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
제니 오델 지음, 김하현 옮김 / 필로우 / 202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법』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싶어서'였다.

그 전에 비하면 사실 회복 속도도 빠르고, 어찌하면 평온할 수 있는지도 내게 딱 맞는 비책(?)도 있지만,

그래도 혹시나 또 다른 현안(賢案)이 있을까.

책을 몇 장 넘기지 않아 지금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문장을 만났다.

바쁨은 '활력 부족의 증상'이자

'관습적인 일을 할 때를 제외하면 삶을 거의 의식하지 않는

기운 없고 진부한 사람들의 특징이다.


바빴다.

작년을 제외하고 재작년에도 바빴고, 올해도 바빴다.

일을 할 때는 활력이 있었다.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오면 기운이 하나도 없었다.

눈이 퀭하게 퇴근해 침대에 엎어지자마자 아침이 밝아 벌떡 일어나 출근하는

피로회복제 TV 광고처럼(요즘도 TV에 나오기만 하면 혼자 깔깔거리며 웃는다.;;)

바쁨이 활력 부족의 증상이라고는 한 번도 생각하지 못했는데,

지나온 시간들을 더듬어 보니 그랬다.

바로 코 앞에 닥친 일을 쳐내는 것이 급선무여서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이러면서 놓친 것들이 너무 많다.

사실 이 책이 자기계발서인 줄 알았다.

이 말인즉슨 아니라는 것.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법』은 내 개인이 내 삶 안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이야기하기 보다는 철학, 정치, 예술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는 사회 운동 같은 느낌이 든다.

그래도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칠 만한 것은 '새 관찰하기'이다.

저자는 '새'가 그 대상이었지만,

주변에 눈길 가는 것이 아주 많다.

작년엔 그렇게도 구름만 보이더니, 요즘엔 계절 탓인지 모르겠지만 앙상하게 남은 나뭇가지들, 특히 바싹 마른 나뭇잎이 그대로 나뭇가지에 달려 있는 그 나무가 말이다. 지금 모습도 내년 봄이면 언제 그랬나는 듯 달라지겠지. 새순이 돋고 다시 초록잎이 무성해지고...


책을 읽고 나서 ​나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이란

주변에서 소중하게 다가오는 것을 관찰해 보는 것이겠다. 


쉬이 읽히는 책은 아니지만 다시 한 번 꼭꼭 씹어 읽어봐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캐는 크리에이터, 본캐는 선생님의 디지털 전환 교육담 - 학생들이 더 좋아하는 수업의 디지털 전환
박정철 지음 / 프리렉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로 인해 미래가 10년은 앞당겨졌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은 다가가기에 쉬운 상대가 아니다.

구글을 필두로 디지털 전환의 시대임을 설명한 책의 앞 부분을 읽으면서 어렵고 낯설다고 해서 자꾸 미루기만 하다 보면 이도 저도 아닌 채 허송세월을 보내겠구나 싶어 정신이 번쩍 들었다.

사실 이 책을 읽겠다고 다짐한 것부터 변화의 시작이긴 했을 테니 나 자신을 먼저 칭찬해 주고...;;


치과의사이자 교수님이 구글이노베이터인 것도, 교육 관련 책을 낸 것도 일단 신선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도 그간 교육 혁신과 관련한 여러 다양한 주제들이 이슈가 되고 유행이 된 적이 있지만 어디 한 군데 마음을 둘 곳 없이 구경꾼처럼 이리저리 기웃거렸다. 그렇다고 이것저것 안 해 본 것도 아니라, 대충은 알고 있으나 항상 '이게 과연...'이라는 의구심이 남았던 것도 사실이다.


'한 번 해 보자!'는 마음 전에,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니 방법이 생긴다.

특히 교사는 학생이 배우는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코칭하는 역할이어야 한다는 '학습의 전환'부분에서는 적극 동감하게 되었고 왠지 기기들과는 친해질래야 친해질 수 없다고 선을 긋기만 했던 과거의 모습에서, 이렇게 하면 할 수도 있겠다라는 현재의 자신감이 생기고 있다. 


