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콰이어트 걸
페터 회 지음, 박산호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1.
683쪽에 이르는 소설은 읽어내려 갈수록 뭔가 한 가지로 수렴되는 기분이 들었다. 보통은 감정이거나 윤리적인 메시지들.. 단 하나의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이었는데, 이 소설은 한 낱말로 자연스럽게 수렴됐다. 바로크(baroque).
처음 카스퍼(주인공)와 콰이어트 걸(클라라마리아)이 만나는 장면의 분위기가 영화 <<매트릭스>>를 생각나게 했는데, 아주 세련된 의상이지만 몹시 과장되고 조금은 기괴하게도 느껴졌던 네오, 모피어스, 트리니티의 검은색 가죽 재킷. 그리고 묵시록적이기까지 했던 그들 특유의 걸음걸이가 떠올라서였다. 읽어 갈수록 이런 느낌은 점점 강해져서 프랭크 밀러의 <<씬 시티>>, 오토모 가츠히로의 걸작 SF만화 <<아키라>> 필도 느껴졌다. 그렇게 처음 나에겐 시각적인 정보들이 소리(음악) 보다 먼저 와 닿았다.
그러니 이상한 일이다. 뭔가에 홀렸었는지. 뭐든지 앞부분을 좀 세세히 보고 뒤는 좀 덤벙덤벙 보는 스타일인데, 어떻게 맨 처음에 나온 악보를 그냥 지나쳤는지. 그리고 카스퍼가 클라라마리아를 포함한 3인조와 처음 만났을 때 들은 음악 ‘토카타와 푸가 D단조’라는 곡명을 또 어떻게 그렇게 무시하고 넘어갔는지…
두 개의 힌트가 초반 한 두 페이지에 이미 다 드러났는데 왜 그랬을까? 악보를 보긴 봤다. 그런데 악보 위에 있던 푸가 16. 이라는 글은 그냥 무심코 넘겼다. 이건 순전히 내가 놓친 힌트였다. 두 번째 ‘토카타와 푸가 D단조’는 출판사의 잘못도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문장 안에 포함된 괄호형식으로 단어들에 대한 주석이 달려 있는데, 보통은 이 방식이 좀 더 독서에 편한 방식이긴 하지만 이 소설의 경우는 주석을 페이지 하단에 별도로 표기하는 것이 더 나을 뻔 했다는 게 내 생각이다. ‘토카타’라는 단어 옆에 붙은 괄호 주석과 ‘푸가’라는 단어 옆 또 하나의 괄호 주석은 ‘토카타’와 ‘푸가’를 이미 알고 있던 내게는 오히려 집중력을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래서 그 두 단어를 따로 따로 읽게 되었고 맨 끝에 있던 ‘D단조’라는 중요 정보는 무의식적으로 건너 뛰지 않았나 싶다(페이지 하단에 주석을 표기하는 것이 이 소설에 적합한 또 하나의 이유는 주석을 달은 단어가 한 두 개가 아닐 정도로 많아서 독서를 마친 후에 하단 부분에 별도 표기된 주석들만 후루룩 훑어 보아도 좋을 것 같아서다).
멍청하게도 한 100여 페이지를 읽은 후에야 반복되는 패턴-카스퍼가 과거를 회상하는 타이밍과 회상하는 내용과 현재 시점과의 묘한 관계-를 느끼고 난 뒤, 카스퍼가 그토록 사랑하는 바흐와 음악에서 이렇게 반복되는 형식적 패턴이 뭐가 있을까 하고 생각한 후 떠올리게 된 푸가, 이 두 단어를 함께 검색 했더니 나온 결과가 ‘토카타와 푸가 D단조’ 였던 것. 그러고 나서야.. 어, 왜 이 음악은 100여 페이지가 지난 지금껏 나오지 않았지? 하고 앞으로 다시 돌아가서 보았고, 그제서야 맨 앞에 벌써 ‘푸가’의 악보와 ‘토카타와 푸가 D단조’ 곡명이 이미 적혀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어쨌든 이런 과정을 거쳐 푸가, 토카타라는 두 단어를 중심으로 소설을 읽어 나가게 되었다. 푸가는 카스퍼의 운명 같은 것으로, 토카타는 카스퍼가 광대로서 살고 있는 현재의 삶을 표현한 단어로 말이다.
하지만 이야기가 전개될수록 두 단어만으로는 소설 전체를 나타내기엔 불완전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어둡고 묵직한 분위기, 등장인물들의 경직된 표정들(정말 프랭크 밀러 풍의 만화 캐릭터가 곧바로 떠오른다), 종교적인 대화, 코펜하겐 도심 아래 자리잡은 기묘하고 장대한 지하 하수관 시설, 현대적이지만 악마적으로까지 느껴지는 빌딩들과 악당들, 카스퍼의 과장된 행동과 대사, 무엇보다 소설 플롯과 카스퍼가 살아가는 방식을 겹쳐서 생각하니, ‘최소한의 질서와 논리를 기반으로 자유분방함과 기괴한 양상, 불균형을 강조’한 ‘바로크’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튀어나왔다. ‘진주 모양의 작은 불빛’이라고 지하에 서식하는 쥐들을 묘사했는데, 그 표현을 읽고 나니 분명해 진 기분이었다. 그런데, 이 모든 걸 떠나서 바흐 하면 ‘바로크’ 아닌가? 참나 역시나 그걸 맨 나중에야 깨달았다는 것.
