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칠게 비유하자면 미국은 할리우드 액션처럼 아귀가 딱딱 맞아 떨어지면서 비교적 명쾌하고 극적인 이야기가 많은 반면에 영국은 매일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날씨에 끊임없이 홀짝이게 되는 홍차처럼 좀 더 섬뜩하고 현실적인 묘사로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인간의 내면을 파고든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0

하지만 그 모든 단어와 문장을 다 옮긴다고 해도 번역가 김남주의 표현처럼 "단어와 단어 사이의 그 매력적인 모호함"7은 도저히 옮길 수 없을 것 같았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3

그러니 번역을 꿈꾸는 이들이 이 말을 고려해준다면 좋겠다. 이 일은 끊임없이 텍스트와 대화를 나누며 읽고 또 읽는 생활에서 기쁨을 느끼는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 또한 옮길 수 없는 텍스트를 옮기는 일에 비애와 슬픔을 느끼겠지만 그마저도 즐길 경지에 오르면 굉장히 강력한 무기가 생기는 셈이라는 말도 덧붙이고 싶다. 이 모든 괴로움과 슬픔을 음미할 준비가 됐다면, 번역의 세계로 들어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5

철학자 대니얼 데닛은 흰개미가 통풍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도 가우디의 성가족 교회와 비슷한 형태로 흰개미탑을 짓는 것을 일컬어 ‘이해 없는 능력competence without comprehension’이라고 불렀는데, 여기에 빗대어 ‘이해 없는 번역’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도 있으리라.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6

하지만 진짜 골칫거리는 정신적으로 힘든 책이다. 첫 번째는 ‘너무’ 잘 쓴 책. 영어 문법의 잠재력을 극단적으로 밀어붙이는 책은 한국어로 번역하기 힘들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어 문장을 한국어로 고지식하게 번역하면, 꼬인다. 노엄 촘스키의 『촘스키, 희망을 묻다 전망에 답하다』가 그런 책이었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8

두 번째는 사유가 깊은 책이다. 대니얼 데닛의 『직관펌프, 생각을 열다』가 대표적인 사례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8

대니얼 데닛은 스스로 이렇게 말할 정도로 번역하기 힘든 저자다. "우리가 해야 하는 생각 중에는 형식에 구애받음 없이 은유를 구사하고 상상력을 자극하고 (모든 수법을 동원하여) 닫힌 마음의 벽을 공략해야만 가능한 것이 있다. 행여나 쉽게 번역되지 않는 문장이 있다면, 번역의 대가가 등장하거나 전 세계 과학자들의 영어 실력이 나아지기를 바랄 수밖에 없으리라."9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29

유능한 저자는 독자가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장치를 문장에-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심어두는데, 이런 장치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저자의 글은 읽거나 번역하기 힘들다. 중역重譯 이 힘든 데는 이런 까닭도 있다. 이반 일리치의 『그림자 노동』은 이런 점에서 번역하기 까다로웠다. 중역은 아니지만(원전은 영어판이다) 일리치의 모국어는 영어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의 문장에서 영어 원어민의 무의식적 장치를 찾아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0

하지만 초짜 사공이 영어 땅으로 향하면, 독자를 엉뚱한 나루터에 내려주기 십상이다. 물길도 모르고 저자가 어디서 기다리는지도 모르고 그냥 자기 눈에 보이는 대로 배를 젓는다. 이를 일컬어 ‘영혼 없는 직역’이라 한다. 저자가 어떤 의도로 문장을 썼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영어 단어와 한국어 단어를 짝짓는 것이다. 이에 반해 게으른 사공이 한국어 땅으로 향하면, 배를 나루터 아닌 곳에 대충 접안하기 쉽다. 이를 일컬어 ‘얼렁뚱땅 의역’이라 한다. 문장 구조를 제대로 분석하지 않고서 대충 감으로 끼워 맞추는 것이다. 언뜻 보면 그럴듯하지만 원문과 대조하면 터무니없는 오역도 곧잘 발견된다. 강호에서 벌어지는 번역 논쟁은 영혼 없는 직역과 얼렁뚱땅 의역의 사이비 논쟁인 경우가 많다. 부디 경험 많고 부지런한 사공을 만나시길.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8

2017년 발표된 번역기의 성능은 100점 만점에서 평균 55점 정도라고 한다. 구글과 네이버는 앞으로 3년 안에 70~75점까지 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발표했다. 인공지능의 발전 추세를 보면 일정 단계를 지난 뒤 비약적으로 성능이 좋아지는 일이 많으니 불가능한 시나리오는 아니다. 그렇게 되면 외국 문서 중에서 쉽고 자주 쓰이는 실용적인 내용의 번역은 아무래도 기계에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지극히 난해하고 철학적이며 상상력이 풍부한 텍스트, 그야말로 인간만이 이해해 옮길 수 있는 텍스트만이 남을 것이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48

