눈썹을 찡그리면 수심에 빠진 것, 난간 아래 있으면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는 얘기이며, 파초 밑에 앉았으면 꿈이 있다는 뜻이다. 만일 그녀가 서있기를 반듯이, 앉아 있기를 조각처럼 하지 않는다고 나무란다면 양귀비가 치통을 앓고 번희가 머리칼을 만진다고 욕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랴...”
박지원이 한 말인 것 같다.
그림 하나를 그리면서도 어디선가 본 것 같은 태도를 지적했었던 것 같은데,
마이클 코넬리에 이어 로버트 크레이스를 읽으며 이 구절이 떠올랐다.
똑같은 외롭고 고독한 캐릭터를 그려내는 데 이렇게 다를 수가 있을까 싶어서 였다.
워치맨
로버트 크레이스 지음, 최필원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10년 11월
마이클 코넬리와 로버트 크레이스가 한 동네에 사는 친구라는 건 어디선가 주워들은 적이 있다.
그래서 로버트 크레이스의 <라스트 디텍티브>에 해리 보슈가 카메오로 잠깐 등장했다는 얘기도 들은 적이 있지만, 아직 책으로 만나 보지는 못했다.
‘마이클 코넬리’는 전작을 꼼꼼히 챙겨 읽었지만, ‘로버트 크레이스’는 전작이래야 이제 겨우 세권이어서...어떻게 보면 비교가 안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로버트 크레이스의 <투 미닛 룰>을 넘 재밌게 읽었던 터라, 이 책 <워치맨>도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초반에 끌어 들이는 흡입력이 좀 약한 데, 그 부분을 참고 읽어내면 참 괜찮은 작품 하나를 만날 수 있다.
문장을 짧게 끊어 급박함과 긴장감을 표현하는데는 성공했지만, 조 파이크의 캐릭터를 표현해 내는 데도 성공했지만, 처음부터 그렇게 끊어놓으니 호흡이 잦아 맥이 살짝 빠지는 것만 빼면 말이다.
그러고 보니, 군데 군데 직역한 듯한 부분도 있어 거슬리긴 하다.
파이크의 집은 비어 있었다. 그들은 파이크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최대한 신중을 기했겠지만, 주방에 놓아둔 주소록이 사라졌고,(158쪽)
이 부분은 ‘파이크의 집은 털려 있었다’ 정도가 적절하겠다.
207쪽의,
상완신경얼기는 상완신경총이라고 더 많이 사용하고,
노보카인은 국부마취제로 두루 두루 쓰인다. 치과용 국부 마취제로 주석을 달 필요는 없다.
이 책을 읽으면서 조 파이크가 너무 좋아졌는데, 조 파이크는 그의 친구 엘비스 콜(로버트 크레이스가 밀고 있는 명탐정)과도 다르고, 마이클 코넬리의 ‘해리 보슈’와도 다르다.
내친 김에 이 둘을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무엇보다 조 파이크는 친구가 많다.
해리 보슈에게 친구들이 공존공생의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라면, 조 파이크의 친구들은 그의 인간됨을 알고 그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
파이크가 말했다. "선배님이 그리워질 겁니다."
아버지나 다름없었던 사람.
파이크는 트럭에 시동을 걸고 주차장을 빠져나갔다. 쥐고 있는 패가 형편 없더라도 게임은 이미 시작되었다. 운명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때때로, 파이크는 더 나은 삶을 꿈꿨다.(270쪽)
조 파이크와 해리 보슈 다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해리 보슈가 ‘마초’인 것과는 달리 조 파이크는 ‘쿨 가이’ 되시겠다.
나이,직업 불문하고 죄다 집적거렸던 해리 보슈와는 달리, 조 파이크는 고객이라는 구실로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잠든 라킨의 모습은 나이에 비해 어려 보였다. 몸도 작아 보였다. 마치 몸의 일부가 소파 안으로 빨려 들어가버리기라도 한 듯이. 파이크는 이것이 바로 그녀의 솔직한 모습일거라고 생각했다. 밖으로 노출되는 모습은 스스로가 만든 것이다. 안에서 밖으로. 안쪽 사람은 긴장과 의지로 바깥쪽 사람을 꼭 붙들어놓는다. 바깥쪽 사람은 세상에 내보이는 얼굴이다. 가면, 눈속임, 메시지, 그리고 목적을 이루는 수단. 그것은 안쪽 사람이 단단히 붙들고 있는 동안만 존재한다. 안쪽 사람이 가면을 놓는 순간 바깥쪽 사람은 사라지고, 원래의 모습이 드러나는 것이다. 잠은 가끔 그 가면을 벗겨내기도 한다. 술이나 마약, 그리고 극단적인 감정 또한 마찬가지다. 단단히 붙들고 있지 않으면 가면은 쉽게 걷힌다. 가면이 벗겨지면 비로소 사람 안의 진짜 사람을 확인할 수 있다. 속임수는 무엇보다 안쪽과 바깥쪽이 일치하는 곳으로 파고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곳에 가까이 접근할수록 사람은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콜이 바로 그런 사람이었다. 그의 안쪽과 바깥쪽은 완전한 일체였다. 파이크는 그런 점이 부러웠다. 콜이 그것을 설계와 노력으로 이루었는지, 아니면 애초부터 그렇게 타고났던 것인지 궁금했다. 답이 무엇이건 항상 콜을 지켜보며 그런 점을 닮아보려 애썼다. 파이크의 안에는 요새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 요새는 쓸모가 많았지만 늘 부족함을 느끼게 했다. 요새는 외로운 공간이었다.(241쪽)
이런 인간의 내면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은 로버트 크레이스의 전작을 찾아 읽게 만든다.
또,커피를 외로움 치료제 쯤으로 달고 사는 해리 보슈와는 달리, 조 파이크는 커피를 마시기는 하지만 아침에 한잔 정도이다.
먹는 음식도 혼자 있을 때는 샌드위치 정도가 고작인 해리 보슈와는 달리, 조 파이크는 미식가에 웰빙 음식을 즐기는 베지테리언 이다.
무엇보다 내가 조 파이크의 손을 들어줄 수 있었던 건...해리 보슈는 밤이면 여자와 보내거나, 혼자 있어도 간이침대에 엎드려 악몽을 꾸는게 고작이었다면, 조 파이크는 규칙적으로 총기를 닦고 조이고 기름칠하고 운동도 꾸준히 한다.
그러니까 하려던 얘기가 뭐냐하면 말이다.
책 속에 나오는 사람들의 외로움, 고독 따위나 분석하고 있지말고...
나와 내 이웃의 외로움이나 고독, 추위 따위를 돌아보자는 말이다.
왜냐하면 날이 얼어죽게 춥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