‘바로크’를 떠올리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이처럼 지루하게 주절주절 나열한 이유는 그만큼 이 어휘가 소설의 스토리, 인물의 개성, 소설의 주요 주제를 규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질서와 윤리, 그리고 자유분방한 삶의 분출’이라는 태도는 등장 인물들의 내적 성장뿐만 아니라 암울한 인류의 미래에 작은 희망을 건넬 수 있는 하나의 삶의 방식이라고 작가는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나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2.
‘만약 세상이 우리를 피한다면, 우리가 세상을 피한다면, 우리가 그 살인자들일 수도 있는 거야. 우리일 수 있어. 그게 바로 내가 그 사람들(살인자들)하고 마주 앉았을 때 생각한 거야. 내가 그 사람일 수도 있다고.’
‘우리는 항상 배가 고팠어. 아이들은 모두 나눠 먹었지. 우리는 말로 하진 않았지만 알고 있었던 거야. 나눠 먹는 빵이 더 맛있다는 걸 말이야. 그 느낌을 설명할 순 없지만 아주 물리적인 감각이었어. 정말로 맛이 한결 좋았지. 나중에 사람들은 그걸 잊어버렸어. 나도 잊어버렸지. 하지만 지난 며칠 동안 난 그 일을 생각했어. 그때 우리는 알고 있었던 거야. 중요한 것들은 혼자 가질 수 없다는 것을. 만약 누군가가 굶주리고 있으면 모두가 허기를 느끼지. 행복도 그래. 개인적인 행복이나 자유는 존재하지 않아. 만약 클라라마리아가 자유롭지 않다면 나도 자유롭지 않아. 그 아이가 나야. 아마 그게 사랑이겠지.’
작가는 이 사랑을 ‘고귀한 침묵’이라고 말한다. ‘중요한 것들은 혼자 가질 수 없다.’는 문장이 ‘바로크’의 최소한도의 윤리, 그 한가운데 있음을 느꼈다. 카스퍼가 한 이 말들, 그 에피파니의 순간, 소설은 순간 밝은 빛을 내뿜는다.
3.
바흐 음악에 밝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웠다. 글렌 굴드 연주의 골드베르크 변주곡과 카잘스의 무반주 첼로 조곡이 그나마 내가 인식하는 바흐의 곡들인데, 이 소설의 테마뮤직은 따로 있었다. 수많은 곡들이 언급되지만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D단조’와 ‘샤콘느’. 이 두 음악이 소설을 지배한다. 이 곡들만 인터넷으로 찾아 들었다. 좋다. 아.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만큼이나 좋구나.
‘토카타와 푸가’는 소설의 형식적 측면과 관계가 깊고, ‘샤콘느’는 인물(카스퍼)의 내적 성장과 관계가 깊다. 소설에 보다 깊은 주름을 선사하는 것은 ‘토카타와 푸가’인데, 특히 ‘반복되는 후렴’이라고 불려지는 부분들이 소설 읽는 재미를 배가 시킨다. 카스퍼에게 여러 사람들이 반복하는 질문 ‘왜 애를 낳지 않았죠?’, 소설 처음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바흐의 음악, 특정한 역할을 해내는 남녀 한 쌍 인물들의 반복적인 등장 같은 세세한 사항들뿐만 아니라 정신이 물질에 미치는 영향(소설에서는 코펜하겐에 일어난 지진)과 물질이 정신에 미치는 영향(돈의 노예가 되어버린 사람들)이라는 소설의 커다란 주제에까지 반복은 나선형으로 계속된다. 소리가 점차 커지고 주제가 더욱 분명해지며 반향은 거대해진다.
4.
하지만 전혀 다르게 볼 수도 있다. 훨씬 대중적으로(그게 더 못하다는 뜻이 아니다. 보다 단순하다는 뜻이다.) 보면 이 소설은 남자가 원하는 이상적인 여성들을 차례차례 등장시키는 페티시즘적 소설로 볼 수도 있겠다. 멋진 몸매와 예쁜 얼굴뿐 아니라 전문지식을 갖춘 커리어우먼, 심오한 모성을 지닌 수녀, 아이답지 않은 카리스마와 지혜를 가진 여자아이(클라라마리아) 등. 이 여성들은 주로 의자에 앉은 자세로 많이 등장하는데, ‘의자’에 앉아 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상징으로 보인다. 높은 지위, 엘리트, 富. 그럼 카스퍼는 마조히스트? 으음. 글쎄... 그 정도까진 아닌 듯 하지만, 이렇게 강한 여성들의 등장은 상대적으로 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보살핌을 받는 것. 남자들과의 폭력적인 대결 또한 크고 강하게 보이고 싶은 욕망의 표현일 것이다. 결국 마조히스트까지는 아니어도 그(주인공)가 ‘아이’로 남고 싶은 욕망이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하긴.. 어쩌면 모든 남자가 그렇겠지.
그러니 클라라마리아, 카스퍼가 사랑하는 이 심오한 여자아이의 한 마디는 그런 남자들, 상처를 지닌 모든 사람들을 위로해 줄지도 모르겠다.
사실 사람들은 버림받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