수업의 전환, 평가의 전환

거꾸로 수업의 좋은 점도 알고, 구글 설문지로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기능도 알고 있지만 막상 내가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생각하면 막막하기만 했는데 저자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적용한 내용들을 자세하게 사례로 제시해 주고 방법들도 알려주고 있어서, 내 교실에서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도 다시 생각하니 활기가 생기기 시작하는 듯도 하다. (저자는 이런 경험을 '수업이 재미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전 세계의 지식을 잘 정리하여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

구글 창업자의 목표라고 한다.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기여"와 "공헌"에 목표를 둔 구글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잘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디지털 플랫폼을 능수능란하게 잘 활용하지는 못하지만 뭔가 또 학생들과 재미있고 의미있는 수업을 만들어 나가고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는 자극제가 된 책이다.


실천해 볼 것

-거꾸로 수업(있는 영상 활용)

-구글 설문지를 활용한 위스키 

-미모지 기능으로 영상 찍기 연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왕초보지만 네이티브처럼 - 쉬운 단어로 절대공감하는 표현 TOP 120
유명현 지음 / 리더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쉬운 단어로 절대공감하는 표현 TOP 120

저자는 우리말을 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영어를 말할 때도 "공감"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책은 120가지의 영어 표현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면 내 마음을, 상대의 마음을 찰떡같이 이해할 수 있을지를 알려준다.

한 문장 정도야 떡 먹기지 싶어도 표현의 깊은 의미를 알고 말하는 것과 모르고 말하는 것의 차이는 크다.

게다가 한 문장이니, 매일 짧은 시간동안 한 문장씩 꼭꼭 씹어 이해하고 말하는 연습을 하다보면 '영어 좀 하는데?'라는 소릴 들을 날이 빨리 올 수도 있지 않겠나 싶기도 하고.

일단 휘리릭 본 후 페이지를 넘겨 가며 한 문장씩 읽어 보는데

그냥 단어와 뜻을 연결시켜 이해하던, 내가 알고 있던 그 뉘앙스가 아니었던 말이 나오기도 해서

쉽다고 대충 볼 게 아니구나 싶기도 했다.

흥미로웠던 표현 몇 개를 소개해 보자면

honor VS respect

'존중하다/존경하다'라는 의미로 같은 뜻인 줄 알았고, honor는 재판정에서나 자주 듣던 단어로 일상상활에서는 오히려 respect를 더 많이 사용하는 느낌이 있었다. 하지만 저자는 '존중'과 '존경'은 엄연히 다르며 썩 좋다고 판단되지 않아도 존중해 줄 수는 있는데 그럴 때는 honor를 사용한다고 한다.

We honor your decision.

또 재미있는 표현으로 '라떼는 말이야'라고 표현 할 때는 back in the days라는 말을 사용한다니 문장을 만들어 연습을 자주 해 봐야겠다. ;;

She is just book smart! /She must be street smart.

헛똑똑이와 세상물정 밖은 사람, 나는 과연? ㅎㅎㅎ

「영어 왕초보지만 네이티브처럼」

어려운 단어나 낯선 단어는 하나도 없지만 '이런 뜻이었구나.'싶은 표현들을 하나씩 배워가는 재미가 있다.

영어 공부에 약간 정체기가 왔을때, 그래도 영어를 놓지 않고 쉬엄쉬엄 보며 환기시킬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조병영 지음 / 쌤앤파커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리터러시=문해력

이렇게 영어를 우리말로 대놓고 봐도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는 말이긴 한데

하도 자주 들었더니 대충의 느낌은 알겠다.

하지만 뭔 말인지 네 말로 말해 봐라고 한다면...

이 책은 총 4부로 나눠져 있는데

1, 2부는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와 우리의 리터러시를 진단한 내용이고

3, 4부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새로운 리터러시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 놓고 있다.

앞부분부터 꽤 꼼꼼히 읽다가 그러면 리터러시는 무어냐? 어떤 역할을 하느냐?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닐까 싶은 내용을 인용해 본다.

배움이란 자신의 배움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지는 경험을 쌓는 일이다.

학교 교육은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의 공부에 책임지는 법을 가르치는 문화적 과정이다.

리터러시는 늘 새로운 상황에서의 능동적인 적용과 반성적인 학습을 통해서 성장하는 고귀한 인간 능력이다.

p183, 184


특히 사교육에 민감한, 아니 당연시 되는 우리나라이다 보니, "학교"와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늘 비평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어느 고등학교 교사가 학생에게 영어 학원을 다니는 것이 어떻겠냐고 했더니, 그럼 너는 뭐하는 사람이냐며 날선 되받아침을 당했다는 이야기에 뭐가 옳은지 어떻게 생각하는 게 맞는지 나조차 헷갈릴 때가 많으니까.

