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식하는 운동선수 - 경기력을 극대화하는 게임 체인저: 최강의 채식 식단
맷 프레이저.로버트 치키 지음, 엄성수 옮김 / 싸이프레스 / 2022년 6월
평점 :

건강, 환경, 음식에 관심이 많다 보니
채식에 대한 많은 책을 읽어봤다.
관련된 다큐도 많이 봤던 것 같다.
건강을 공부하다 보니 음식을 공부하게 되었고,
음식을 공부하다 보니 환경이 보였다.
환경에 관심을 갖다보니 채식이 보였다.
내가 채식에 처음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 때
채식을 왜 해야 하는지
육식이 안 좋은 이유에 대한 책들이 주를 이뤘다.
"그래, 채식이 자연과 나를 위해 좋은 건 알겠는데
그래서 자세히 어떻게 채식을 해야 건강하게 할수있는건데?" 라는 물음이 생겼다.
과학적으로 영양적으로 건강하게 채식할 수 있는
식단 짜는 방법이 궁금했다.!!
이 책이 나에게 그 해답을 주었던 것 같다.
에너지를 폭발적으로 써야 하는 극한직업
극한직업의 운동선수들이 어떻게 음식을 먹는지
어떻게 먹길래 그렇게 건강할 수 있는지
이 책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제대로 건강하게 채식하고 싶은 분들을 위한
" 채식하는 운동선수 "

연구진은 건강하고 활동적인 젊은 여성들을 엄격한 채식을 하는 그룹과 육식과 채식을 다 하는 그룹으로 나눠 2년 넘게 추적, 관찰했다. 두 그룹의 체성분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고, 최소 지구력 테스트와 근력 테스트도 했다. 그 결과 신체활동 지수,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지방 제외 체중, 근력 등의 측면에서 두 그룹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대 산소 섭취량과 탈진에 이르는 최소 지구력 시간 측면은 엄격한 채식을 한 여성들이 현저히 더 나있다. 엄격한 채식 식단이 지구력과 근력을 떨어뜨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엄격한 채식을 하는 집단의 지구력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9p
칼로리 밀도란?
음식 측정치 당 함유된 칼로리의 수치,
칼로리 밀도 차트의 중요성 :
칼로리 밀도를 알면 지나치게 많이 먹거나 지나치게 적게 먹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칼로리 밀도를 알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되는지 알 수 있다.
각종 오일이나 다른 가공식품, 특히 동물성 식품에 비해
비전분 채소의 칼로리 밀도가 훨씬 낮다.
어떤 식재료가 메인 메뉴로 적합하고,
어떤 식재료가 사이드 메뉴로 좋은지,
또 어떤 식재료가 조미 식품(음식 위에 뿌리거나 바르는 소스등)으로
적절한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 식단의 메인은 탄수화물이 되어야 한다. 총 칼로리의 50~70%
◆ 전문가들이 말하는 일반 성인 기준 1일 권장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 1kg당 0.8g
◆ 지방 섭취는 총 칼로리의 15~25%
이 책은 그토록 현대인들이 신뢰하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쓰인 책이다.
어떠한 영양분을 어떠한 음식을 통해 얼마나 섭취해야
육고기 없이 건강하게 살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길잡이 책
단, 조건이 있다면 가공품이 아닌
자연식으로 식단을 짜야 한다는 것.
채식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세계적인 운동선수들이 채식을 통해
좋은 기록을 내고, 건강하게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비건으로 살아가기 쉽지 않다.
비건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지배적이고,
비건들을 위한 식당, 메뉴들이 많이 부족하다.
그래도 채식 위주의 전통식생활을 해왔고,
무엇보다 건강한 발효음식이 풍부한 나라이니
우리나라 스타일에 맞게
조금씩 삶에 스며들 수 있게 실천해 보면 좋을 것 같다.
자, 이제 이 책을 보고
건강한 비건식 식단을 짜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