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뉴워크 프로젝트#1 <불편한 고리들: 폭력의 예감>

2016. 6. 20 - 6. 30

서울시 마포구 망원1동 399-44

 

일러스트레이터, 미술작가, 디자이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중인 5명의 작가가 준비한 이번 전시 <불편한 고리들: 폭력의 예감>은 이들의 활동명인 '노뉴워크(NO NEW WORK)'의 공식적인 첫 번째 프로젝트이다. '시각이미지를 만드는 페미니스트 모임'을 활동 기제로 정하기에 앞서 이 프로젝트가 생기게 된 계기는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을 둘러싼 각자의 시선을 솔직하게 교환하면서 시작되었다.

 

 

 

  작은 전시관이다. 여성의 역할이나 비하가 담긴 속담을 뒤집어 동화로 만든 작품과 포르노 이미지를 따와 여성의 시각을 넣은 작품, '김영오 성폭력 사건'을 둘러싼 기록들을 재배치한 작품 등 작은 전시관은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대한 작품들로 가득 차 있다.

 그 중 2015년 3월부터 여성에게 가해진 폭력과 성폭력, 강간, 살인, 추행, 사기 협박 등의 기사를 모아 엽서 크기의 그림으로 기록한 작품이 눈에 띄었다. 기사는 모든 사족을 떼고 단 한 줄의 진실만 담고 있었고 그림은 아늑했다. 폭력을 걷어내고 쉴 수 있도록. 아마 작품을 만들면서 가장 괴롭지 않았을까 싶었다. 작품을 준비하는 와중에도 사건은 매일 터지고 매일 언론은 자극적인 기사와 방향을 비트는 문장으로 관점을 흐리고 진실은 은폐된 채 무게 없이 부풀어오르기만 했으니까. 시작과는 다르게 애도의 마음으로 그림을 그리게 됐다는 작가의 말이 이해갈 수밖에 없었다.

 

 며칠 전에 <서프러제트>를 보다 옆자리 남성에게 맞은 여성 기사가 떴다. 경찰은 가해자에게 선생님, 피해자에게 여자선생님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남자가 나이가 더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지만 글쎄) 피해자와, 그 공간에 있었던 관객들의 마음은 어땠을까. 영화는 1912년 영국을 다루고 있다. 그 시간대와 그 공간을 다룬 영화를 2016년 한국에서 보고 있다. 백 년이 넘은 시간이 지났다. 그 순간, 그럼에도 변하지 않은 것, 뿌리 깊은 것, 곡괭이를 들고 아무리 파도 파지지 않는 것, 그런 지독한 것이 있는 것 같아 박탈감이 느껴진다. 언제쯤 여성폭력을 정신질환자의 우발적 행위에서 벗어나 사회적 시선으로 볼 수 있게 될까. 멀지 않았으면 좋겠고 멀지 않게 만드는 데 동참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읽다만 책, 혹은 아예 펼치지도 않은 책이 왜 이렇게 많단 말인가. 도대체 언제 다 읽을 수 있단 말인가. 가장 재밌는 책은 내가 아직 사지 않은 책인 것 같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쓴 대부분의 소설은 사적인 삶에 뿌리를 두고 있지요. 당신 소설이 일본의 '사소설' 전통의 일부라고 생각하십니까?

 

 사소설 전통에는 아주 훌륭한 작품들이 있습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글을 썼던 이와노 호메이도 좋아하는 작가 중 하나지요. 그가 사용한 구절 중에 '희망을 잃은 짐승 같은 용기'라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소설은 작가의 일상생활이 색다르거나 특별한 사건 ――쓰나미나 지진, 어머니의 죽음, 남편의 죽음――에 의해서 방해받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소설입니다. 그것은 사회 안에서 개인의 역할에 관한 질문에는 열려 있지 않습니다. 제 작품에서는 개인적인 삶에서 시작하더라도 사회적인 문제를 향해 열려 있으려고 노력합니다.

 

 

 

(…)

 저는 신앙이 없고 미래에도 신앙을 갖지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무신론자는 아닙니다. 제 신앙은 세속적인 사람의 것입니다. 아마도 '도덕'이라고 부르는 것이겠지요. 평생 약간의 지혜를 얻었습니다만 언제나 합리성, 사유, 경험을 통해서였습니다. 저는 합리적인 사람이고, 제 경험을 통해서만 일합니다. 제 삶의 양식은 세속적인 사람의 것이고, 인간에 대해서도 세속적인 방식으로 배웠습니다. 제가 초월적인 존재와 만나는 부분이 있다면 그건 지난 44년간 히카리와 함께한 삶입니다. 히카리와의 관계를 통해서,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초월성을 살짝 엿볼 수 있었습니다.

 기도하지는 않지만 매일 하는 두 가지 일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신뢰하는 사상가와 작가의 작품을 읽는 것입니다. 매일 아침 적어도 두 시간 동안은 책을 읽는 데 할애합니다. 두 번째는 히카리입니다. 매일 밤 히카리를 깨워서 화장실에 가게 합니다. 그 애는 침대로 돌아와서는 무슨 이유 때문인지 이불을 덮지 못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불을 덮어주지요. 히카리를 화장실에 데리고 가는 것이 저에게는 하나의 의식이고 일종의 종교적인 느낌을 줍니다. 그러고 나서 술을 한잔하고 자러 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 깜짝이야! 놀라며 바로 주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휴 + 6일 동안 읽은 책들인데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제외하고는 순천조례호수도서관에서 읽었다. 시민이 아니라 빌릴 순 없어서 오전에 나와 소파에 자리를 잡고 (한 번은 창가에 붙여 놓은 긴 의자에 양반 다리를 하고 읽었는데 옆으론 호수가 보여서 좋았다) 읽었다고 한당. 작은 도서관에서 책을 둘러보고 마구잡이로 골랐는데 <작은 사건들>이 굉장히 좋았고 장강명의 소설도 생각보다 좋아서 놀람. 로맹 가리와 <필경사 바틀비>야 말할 것도 없고.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천천히, 꼼꼼히 읽었고 그 중 노명우, 권명아, 이광호의 글이 참 좋아서 노트에 옮겨 적었다. 시간을 확인할 필요 없이 책을 읽을 수 있는 시간. 그런 시간을 늘려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