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동안 레드 제플린, 프레디 머큐리, 마이클 잭슨, 신디 로퍼, 카트리시아 카스, 그리고 엘튼 존까지, 뮤지션 전기 또는 자서전을 기획하고 출간할 때 선택의 기준은 그들의 삶에 드라마가 있는가,라는 것이다. 음악은 듣는 것이지만 책은 읽는 것이기에, 그만큼 강하게 독자를 사로잡는 이야기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그녀가 얼마나 유명한가, 히트곡이 얼마나 많은가, 어느 시기에 주로 활동했는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삶의 드라마이다. 그래서 모범적이고 조용한 사생활을 유지한 스타보다는 우여곡절이 많고 세상사에 두루 관심을 표명한 뮤지션에 더 관심이 간다. 엘튼 존은 이런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몇 안 되는 인물 가운데 하나다.
이 책 《엘튼 존》은 음악 전문 작가 데이비드 버클리가 엘튼 존과 함께 작업한 많은 동료들과 업계 관계자들을 취재하고 기존의 자료를 철저히 참고하여 그의 극적 삶과 다재다능한 재능을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엮어낸 것이다. 덕택에 우리는 거의 반세기 동안 팝의 최전선에서 슈퍼스타 자리를 지키고 있는 엘튼 존의 다채롭고 흥미로운 모습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드스탁으로 가는 길 - 젊음, 음악, 자유, 평화 그리고 역사" 

  

 

 

 

 

"양쪽에서 얻어맞다보니 우리가 가야할 길이 분명히 보였다. 그것은 예술과 상업이 공존하는 곳, 반대되는 이념들이 공존하는 곳, 인간에 대한 사랑이 최우선이고 서로간의 차이는 그저 개성일 뿐인 곳이었다. 페스티벌을 이루는 요소들은 언더그라운드 운동과 밀접하게 관계되었지만, 우리는 정치적 색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평화와 음악에 초점을 맞출 생각이었다." -마이클 랭 

              록 페스티벌의 전설, 우드스탁 1969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1969년 8월 15일, 리치 헤이븐스가 ‘우드스탁 음악과 예술 박람회’의 첫 주자로 무대에 올라 맥스 야스거의 푸른 농장 들판에 모인 수십만 청중의 환영을 받았다. 사람들이 춤추고 마시며 서로 어울렸고, 끝없이 몰려드는 인파가 캠프를 차리는 것을 도왔다. 한적한 시골 들판 너머의 도로는 차들과 사람들로 완전히 막혔는데, 그중에는 페스티벌 행사장까지 오려고 며칠을 달린 사람도 있었다. 포크-블루스 스탠더드와 비틀스 노래를 열정적으로 노래한 리치 헤이븐스가 ‘자유’라는 후렴구를 활용해 즉석에서 노래를 지었다. 자유는 형제애와 사랑과 평화로 넘쳤던 기념비적인 이날 행사의 화합의 중심이 되었다. 이어지는 사흘 동안 몇 달, 길게는 몇 년간 꿈꾸고 계획했던 일이 실현되었다. 기적과 위기와 우연이 서로 맞물려 빚어낸 결과였다.

페스티벌 이야기는 마이클 랭에서 시작된다. 브루클린 벤슨허스트 태생으로 재즈 음악을 즐겨 들었던 그는 플로리다로 건너가 헤드숍을 열었고, 이어 지미 헨드릭스, 프랭크 자파 등을 데리고 자신의 첫 번째 페스티벌인 ‘마이애미 팝 페스티벌’을 개최했다. 1960년대 후반에 우드스탁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그는 전원적인 업스테이트 뉴욕에서 사람들이 모여 음악과 예술을 즐길 수 있는  페스티벌을 꿈꾸기 시작했다. 작곡가이자 음반사 중역이었던 아티 콘펠드를 만나면서 그 꿈이 구체화되었고, 이들은 두 명의 청년 사업가와 함께 우드스탁 벤처스를 설립했다.

아티스트들을 섭외하고 마을 주민들을 달래고 스태프를 직접 뽑은 마이클 랭은 우드스탁 페스티벌에 얽힌 이야기를 독보적인 시각으로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인다. 여기에 페스티벌을 성사시키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 인물들의 인터뷰까지 더해진 이 책 우드스탁 센세이션은 영감과 에너지가 넘치는 현장의 마술적인 순간과 아찔한 순간을 더할 수 없이 생생하게 포착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음악이 어울린 위대한 문화공동체의 기적
    from 雨曜日::: 2010-08-12 14:54 
    '우드스탁(Woodstock)'은 뉴욕 북부의 작은 대안 마을의 지명이 아니라 1969년 이후부터는 “페스티벌 역사의 새 패러다임”을 만들어낸 음악과 자유와 평화, 그리고‘문화공동체의 엄청난 에너지’의 집적을 상징하는 고유명사로 기억되고 있다. 이 저작은 바로 1960년대를 풍미하던‘마이클 랭’이라는 한 젊은 히피문화의 주자가 “느슨하고 자유로운 페스티벌”을 열고 싶다는 불가능하기만 해 보였던 전망을 실현시킨 공동체 정신과 유토피아 비전이란 이상을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