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생 선생님이 타계하신 지 1년이 되었다.
오늘 그의 유언장을 보면서 웃었고, 울었다.
**
유언장
내가 죽은 뒤에 다음 세 사람에게 부탁하노라.
1. 최완택 목사 민들레 교회
이 사람은 술을 마시고 돼지 죽통에 오줌을 눈 적은 있지만 심성은 착한 사람이다.
2. 정호경 신부 봉화군 명호면 비나리
이 사람은 잔소리가 심하지만 신부이고 정직하기 때문에 믿을 만하다.
3. 박연철 변호사
이 사람은 민주변호사로 알려졌지만 어려운 사람과 함께 살려고 애쓰는 보통사람이다. 우리 집에도 두세 번쯤 다녀갔다.
나는 대접 한 번 못했다.
위 세사람은 내가 쓴 모든 저작물을 함께 잘 관리해 주기를 바란다.
내가 쓴 모든 책은 주로 어린이들이 사서 읽는 것이니 여기서 나오는 인세를 어린이에게
되돌려주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만약에 관리하기 귀찮으면 한겨레 신문사에서 하고 있는 남북어린이 어깨동무에 맡기면 된다.
맡겨놓고 뒤에서 보살피면 될 것이다.
유언장이란 것은 아주 훌륭한 사람만 쓰는 줄 알았는데 나 같은 사람도 이렇게 유언을 한다는 게 쑥스럽다.
앞으로 언제 죽을 지는 모르지만 좀 낭만적으로 죽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나도 전에 우리 집 개가 죽었을 때처럼 헐떡헐떡거리다가 숨이 꼴깍 넘어가겠지.
눈은 감은 듯 뜬 듯 하고 입은 멍청하게 반쯤 벌리고 바보같이 죽을 것이다.
요즘 와서 화를 잘 내는 걸 보니 천사처럼 죽는 것은 글렀다고 본다.
그러니 숨이 지는 대로 화장을 해서 여기저기 뿌려주기 바란다.
유언장치고는 형식도 제대로 못 갖추고 횡설수설했지만 이건 나 권정생이 쓴 것이 분명하다.
죽으면 아픈 것도 슬픈 것도 외로운 것도 끝이다. 웃는 것도 화내는 것도.
그러니 용감하게 죽겠다.
만약에 죽은 뒤 다시 환생을 할 수 있다면 건강한 남자로 태어나고 싶다.
태어나서 25살 때 22살이나 23살 쯤 되는 아가씨와 연애를 하고 싶다.
벌벌 떨지 않고 잘할 것이다. 하지만 다시 환생했을 때도 세상엔 얼간이 같은 폭군 지도자가 있을 테고
여전히 전쟁을 할지 모른다. 그렇다면 환생은 생각해봐서 그만둘 수도 있다.
2005년 5월 1일
쓴사람 권정생
**
평생 가난하고 아픈 속에 살다 가신 선생님.
환생하면 벌벌 떨지 않고 연애를 잘 하고 싶다는 이야기 속에 외로움이 묻어 나와 가슴이 아프다.
그러면서도 인세는 아이들을 위해 써달라는 선생님의 말씀에 경건해진다.
평생 모든 5000만원으로 옥수수를 사서 북한 어린이들에게 보내 달라는 게 마지막 가시는 길에 남긴 말씀이란다.
우리는 이런 어른을 또 뵐 수 있을까?
부디, 평안하시길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