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가장 큰 특징인 생각, 즉 사고 능력은 평소 우리가 깊이 생각해보지 않는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대부분의 생각이 자동적으로 별 노력 없이 저절로 이루어져서 그런 것인데, 이는 시스템 1의 특징이다. 또 우리는 ‘생각하는 나’에 대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기에 내 ‘생각’을 내가 가장 잘 안다고 ‘생각’한다. 물론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는 혼자만의 생각에 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스스로의 생각을 모두 알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래서 ‘나에게 낯선 나’가 존재한다. 행동경제학 연구가 반향을 일으키고 이목을 끌게 된 것도 바로 이런 점 때문이 아닌가 싶다. 행동경제학의 탄생을 기록한 이 책은 우리에게 지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주어졌다고 여기는 사고 능력 그 자체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급기야 그 생각이라는 행위의 과정과 그로 인한 결과가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전적으로 믿을 만한 것은 못 된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우리 자신에 대한 화들짝 놀랄 만한 반전을 접하게 된다…….

-알라딘 eBook <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그 모습에 만족할 것이다.시17:15 …… 지식으로 더 알아야 할 것도 없고, 의지로 더 힘쓸 일도 없으며, 기쁨과 즐거움과 사랑의 감정도 본연의 제자리에서 온전한 안식과 평온을 누린다. …… 당신을 즐겁게 하는 현세의 모든 것은 결코 만족을 줄 수 없다. 당신이 유독 하나님 자신만을 온통 사모하기 때문이다. …… 이 땅에서 누리던 위안은 영혼의 갈망을 채워 주기는커녕 오히려 감질나게 부채질할 뿐이다. 그러나어린양은 …… 그들을 생명수 샘으로 인도하신다.계7:17[7]

-알라딘 eBook <죽음에 관하여> (팀 켈러 지음, 윤종석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편 106편

주님, 은혜에 온전히 사로잡혀 항상 옳은 일만 하게 도와주십시오. 아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 S. 엘리엇은 "죽음 자체가 두려운 게 아니라 죽음이 곧 끝이 아닐까 봐 그게 우리는 두려운 것이다"라고 했다.[24]
다른 모든 감정의 배후와 이면에 심판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바울은 죽음을 장황하게 논한 고린도전서 15장에서 "사망이 쏘는 것은 죄"라고 단언했다.56절 그가 로마서 1장 20-22절에 가르쳤듯이, 아무리 깊이 감추고 있어도 우리 모두가 마음속으로 아는 사실이 있다. 하나님은 우리의 창조주시며 우리 예배와 순종을 마땅히 받으실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자신의 삶에 대한 주권을 장악하려고 그 지식을 막는다.18절
죽음 앞에 서면 자아에 대한 불만이 훨씬 또렷해진다. 이전처럼 양심을 침묵시킬 수 없다. 셰익스피어의 극중 인물인 햄릿은 자살을 생각하다가 그러지 않기로 결심한다. 사후의 무엇에 대한 두려움 곧 "어느 길손도 갔다가 다시 돌아오지 못한 미답의 나라"가 두려웠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심판이 두려워지고, 그래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저세상으로 달아나느니 차라리 지금 이 세상의 고통을 묵묵히 견딘다." 이유는 "양심이 우리 모두를 겁쟁이로 만들기" 때문이다.[25]
아무리 막아 보려 해도 죄책감은 집요하며, 특히 죽음 앞에서 최고조에 달한다. 현대 문화에는 이 문제를 해결할 대책이 별로 없지만 기독교 신앙은 우리에게 놀라운 자원을 준다.

-알라딘 eBook <죽음에 관하여> (팀 켈러 지음, 윤종석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에 관하여

T. S. 엘리엇은 "죽음 자체가 두려운 게 아니라 죽음이 곧 끝이 아닐까 봐 그게 우리는 두려운 것이다"라고 했다.[24]
다른 모든 감정의 배후와 이면에 심판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바울은 죽음을 장황하게 논한 고린도전서 15장에서 "사망이 쏘는 것은 죄"라고 단언했다.56절 그가 로마서 1장 20-22절에 가르쳤듯이, 아무리 깊이 감추고 있어도 우리 모두가 마음속으로 아는 사실이 있다. 하나님은 우리의 창조주시며 우리 예배와 순종을 마땅히 받으실 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자신의 삶에 대한 주권을 장악하려고 그 지식을 막는다.18절
죽음 앞에 서면 자아에 대한 불만이 훨씬 또렷해진다. 이전처럼 양심을 침묵시킬 수 없다. 셰익스피어의 극중 인물인 햄릿은 자살을 생각하다가 그러지 않기로 결심한다. 사후의 무엇에 대한 두려움 곧 "어느 길손도 갔다가 다시 돌아오지 못한 미답의 나라"가 두려웠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심판이 두려워지고, 그래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저세상으로 달아나느니 차라리 지금 이 세상의 고통을 묵묵히 견딘다." 이유는 "양심이 우리 모두를 겁쟁이로 만들기" 때문이다.[25]
아무리 막아 보려 해도 죄책감은 집요하며, 특히 죽음 앞에서 최고조에 달한다. 현대 문화에는 이 문제를 해결할 대책이 별로 없지만 기독교 신앙은 우리에게 놀라운 자원을 준다.

-알라딘 eBook <죽음에 관하여> (팀 켈러 지음, 윤종석 옮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