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톰 라이트 예배를 말하다
톰 라이트 지음, 최현만 옮김 / 에클레시아북스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예배는 너무도 익숙한 단어이지만, 정작 그 본질을 묻자면 쉽게 답하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교회에 오래 다닌 사람이라도 “예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앞에서는 잠시 멈칫하게 되지요. 이 책을 읽으며, 예배는 단순히 주일의 한 의식이 아니라 하나님과 인간됨의 본질에 관한 것임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톰 라이트는 책의 첫 부분에서 예배를 인간의 선택이 아니라 ‘참된 인간의 자세’라고 말합니다. 예배란 억지로 드리는 의무가 아니라, 우리가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을 때 자연스레 흘러나오는 고백이라는 것이지요. 이 말은 예배를 “해야 하는 것”에서 “살아야 하는 것”으로 옮겨 놓습니다.
책의 1부는 “찬양을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하나님”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합니다. 우리가 예배드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또 그 예배가 어떤 태도로 드려져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창조하시고 다스리시는 분이시기에 찬양받기에 합당하시다는 사실, 그리고 그분 앞에 서는 예배자의 마음은 겸손과 기쁨이어야 한다는 점을 반복해서 일깨웁니다.
읽는 동안 특별히 마음에 남은 부분은 예배의 진정성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예배는 소란스러운 형식이나 억지로 끌려 나와 드리는 행위가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하나님 앞에 자신을 열어드리고, 그분을 기다리며, 어둠 속에서도 신뢰하는 태도가 참된 예배라는 것이지요. 마치 우리가 흔히 놓치는 순간들을 붙잡아 되새기게 해 주는 말처럼 다가왔습니다.
1부의 흐름이 하나님을 바라보는 예배자의 자세라면, 2부는 그 예배가 삶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반영하기”라는 제목이 붙은 2부는, 예배가 단순히 예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살아내야 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예배와 삶은 분리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강하게 도전으로 다가옵니다.
특히 십자가에 관한 부분은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십자가는 하나님이 직접 오셔서 우리를 치유하시고, 우리를 예배로 이끄신 사건이라는 고백입니다. 예배는 결국 십자가에서 시작된 하나님의 작품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우리 또한 그 십자가의 길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함을 일깨워줍니다.
책 후반부에서는 예배와 삶의 구체적인 연결점들이 다루어집니다. 기억해야 할 것, 약할 때 어떻게 서야 하는지, 돌아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 결국 살아있는 진리로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지를 이야기합니다.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며, 예배가 단지 교회 안에서만 드려지는 시간이 아니라, 세상 속에서도 이어져야 하는 삶의 태도임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저자는 이렇게 도전합니다. “우리는 한 손으로는 모든 힘을 다해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를 붙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사랑하라고 주신 사람들을 붙들어야 한다.” 이 말은 예배가 곧 사랑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선언이었습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사람이 결국 세상 속에서 이웃을 품는 삶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책을 덮으며, 예배는 단순히 ‘주일 아침의 한 시간’이 아니라는 사실이 다시금 마음에 새겨졌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전 존재를 하나님께 드리는 기본적인 자세이며, 동시에 세상 속에서 드러내야 할 삶의 고백입니다. 그래서 예배는 의무가 아니라 선물이요, 억지로 드리는 것이 아니라 기쁨으로 흘러나오는 삶입니다.
이 책은 예배를 다시 배우고 싶은 사람, 혹은 예배의 의미가 흐릿해진 이들에게 꼭 필요한 길잡이가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저 자신에게는 예배가 다시 숨과 같고 선물과 같은 자리임을 고백하게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도 이렇게 다짐합니다. 예배가 내 삶의 한 부분이 아니라, 삶 전체가 예배가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