학교과 교사에 학생의 '배움'을 책임 지우는 행위는 학생에게는 '배움'의 책임이 없는 것, 그 부모에게도 그 책임이 없는 것, (한마디로 책임회피ㅠㅠ ) 또 '배움'의 책임을 교사에게서 점차 학생에게로 넘겨주는 그것이 학교의 할 일이라는 저자의 말이 왠지 명쾌한 듯 하다.

리터러시는 텍스트를 수동적으로 읽고 이해하고 그대로 내 뱉는 과정이 아니라 텍스트의 진위 여부를 궁금해 하는 과정을 포함해서 평소와 다르게 '의문'을 품고 '질문'을 하며 '대화'로 이어져 개인이 성장하는 과정 전체를 말하는 것 같다.

4부에서 언급된 피츠버그에서의 저자의 읽기와 리터러시 교육은 내가 살고 있는 사회를 더 관심을 갖고 탐구해 나가면서 '삶'과 교육이 연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탐구'

어려운 과정이다.

그냥 텍스트 읽고 내용 확인 하고 그렇구나. 남이 작성해 놓은 글이 사실인지 확인해 볼 겨를 없이 놀랄 만한 일이면 호들갑 한 번 떨어 주고, 직접적으로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면 물불 안 가리고 '모이자!'를 외치고...

사실 이게 더 쉽다.

내가 살고 있는 환경을 생각하고, 더 옛날엔 사람들이 어떤 모습으로 살아 왔는지 살피고, 온라인에서 쏟아지는 정보들을 아니라고 확인해 보자고 파고들다 보면 '별난'사람이 되기 일쑤이기도 하고...

하지만,

누가 대신 살아주는 내 삶이 아닌 이상

어차피 읽어내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이상

wellbeing.

신경은 쓰인다.

잘 살아 보고 싶은 마음이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원스쿨 토익스피킹 실전 모의고사 10회 - 한 권으로 끝내는, 개정판
이민하.시원스쿨 어학연구소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 권으로 끝내는 시원스쿨 토익 스피킹 실전 모의고사 10회

저는 아직까지 토익이나 토플이나 영어관련 공인 시험은 단 한 번도 치러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인지 '영어 시험'은 생각만 해도 후덜덜 떨리는게 사실이고요.

하지만 '영어' 자체에는 관심이 많아서, 특히 영어로 말하기를 잘하고 싶은 마음이 많답니다.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영어 공부를 시작했는데 여기저기 기웃거리다 보니 토익 시험 문제를 잘 활용하면 스피킹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더라구요.

특히 저는 picture telling을 활용해서 영어 speaking 실력을 up해보고 싶었는데 기대한 대로 시원스쿨 토익 스피킹 실전 모의고사 책으로 충분히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겠더라구요.

이 책은 토익스피킹 모의고사 시험문제 10회와 문제 해설, 저자 총평 특강까지 들을 수 있어요.

게다가 실전 모의고사 문제 영상도 QR코드로 찍기만 하면 볼 수 있어서 실전느낌으로 시험을 연습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겠네요.

어쨌든 저의 뽀인뜨는 "말하기"라서...ㅎㅎㅎ

맘에 들었던 부분만 잠깐 소개 하는 걸로...



토익스피킹 시험 중 Q3-4, Describe a picture부분만 따로 연습하려고 합니다.

혼자 영어 공부하려고 할 때도 picture telling을 시도한 적이 있는데, 적당한 사진을 구하는게 어려웠어요. 무슨 사진을 갖고 어떻게 설명해야할 지 도통 감이 안 잡히더라구요. 혹시나 시험교재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역쉬!!!

수험서라 그런지 사진도 다양하고 또 어떻게 영어로 표현하면 좋을지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영어로 말하기 연습에 아주아주 도움이 많이 됩니다.


말을 할 때 이런 집합명사들을 사용하고 싶을 때도 있는데, 요렇게 정확하게 알려주니 일단 시원스쿨 토익 스피킹 실전 모의고사 책에 있는 사진들만 영어로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걸 목표로 삼으려고 해요.

이러다 이왕 공부하는 거 토익 시험까지 쳐보자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