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일드 폴 ㅣ 미래의 고전 22
이병승 지음 / 푸른책들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차일드 폴' child(어린이) + politics(정치)의 줄임말.
2019년 붉은 비가 내리고 전염병이 퍼지며 폭설이 내린 대재앙 이후 '인류의 희망은 어린이'
라는 깨달음으로 각 나라의 대표인 대통령과 수상은 반드시 어린이가 되어야 한다는 법이 만들어졌다.
수퍼컴퓨터가 10살에서 14살 사이의 아이들 중에 뽑은 첫 번째 대한민국 어린이 대통령이 바로
완전한 보통 아이 5학년 안현웅이다.
대통령이 되면 늦잠을 자도 되고, 무시하고 놀리던 아이들을 쩔쩔매게 만들 수도 있고,
좋아하는 여자친구 보미한테 잘나 보이고 싶고, 무엇보다 줄반장조차 하지 못했는데
덜컥 돌아가신 엄마에게 미안해서 현웅이는 대통력직을 수락한다.
막상 청와대에 들어왔지만 뭘 해야 할지 모르는 현웅은 아빠에게 바보가 된 것 같다고 하소연하지만
여전히 아침마다 <만리장성>으로 자장면을 만들러가는 아빠는
'인마! 아빠가 어떻게 중국집 사장이 됐는지 아냐? 배달 3년, 설거지 1년, 양파 까기 1년, 양파 썰기만 또 1년,
그러고 나서야 겨우 자장을 볶을 수 있었어. 근데 너, 대통령 된 지 얼마나 됐어?'
라는 말로 의지를 불태우게 만들어준다.
진심은 언제나 통하는 법! 그냥 서류에 형식적인 사인만을 원했던 비서실장은 얼음조각 위에서 빠지기 직전이었던
개를 구출하는 과정에서 얼어붙은 마음을 조금씩 녹이게 되고, 선글라스를 절대 벗지 않던 경호팀장은 심한 황사 속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이 썼던 방독면을 벗어 씌워준 현웅에게 감동하여 꼭 지켜주리라 다짐하게 된다.
대통령이 해야 할 일에 눈을 뜨게 된 현웅은 무엇보다 환경문제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황사를 몰고 오는
몽골에 나무를 심으려 하지만 필요한 돈 30억 달러를 마련하는 일은 마음처럼 쉽지 않다.
국내 최고 자동차 회사인 현기자동차 회장에게 협조를 구해봐도 요지부동. 결국 자동차 1대를 몰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없애기 위한 나무 100그루 심기를 시작하자 차츰 동참하는 국민들도 늘어간다.
예산 때문에 고민을 하던 중 가게보안 장치를 해지한 돈으로 성금을 내는 아빠를 보면서 국방비를 줄여야겠다는 생각,
나아가 세계 여러 나라가 모두 하나의 나라가 되면 전쟁도 없어질 테고 전 세계의 국방비를 환경기금으로 쓸 수 있겠다는
계산을 하게 된다. 대단한 현웅군! 사실 마음속으로야 다들 그러고 싶어하긴 하지.
비서실장이 '지금 대통령님은 아직도 산타클로스가 있다고 믿는 아이 같아요. 사람은 원래 이기적이에요.
많이 가진 사람이 조금 나눠 줄 수는 있겠지만 전부 내놓진 않아요. 그게 사람입니다.'
라고 이야기를 하지만 현웅은 멋지게 응수한다.
'그러니까 어린이 대통령을 뽑은 거잖아요. 어른들은 못 하니까. 우리가 하라고!'
우리도 순수한 어린이를 대통령으로 뽑으면 이런 일을 할 수 있으려나? 기대하고 싶다. 정말.
우여곡절 끝에 세계를 하나로 묶는 'YOU & I ' 계획에 97개국 나라가 동참을 하게 되었지만 아직도 그들을 막으려는
EAT 집단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다.
5학년 보통 아이라는 설정치고는 생각이나 말투가 지나치게 어른스러운 치명적인 결함이 있지만
생각할 거리들을 너무 많이 던져서 머리가 복잡한 탓에 후반부에는 그런 흠이 보이지도 않는다.
심지어는 '뭐, 이런 애가 있을 수도 있지. 사람이 다 똑같으면 무슨 재미야' 라고 중얼대기도 했다.
섬진강 댐 건설에 반대하기 위해 맨발로 청와대를 향해 걷는 준일이, 황사 때문에 호흡기 질환이 늘어가도 돈 없는 서민들은
병원에 들어가보지도 못하는 광경, 'YOU & I' 문제로 세계정상회의를 하려는 현웅이를 막으려고 EAT가 벌이는 폭력들.
해군경비정이 미사일에 격침되고 그 주변에 러시아제 미사일 파편이 흩어져있었다거나 하는 일들이 자꾸만 지금 우리가 사는
이곳을 그대로 비추는 거울처럼 느껴져서 사막화된 몽골을 걷는 것처럼 입으로, 코로 모래가 날아들었다.
모든 영화나 책에서 미래를 어둡게 그리는 것은 많이 생각하고 경계하고 혹시 일어날지 모를 재앙을 막으라는 간절한 바람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2019년 대재앙, 자칫 허황되게 보일 수 있는 이 설정이 말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치부할 수만은 없는 이유는 몇 년이나
몇 십 년 후엔 이런 대재앙을 정말 만날 것 같은 징후들이 지금부터 보이기 때문이다.
<수상이 된 한나>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아이를 정치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생각을 하는 것은 그만큼 순수함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더러운 술수와 음모가 판을 치는 정치판을 갈아엎고 싶은 간절함이 묻어 있는 것이다.
2년 후면 다시 최고 수장을 뽑는 시간이 돌아온다. 이번에는 제발 '생각 없는 어른'이 뽑히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작가가 제일 강조하고 싶었을 이 말을 다시 한 번 새겨본다.
'보통 사람들도 마찬가지예요. 이렇게 되든 저렇게 되든 환경 문제는 아주 먼 훗날의 얘기라고 생각했어요.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불편해지고 싶지는 않았던 거예요. 기업도 미래를 위해 환경에 투자하고 싶지는 않았죠.
결국 정치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했지만 정치인들도 기업과 손을 잡고 당장 자기들의 이익만 앞세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