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편의 단편 어느하나 지워지지 않을 듯 한 느낌. 이 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것은 <몫>과 <답신> 이었다.
<몫>에서는 정윤과 희영의 심리를 알것 같으면서도 모르겠고 모를것 같으면서도 알것 같은 느낌.
˝글쓰는 일이 쉬웠다면, 타고난 재주가 있어 공들이지 않고도 잘할 수 있는 일이었다면 당신은 쉽게 흥미를 잃어버렸을지도 모른다. 어렵고, 괴롭고, 지치고, 부끄러워 때때로 스스로에 대한 모멸감밖에 느낄 수 없는 일, 그러나 그것을 극복하게 하는 것 또한 글쓰기라는 사실에 당신은 마음을 빼앗겼다. 글쓰리고 자기 한계를 인지하면서도 다시 글을 써 그 한계를 조금이나마 넘을 수 있다는 행복, 당신은 그것을 알기 전의 사람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희영의 바람대로 당신은 희영의 장례를 치르고 사람들에게 메일을 썼다. 그 사람들 중에는 정윤도 있었다. ‘정윤 언니에게 전해줘.‘ 희영은 당신에게 보내는 메일에 그렇게 썼다.
‘언니, 내가 언니에게 관대하지 못했던 것을 용서해요. 그렇게 사랑하고 싶었으면서 사랑하는 방법을 몰랐던 거 , 편지들에 답하지 않았던 거 미안해. 아주 오래 보고 싶었어요. 잘지내요.‘˝
<답신>에서는 조카에게 쓴 편지이지만 보낼 수 없는 편지이다. 언니에 대한 미안함과 증오가 함께 있는 복잡한 마음.
나 역시 다른 사람에게 ‘판관‘으로 살아왔던 부분이 있다. 내 판단으로 정죄하고 내 잣대로 사람을 재단하고. 나이가 들어 좀더 둥글둥글 해지고 ‘그려려니‘하고 사는 부분이 많다. ‘그래도‘가 들어가면 아직까지 내 속에 내가 너무 많이 있는것이니..
˝언니가 선물해준 오리털 파카를 정리하면서 나는 내가 춥지 않기를 바랐던, 얼마 되지 않는 시급을 모아 최대한 따뜻한 옷을 고르려고 했던 언니의 마음이 사라지지 않고 내 안에 남아있는 걸 발견했어. 내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종일 불편한 구두를 신고 서서 일하던 언니의 마음을 어림해 봤어. 그게 사랑이 아니었다고, 나는 제대로 된 사랑 한번 받지 못했다고 생각할 자격이 내겐 없더라. 그런 나는 언니에게 어떤 사랑을 줬나. 나는 내게 물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