기계가 따라올 수 없는 번역이란 아마도(?) 기계는 가질 수 없는 풍요로운 정서와 상상력을 갖춘 번역 아니겠는가? 그래서 나는 더욱더 인간다워지기로 했다. 그러자면 기계적으로 옮기던 습관에서 벗어나 보이는 것 너머를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49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글까"라는 속담은 번역에 꼭 들어맞는다. 번역가는 문장 하나하나마다, 단어 하나하나마다 판단을 내려야 한다. 판단은 언제나 틀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판단을 회피하거나 텍스트를 해석하지 않고 원문 뒤에 숨으면 상당수의 오역을 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문장이 오역이 아닐 수 있는 이유는 번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없는 문장은 실은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문장일 가능성이 크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야가 한정적이고 정형화된 문장을 주로 쓰는 기술 문서, 일기 예보, 스트레이트 신문 기사 등은 컴퓨터 보조 번역을 거쳐 점차 기계번역으로 대체될 것이다. 기계번역이 보편화된다면 글을 쓸 때부터 기계번역을 염두에 두고 ‘기계번역 친화적’인 문장을 쓰려고 노력할지도 모른다. 이를테면 영국의 언어학자 찰스 케이 오그던이 제안한 쉬운 영어Basic English 가 글쓰기의 표준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출판 번역의 경우에도 내용만 그럭저럭 전달하면 그만인 분야에서는 기계번역이 인간 번역가를 대체할지도 모른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어 어휘력이 부족한 사람의 문제 중 하나는 공기共起, collo-cation를 제대로 맞추지 못한다는 것이다. 공기란 특정한 단어 쌍이 늘 함께 나타나는 것을 일컫는다. 이를테면 ‘쓰다’와 ‘신다’ 둘 다 ‘착용하다’를 뜻하지만 ‘모자’는 ‘쓰다’와, ‘신발’은 ‘신다’와 함께 쓰인다. 공기를 맞추지 못하면 문장이 어색해진다. 번역투의 상당수가 바로 이 때문에 생긴다. "Another ant joins the attack"이라는 문장을 별 생각 없이 번역하면 "다른 개미가 공격에 참가한다"가 되겠지만 그보다는 ‘공격에 합류한다’ 혹은 ‘공격에 동참한다’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공기의 정보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자연스럽게 구사하느냐의 여부는 번역가의 한국어 어휘력에 달렸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04

그런데 자주 쓰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의미와 용법이 다르며 번역도 그때그때 다르게 해야 한다. 이런 단어는 사전의 뜻풀이를 기계적으로 외우기보다 책이나 영화, 드라마를 보면서 문맥 속에서 체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05

우리가 동사 하나로 쓰는 단어를 원어민들은 ‘phrasal verb’, 즉 구동사로 쓰는 경우가 일상다반사였다. 이를 테면 ‘고용하다’라는 표현을 쓸 때 우리는 바로 ‘employ’라고 외치지만 현지인들은 일상적으로 ‘take on’이란 동사구를 쓴다. 그러니 미궁에 빠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던 것이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18

구동사와 관용어에 익숙해졌다면 그다음 관문은 영어에 나오는 필수 동사들의 뜻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번역가 지망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할 때 썼던 방법인데 학생들 반응이 좋았다. 예를 들어 ‘go’, ‘get’, ‘take’, ‘come’, ‘run’, ‘fall’ 같은 동사들을 정복하는 것이다. 이 동사들은 여러분이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잘 모르는 대표적인 동사들이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19

이런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단어는 항상 그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하며, 한 단어를 공부할 때는 사전에 나오는 1번과 2번 뜻만이 아니라 5번, 6번, 7번 뜻까지 알아야 한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번역은 복원이다." 번역 강의를 할 때마다 빼놓지 않는 말이다. 지금 내 눈앞에 있는 영어 문장이 실은 한국어 문장이라고 상상해보라는 것이다. 그러면 번역은 영어 원문을 바꾸는 작업이 아니라 원래의 한국어 원문을 복원하는 작업이 된다. 그저 원문을 대하는 태도만 바뀌었을 뿐이지만 번역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3

문학은 언어 예술이다. 당연한 말 같지만 여기에 여타 예술 장르와의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문학은 음악이나 미술과 달리 ‘언어’를 표현 수단으로 삼는다. 음악의 재료인 소리와, 미술의 재료인 이미지는 인류에게 보편적이어서 국경 밖으로 쉽게 전파되지만 문학은 언어의 장벽을 넘지 못한다. 번역의 도움 없이는.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11

번역은 텍스트에서 출발하지만 텍스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야 한다. 말하자면 언어로 표현되기 이전의 상태, 인물과 사건과 배경이 존재할 뿐인 무정형의 상태에 언어의 옷을 입히는 작업이다. 이런 관점에서는 작가를 일종의 번역가로 볼 수도 있고 번역가를 일종의 작가로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아직 언어로 표현되지 않은 어떤 플롯을 한강은 한국어로 번역했고 스미스는 영어로 번역했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그렇게 어느 시점부터 작가와 번역가는 대등한 존재가 된다. - <번역가 모모 씨의 일일>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5881451 - P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 일본의 고령자 집단은 전쟁 이후 급격한 사회변동과
‘버블 시대‘의 풍요로움을 경험한 세대이다. 특히 태평양전쟁(1947~1948)에서 패전한 직후에 태어난 ‘단카이 세대団塊世代(베이비 부머‘를 뜻하는 일본식 조어)가 일본 전체 인구 중 가장 두꺼운 연령대를 구성한다.
이들은 전쟁이 끝난 빈곤한 시절에 태어나 고도의 경제성장을이끌어 낸 주역으로 지금의 젊은 층에 비해 진취적인 태도가 두드러진다. 이제 겨우 70대 중반인 이들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본 사회의 원숙한 버팀목이다. 고도 소비사회의주역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 의식이 비교적 높은 세대이기도하다.
일본사회가 젊은 패기보다 원숙한 전문성을 선호하는 것은, 이들 세대의 목소리가 크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고령자 인구 집단의 경제적 영향력은 젊은 세대를 압도한다.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는 편이다. 그렇다 보니 그들의장점인 ‘원숙함‘이 젊은 세대의 ‘새로움‘보다도 긍정적인 가치 평가기준으로 자리 잡았다고 볼 수도 있다.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